• 제목/요약/키워드: 맞춤공간정보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5초

공간 데이터 분석 기반의 비즈니스의 혁신: 해외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Business Innovation Through Spatial Data Analysis: A Multi-Case Analysis)

  • 함유근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83-97
    • /
    • 2019
  • 서 및 통신 기술 발전으로 기업경영과 관련된 공간 데이터가 급증하고 있다. 공간 데이터는 이제 2차원적인 지리 데이터를 벗어나 3차원 이상의 공간에 관한 비정형 데이터로 진화하고 있다.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을 연결해야 하는 제4차산업혁명과 함께 기업들이 이를 활용할 기회도 크게 확대되고 있다. 최근의 해외 사례들의 분석 결과 특히 공간 속에 위치한 고객과 사물의 상황을 파악하여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위험관리를 하며, 더 나아가 업무 프로세스의 혁신도 공간 데이터 분석으로 가능해지고 있다. 향후 공간 속 사람과 사물 들 간의 관계 및 상황을 다양한 소스로부터의 공간 데이터를 결합하여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비즈니스 혁신이 모든 분야에서 확대될 전망된다.

  • PDF

발 고유 변인 측정을 위한 발 형상 추출 시스템 설계 (Design of a foot shape extraction system for foot parameter measurement)

  • 윤정록;김회민;김운용;전성국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421-422
    • /
    • 2020
  • 발 고유 변인 측정 및 데이터의 수집은 소비자의 발 건강을 위한 신발 제작을 위하여 필요하다. 신발의 설계 지표 또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어 발 고유 변인 측정의 및 데이터 획득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발 형태의 데이터 값을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인솔 및 신발을 제작하고, 신발의 설계 지표를 산출하기 위하여 발 고유 변인의 데이터 값을 자동으로 측정이 가능한 발 고유 변인 산출이 가능한 발 형상 추출 시스템에 대해 서술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발 고유 변인 측정을위한 스캐닝 스테이지를 설계 및 제작하고, 3대의 깊이 카메라를 설치하였다. 잡음 및 배경을 제거하기 위해 가우시안 배경 모델링으로 전경 영역을 분리하여 발 점군 데이터를 획득 한 후, Euclidean transformation을 통해 각 점군 데이터를 정합한다. 실험 결과에서는 획득된 발 형상 점군 데이터와 접지면 형상 및 발 변인 추출 결과를 보여준다.

  • PDF

Xibo4u: 개인맞춤형 광고를 지원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Xibo4u: Digital Signage for Personalized Advertisement)

  • 이우건;김남일;윤은민;진재환;이명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359-1367
    • /
    • 2015
  • 디지털 사이니지는 상업공간이나 공공장소에서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된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각종 정보 및 광고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 맞춤형 광고를 지원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소프트웨어 솔루션인 Xibo4u의 개발에 대하여 기술한다. Xibo4u는 광고 콘텐츠 및 광고 카테고리를 관리하는 Xibo4u 서버와 개인 관심분야 정보를 기반으로 고객에게 광고를 보여주는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 고객이 관심분야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으로 구성되며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 Xibo를 확장하여 개발되었다.

공간 빅데이터를 활용한 중소도시 지역맞춤형 도시재생·유지관리 연구 - 주거지역 집계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gionally Customized Urban Regeneration and Maintenance of Small and Medium Cities Using Spatial Big-Data - Focused on the Residential Census Output Area -)

  • 한다혁;이민석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9-1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intain the existing characteristics of the city by utilizing the physical decline status and floating population in small and medium cities residential areas. In addition, it intend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lexible urban regeneration and maintenance by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A total of three data were used in this study. Building data, floating population data, and census output area data were used. Building data and floating population data were classified into five classes. The graded data were joined to the census output area data and analyzed by overlapping the two data. As a result of analysis of 17 residential areas in 5 small and medium cities in Jeollanam-do, 4 types, 2 management models, and 4 indicators could be presented by grad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possible to plan regionally customized urban regeneration/maintenance management plans and projects through the typology of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which is an important step in the bottom-up form.

공간자기상관을 활용한 농촌지역 인구 고령화의 공간적 확산 분석 (An Analysis on the Spatial Spillover Patterns of Aging Population in Rural Areas)

  • 여창환;서윤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9-53
    • /
    • 2014
  •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 현상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농촌지역의 인구 고령화가 도시지역보다 더욱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인구 고령화에 관련한 정책이나 연구들은 농촌지역보다 주로 도시지역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의 고령화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일깨우고, 나아가 지역 맞춤형 인구 고령화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농촌지역의 인구 고령화 수준을 미시적으로 제시하고 인구 고령화 현상의 공간적 확산 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읍면 단위의 농촌지역에 따라 인구 고령화 수준과 공간적 확산 패턴이 각각 다르게 분석되었다. 둘째, 고령화의 시공간적 확산 측면에서 인구 고령화 지수가 높으면서 공간적으로 집중되어 있는 지역(High-High, hot spot 지역)과 지수가 낮으면서 집중되어 있는 지역(Low-Low, cold spot 지역)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지역 맞춤형 인구 고령화 정책, 특히 농촌지역의 인구 고령화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VR 콘텐츠의 스토리텔링에 대한 구조적 연구 (Structural study on storytelling of VR contents)

  • 조일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295-300
    • /
    • 2019
  • 현대 사회는 융합의 시대이며, 스토리텔링에 있어서도 감성적 이야기와 정보라는 두 가지 유형의 데이터 타입 형태가 융합된 스토리텔링의 필요성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특히, VR 콘텐츠의 경우, $360^{\circ}$ 공간을 자유롭게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서 정보를 선택하는 등, 사용자가 콘텐츠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게 되며, 이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인터랙션(Interaction-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기존의 스토리텔링 방식으로의 접근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감성과 정보의 두 영역을 충족시키는 '융합형 스토리텔링'의 구현이 절실한 장르라고 판단되어 진다. 본 논문에서는 VR 콘텐츠의 이해에 있어 특히 공간적 특성을 위주로 살펴본 후, VR 콘텐츠에서 '융합형 스토리텔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콘텐츠의 스토리 구조 유형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VR 콘텐츠에 적합한 스토리텔링 유형을 서클(Circle) 구조로 정리하여 맞춤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토대로, 향후에는 진정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VR 콘텐츠와 인터랙션을 위한 컨텍스트(context) 인식 과정을 활용하여 기술이 감성과 정보의 두 가지 영역을 충족시키는 개인 맞춤형 시스템의 연구로 발전되어질 것을 기대한다.

u-GIS 콘텐츠를 위한 GeoPhoto 콘텐츠 언어의 설계 (Design of GeoPhoto Contents Markup Language for u-GIS Contents)

  • 박장유;남광우;진희채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5-42
    • /
    • 2009
  • 이 논문은 공간 사진을 이용한 u-GIS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GeoPhoto 콘텐츠 마크업 언어를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GeoPhoto 콘텐츠 마크업 언어는 상이한 여러 플랫폼에서 개인 맞춤형 공간 사진 영상 정보를 표출 및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지원하기 위한 GeoPhoto 콘텐츠 모델과 마크업 언어를 포함하고 있다. GeoPhoto 콘텐츠 언어는 다양한 공간 사진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GeoPhoto, CubicPhoto, SequenceGeoPhoto 타입을 기반으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지리 정보, 위치 정보, 사진 정보등의 정보를 융합하여 표현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사진과 관련한 다양한 콘텐츠 모텔을 제공 할 수 있도록 다양한 GeoPhoto 콘텐츠 모텔과 이 콘텐츠들 사이의 연산들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 논문은 GeoPhoto 콘텐츠를 표현하기 위한 연산으로서 Annotation 연산과 Enlargement 연산, Overlay 연산들을 제안하고 있다.

  • PDF

재조합을 위한 Bottom-up 공간정보제품 제작 방법 (A Study on a Recombination Method for the Bottom-up Construction of Spatial Information Products)

  • 최재연;김은형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7권2호
    • /
    • pp.185-199
    • /
    • 2017
  • 본 연구는 예측하기 어려운 미래의 다양한 수요를 수용하기 위하여 재조합방법을 통한 공간정보제품 제작방법을 제안한다. 현재의 측량중심의 공간정보제품의 생산방안은 특정 지도제품 중심의 Top-down방식이므로 공간정보의 활용 확산 관점에서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불특정 다수를 위한 공간정보의 활용성 관점보다는 모두를 위한 지도라는 관점에서 다양한 수요를 만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런 한계점을 해결을 위해 사용자 맞춤형의 Bottom-up방식 공간정보 생산과 재조합을 통한 공간정보 제품 제작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기존의 Top-down 방식의 결과인 수치지도와 재조합을 통한 공간정보제품의 제작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비교를 통해 보완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는 공간정보를 기초속성을 가지는 형태와 관계된 속성정보를 가지는 데이터로 재분류하고 각 데이터에 관계성 및 관리에 관한 속성을 부여하는 방안이다. 이 방법의 실효성 증명을 위해 기존 수요의 만족 가능성과 미래 수요의 대응 가능성을 중심으로 적용사례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국가기본도, 주제도, 향후 수요 예측 제품의 해당 대표제품을 제작하여 확인하였다.

LX의 정보지도 서비스를 위한 주제선정 및 시범제작 (A Study on the Theme Selection and Prototype Production for the LX Information Map Service)

  • 정동훈;배상근;이성규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5권1호
    • /
    • pp.123-135
    • /
    • 2015
  • 공간정보에 대한 수요자의 높은 기대수준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수요자가 원하는 다양한 주제에 따라 분석한 정보를 지도의 형태로 제공하여야 한다. LX 는 정부와 민간의 중간자로서 정부정책을 지원하고 공간정보산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정보인프라를 구축하는 역할을 담당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LX 내외의 공공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시계열 자료를 융복합하고 빠르게 변화되는 국토공간 현황을 시공간적으로 분석하여 수요자 맞춤형 정보로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주제도 제작관련 선행 연구와 국내외 주제도 제공 현황을 살펴보고 정보지도를 왜 LX가 제작해야 하는 이유를 제시하였다. 또한 3개 분야의 주제를 선정하고 주제별로 데이터 가공수준과 분석정도에 따라 주제를 세분하고 그 제작방법과 표현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교육용 공간정보기술 통합플랫폼 개발 및 활용방안 (A Study on the Deveslopment and Utilization of GEospatial Platform Service for the Research and Education)

  • 한선희;김승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549-4558
    • /
    • 2015
  • 최근 공간정보기술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 및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산공간정보기술의 확대 발전을 위해 연구교육용 공간정보기술 통합플랫폼(GEEPS)을 개발했다. GEEPS를 개발한 목적은 대학(원) 및 연구기관이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오픈소스 SW와 공간정보기술 R&D 성과물을 융합하여 각각의 장점을 결합한 SW를 개발하고, GEEPS를 통해 서비스하고 있다. 또한 GEEPS 활용 모니터링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활성화방안을 마련하였다. GEEPS 활성화를 위해 개발자 및 교수, 문화 관광분야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정밀한 의견조사를 수행하여 이들의 의견을 반영하고, 방문교육을 활성화하여 기관별 맞춤형교육을 수행하며, 참여마당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향후에 GEEPS를 공간지식플랫폼과 결합하거나 오픈소스 GIS 조합이 관리 운영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