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망 조정

Search Result 47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비대칭 망에서 동적 세그먼트 크기 조정을 통한 상향링크 혼잡제어 (Uplink Congestion Control over Asymmetric Networks using Dynamic Segment Size Control)

  • 제정광;이지현;임경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4권6호
    • /
    • pp.466-474
    • /
    • 2007
  •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대역폭 차이가 은 비대칭 망 환경에서 범용 TCP를 사용하는 경우, 상향링크의 혼잡으로 인해 TCP의 성능이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하향 링크 상의 데이타 세그먼트를 망 환경에 최적화된 크기로 전송함으로써 수신단에서 생성되는 응답 패킷의 수를 감소시켜 상향링크의 혼잡을 완화시키는 동적 세그먼트 조정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범용 TCP의 단대단 의미구조를 유지하고 송수신단의 TCP 수정 없이 망 환경에 따라 세그먼트의 크기를 최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상향링크의 혼잡을 완화시킨다. 제안된 기법은 송수신단 사이에 위치한 게이트웨이에 적용되어 상향링크의 혼잡을 감지하고 동적으로 망의 비대칭율과 패킷 손실율을 측정한다. 그리하여 게이트웨이는 상향링크 혼잡 발생 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미리 도출되어진 세그먼트 조정계수 값을 참조하고 패킷을 재조립한 후 수신단으로 전송한다. 즉, 망의 비대칭율이 큰 경우 송신단에서 전송되어지는 세그먼트의 크기를 조절하여 응답패킷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상향링크의 혼잡을 완화시킨다. 또한 조정된 크기를 갖는 세그먼트에서 전송 도중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빠른 복구를 위해 SACK를 사용하고 혼잡 제어 구간에서는 제안된 기법을 적용하지 않도록 하여 줄어든 응답 패킷의 수로 인한 성능 저하를 방지한다. 이를 통해 제안된 기법을 비대칭 망의 한 종류인 GEO 위성망 환경에 적용하여 상향링크의 혼잡 발생 시 성능저하의 방지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우리 나라 정밀측지망(精密測地網)의 동시조정(同時調整) (Simultaneous Adjustment of the Korea Precise Primary Geodetic Network by Development Method)

  • 최재화;최윤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151-159
    • /
    • 1993
  • 수평위치(水平位置)를 나타내는 삼각점(三角點)은 국사개발(國士開發)이나 지도제작분야(地圖製作分野) 또는 지구물리학(地球物理學)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기 때문에 그 망(網)은 다목적(多目的) 측지망(測地網)이라 불리며, 각 나라의 기준체계(基準體系)에 따라 18세기(世紀)부터 설정(設定)되어 오늘날까지 유지 관리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정밀측지망(精密測地網)의 조정체제를 정립하고, 정밀 1차 측지망의 관측자료(1975-1990)를 이용하여 정밀 1차 측지망의 전국(全國) 동시망(同時網) 조정을 실시하여 측지망의 정확도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또한 이를 토대로 오차(誤差) 전파상태(傳播狀態) 및 국토의 수평지각(水平地殼) 변동(變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일부지역에서 실용성과(實用成果)의 부정합(不整合)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측지망의 강도(强度) 강화 및 지각변동(地殼變動) 조사를 위한 보충관측 및 반복측량이 요망된다.

  • PDF

변형측량에서 자유망조정기법의 신뢰성 분석 (A Reliability Analysis of Free- Network Adjustment in the Deformation Surveying.)

  • 유복모;정영동;이석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6-64
    • /
    • 1987
  • 측점으로 이루어진 측량망내에 변위점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변위점검출을 위해 오차타원 및 신뢰타원 개념이 효과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측량망내에서 고정점의 선택과 기하학적 조건의 변화가 미지점 좌표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각 측점들의 변위를 조사하기 위해 고정망 조정방법과 자유망조정 방법을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자유망조정에 의한 방법이 수평위치 결정의 정확도 향상과 변위점 검출에 있어 더 신뢰성 있는 결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비대칭 망에서 세그먼트 크기 조정을 통한 상향 링크의 혼잡 제어 (Uplink Congestion Control over Asymmetric Networks Using Segment Size Control)

  • 박현규;제정광;안준철;임경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A)
    • /
    • pp.565-567
    • /
    • 2005
  •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의 대역폭이 다른 비대칭 망 환경에서 범용 TCP를 사용하는 경우, 상향 링크의 혼잡으로 인해 TCP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하향 링크에서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를 조정하여 상향 링크의 혼잡을 완화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단대단 의미구조를 유지하면서 망의 상태에 따라 세그먼트의 크기를 최적으로 조절하여 응답 패킷을 최소한으로 생성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조정된 크기를 갖는 세그먼트가 전송 도중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 빠른 복구를 위해 SACK를 사용한다. 또한, 혼잡 제어 구간에서는 세그먼트의 크기를 조절하지 않도록 하여 줄어든 응답 패킷의 수로 인한 성능 감소를 방지한다.

  • PDF

2006년 우리나라 1등 수준망 조정 (Adjustment of 1st order Level Network of Korea in 2006)

  • 이창경;서용철;전부남;송창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7-26
    • /
    • 2008
  • 우리나라 1등 수준망은 1974년부터 1986년간 관측된 자료를 1987년 동시 조정된 바 있다. 이후,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2001년부터 2006년까지 전자레벨과 바코드 함척을 이용하여 1등 수준망에 대한 직접수준측량 실시하였고, 본 연구는 이들 관측자료 분석 및 수준망 조정 결과이다. 우리나라 1등 수준망은 총 36개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34노선이 11개 폐합 환을 구성한다. 1등 수준측량 관측자료 중 4개 노선은 1등 수준측량 허용 왕복차를 초과하였으며, 3개 수준환은 허용 환 폐합차를 초과하였다. 수준점간 왕복차의 표준오차(${\eta}_1$)는 $0.2{\sim}1.7mm/{\surd}km$, 환 폐합차의 표준오차(${\eta}_2$)는 $2.0mm/{\surd}km$로 IGA의 고정밀 수준측량기준을 충족하였다. 1등 수준망은 1점(수준원점) 고정방식에 의한 망조정이 수행되었으며, 기준 표준오차($\hat{{\sigma}_0}$)는 $1.8mm/{\surd}km$로, 1987년 1등 수준망 조정의 기준 표준오차($\hat{{\sigma}_0}$)보다 2배 향상된 결과이다.

Weight Factor를 고려한 복합측지망의 정확도 해석 (The Accuracy Analysis of Combined Geodetic Network Considering the Weight Factor.)

  • 강준묵;이진덕;이용창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9-27
    • /
    • 1988
  • 정확하고도 신속한 수평위치해석의 조정기법들이 다양하게 그동안 연구, 개발되어 왔다. 보다 정밀한 E.D.M, electronic total station등과 같은 신측정장비의 개발은 각, 거리의 측정에 있어 종래의 측량 방식에 비해 많은 이점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앞으로 각과 거리를 동시에 적용하여 조정하는 기법의 활용이 기대된다. 본 연구는 복합측지망을 구성하여 각, 거리, 방위각 및 기준점 좌표 등 weight factor의 변화에 따른 조합조정기법의 특성을 삼각, 삼변측중과 비교하여 고찰한 것이다. 각 기법의 표준오차를 다양하게 비교한 결과 복합 측지망에서도 타 기법에 비해 조합조정기법의 우월성 및 적용타당성이 입증되었다.

  • PDF

적응적 크기 조정을 이용한 블록 기반 신경망 이미지 부호화 (Neural Image Compression using Block based Adaptive Resizing)

  • 박민정;김영웅;김동현;임성창;김휘용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2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199-1202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연구되고 있는 신경망 이미지 부호화(NNIC: Neural Network based Image Coding)를 위한 적응적 크기 조정을 이용한 블록 기반 신경망 이미지 부호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이미지를 여러 개의 2N×2N 블록으로 분할한 후 분할된 각 블록에 대해 두 가지 크기 조정 모드 중 하나로 부호화를 수행한다. 첫번째 모드는 2N×2N 블록을 구성하는 4 개의 N×N 블록을 각각 NNIC 인코더의 입력으로 사용하는 모드 1(크기 미조정 모드)이며, 두번째 모드는 2N×2N 블록을 하나의 N×N 블록으로 다운 스케일링하여 NNIC 입력으로 사용하는 모드 2(크기 조정 모드)이다. 모드 결정은 비트율-왜곡 비용(Rate-distortion Cost)이 더 적도록 이루어진다. 블록 기반 부호화와 제안 알고리즘을 비교하면, BDBR 은 약 -1.75%, BDSNR 은 약 0.073dB 으로 제안 알고리즘에서 성능 향상이 나타났고, 픽처 부호화와 제안 알고리즘을을 비교하면 BDBR 은 약 0.57%, BDSNR 은 -0.029dB 로 픽처 부호화와 거의 유사한 성능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가중측점망 조정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Densification by Modified Weighted Station Approach)

  • 백은기;이영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133-141
    • /
    • 1991
  • 실용성과를 갱신하기 위하여 새로운 측지망을 국가 기준점망에 결합하는 문제는 조정원점의 선택방법에 따라 조정결과가 바뀌는 측지망의 독특한 특성 때문에 경험적인 최선의 방법을 채용해 오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기지점의 좌표를 가상의 측점량으로 고려하여 미지점으로 취급하는 가중측점망(Weighted Station Parameter Network) 방식을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기설 기준점의 공분산 행렬을 사용하는 대신에 대각선 요소만을 고려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설삼각망의 측정량이 미지인 국내의 측지망에서는 개선된 방법이 변동점 검출과 결합조정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작업규정과 테스트망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기설 2등 삼각점의 정확도는 ${\pm}16^{{\prime}{\prime}}$(${\pm}0.08m$)의 정확도를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정밀 2차 기준점망을 1, 2등 삼각점에 결합할 경우에 ${\pm}2.3^{{\prime}{\prime}}$의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G-5 상대중력계를 이용한 중력관측 및 중력망조정에 관한 연구 (Research for Gravity Measurements Using CG-5 Autograv System and Network Adjustment)

  • 황학;윤홍식;이동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13-722
    • /
    • 2009
  • 중력측량은 지구중력장 결정, 지각의 수직운동, 지오이드면의 변화, 해수면변화, 기후변화 등 측지학적, 지구동력학적 연구의 기초이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최근 들어 FG-5 절대중력계를 도입하여 절대중력 기준망의 구축을 위한 틀을 마련하였고 다차원 다기능 기준점인 통합기준점을 전국에 약 1,200점을 설치하여 상대중력측량을 실시함으로써 한국의 고정밀 지오이드모델의 개발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중력측량의 기본적인 이론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고, 최신 상대중력계 Scintrex CG-5를 이용하여 총 21점에 대한 상대중력측량을 수행하였으며, 자유망조정 및 무게제한 망조정 방법을 이용하여 중력성과를 계산 및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두 가지 방법 모두 높은 정밀도의 중력성과 계산이 가능하지만 자유망조정이 무게제한 망조정 방법에 비해 상대적인 우위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숫자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umerical Recogniti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 전민혁;김병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11-514
    • /
    • 2019
  • 인공지능이 정형화된 수치 데이터뿐만 아니라 비정형 데이터까지도 인식해야하는 시대가 왔다. 보안 분야 이외에도 사회 전반에서 숫자 인식을 활용하고 점차 확대되고 있다. 숫자인식을 위해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였다. 인공신경망은 입력 층, 중간 층, 출력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층은 노드와 노드들을 연결하는 가중치로 구성되어 있다. data set을 입력 값으로 하여 각각의 가중치를 곱한다. 오차역전파법을 이용하여 가중치 값을 갱신한다. 갱신하는 과정에서 학습률과 가중치 조정을 통해 결과 값의 정확도를 연구한다. 궁극적으로 학습된 data set과 인공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손 글씨로 된 숫자를 인식한다. 실험에서 학습률과 중간층의 노드 개수를 조정하여 인식률을 높여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