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말초신경손상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5초

Effects of swimming on functional recovery and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mRNA expression after sciatic crushed nerve injury in rats

  • ;;;김창주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6권2호
    • /
    • pp.128-139
    • /
    • 2004
  • 말초신경은 외상이나 질병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손상되기 쉬우며, 손상의 정도가 심하거나 치료가 지연되는 경우에는 심각한 기능 소실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영이 말초신경손상후 운동기능의 회복과 뇌유인성 신경영양인자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mRNA의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 좌골신경에 압박 손상을 가하고 수영을 적용한 후 보행궤적분석 (walking track analysis)과 역전사연쇄반응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좌골신경 압박손상된 쥐는 특징적인 보행패턴을 나타내어 좌골신경기능지수 (sciatic function index, SFI)가 현저히 낮아졌으며, BDNF mRNA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좌골신경 압박 손상후 수영을 한 쥐에서는 SFI가 현저히 향상되었으며, BDNF mRNA의 발현은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말초신경손상후 수영이 BDNF mRNA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기능 회복을 촉진시키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 PDF

특집 - 내 몸의 신경도 파괴하는 당뇨

  • 이우제
    • 월간당뇨
    • /
    • 통권216호
    • /
    • pp.32-35
    • /
    • 2007
  • 당뇨병은 단순히 혈당이 높은 병이 아니다. 혈당이 높은 상태로 오랫 동안 지속되면 우리 몸의 여러 곳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그 대표적인 곳이 눈의 망막과 콩팥(신장), 그리고 신경이다. 신경이란 뇌에서 나와 우리 몸의 구석구석까지 뻗어 있는 나뭇가지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특히 뇌에서 우리 몸의 손끝, 발끝에 있는 근육에 명령을 보내 몸을 움직이게 하거나 반대로 손끝, 발끝에서 느끼는 여러 감각을 뇌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신경을 말초신경이라고 한다. 말초신경에 문제가 생기면 뇌가 손, 발에 내리는 명령을 수행할 수 없거나(손, 발을 제대로 움직이지 못함), 손, 발에서 느끼는 여러 감각을 뇌로 전달하지 못해 감각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말초신경이 손상되는 이유는 당뇨병 외에도 영양결핍, 납중독, 약물, 신부전증, 갑상선기능 저하증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말초신경이 손상되는 가장 흔한 원인은 당뇨병이 오래되고 혈당이 조절되지 않아서 생기는 '당뇨병으로 인한 신경합병증'이다.

  • PDF

생쥐 신경계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Acrylamide의 영향 (The Effect of Acrylamide on the Ultrastructures of Nervous System of the Mouse)

  • 김동수;하재청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54-460
    • /
    • 1990
  • Acrylamide의 신경독성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초기운동실조증이 유도된 생쥐의 신경계에 대한 Acrylamide의 영향을 관찰한 결과, 중추 및 말초신경조직에 있어서의 손상이 보여 척수의 전반적 공포현상, 신경원 및 신경교의 세포손상 그리고 말초신경섬유의 퇴행현상들이 보였다. 또한 이들에 대한 미세구조적 관찰에 의하여 신경원에서의 비정상적 미토콘드리아 및 척수전근 섬유에서의 수초의 균혈화 현상등이 야기됨을 알았으며 좌골신경에서의 수초의 부분적 붕괴 및 축삭형질내의 퇴행현상들도 보였다. 위와 같은 실험결과는 Acrylamide로 인한 중독의 영향이 말초신경장애의 증상으로 나타나나 최초의 신경독성효과는 중추 및 말초신경계에 대해 거의 유사한 시기에 작용함을 시사한다.

  • PDF

Needle TENS가 흰쥐 말초신경손상 후 Nerve Growth Factor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eedle TENS to Nerve Growth Factor(NGF) Revelation After Damage of the Peripheral Nerve of a White Rat)

  • 배주한;이복규;김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950-957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Needle TENS를 이용하여 웅성 흰쥐를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어 말초신경손상의 좌골신경을 30초 압좌하여 1일, 3일, 5일, 7일 치료 후 NGF의 변화를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대조군에서는 1일째 면역반응 신경세포의 수가 많이 증가된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3일, 5일, 및 7일로 시간이 경과할수록 반응하는 신경세포수는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신경손상을 받지 않은 정상부분의 반응양성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실험군에서는 1일째는 대조군과 실험군간의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3일, 5일, 7일 단위로 치료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면역반응 신경세포의 변화는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었는데, 대조군과 실험군간의 NGF 변화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되는 결과를 보였고, 대조군보다는 실험군에서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때 Needle TENS를 적용하니 NGF의 감소를 보여 치료를 촉진시켜 치유과정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손상된 말초신경의 재생에 미치는 전자침의 효과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on the Regeneration of Injured Peripheral Nerve)

  • 등영건;김동희;캉송젠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1호
    • /
    • pp.1-8
    • /
    • 2002
  • 손상된 말초신경이 정상상태로 회복되는데 침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좌골신경을 인위적으로 손상시킨 후 침을 처리한 군 (AG)과 자연적으로 치유된 군 (CG)의 좌골신경내의 유발전위 증가율, 척수내 효소활성도의 변화 및 좌골신경의 미세구조를 비교.관찰하였다. 유발전위 증가율은 CG에서보다 AG에서 높았고, acid phosphatase 활성도는 1CG와 2AG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상상태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손상된 좌골신경의 미세구조적 변화는 CG보다 AG에서 높은 회복율을 나타내었으며 단지 AG에서만 좌골신경 주위에 지방조직이 발달되어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상과 같이 손상된 말초신경이 정상상태로 회복되는 속도는 전자침을 처리한 군에서 높았으며, 특히 다른 치료기간보다 초기시기에서 침의 효과가 매우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화타협척혈 침자극에 의한 손상 말초신경의 재생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f the Effects of Acupuncture Stimulation at Huatuo Jiaji(EX B2) Points on Axonal Regeneration of Injured Sciatic Nerve in the Rats)

  • 김대필;박영회;금동호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9-61
    • /
    • 2008
  • 목적 : 좌골신경 압좌손상으로 유발된 쥐의 모델을 이용하여 손상된 말초신경의 재생효과에 관한 침자극 효과를 세포분자학적, 조직학적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아울러 손상 좌골신경을 지배하는 척수신경근과 가까운 부위 경혈자극과 좌골신경이 지배하는 말초부위 경혈자극과의 침자극 효과를 비교 연구하였다. 방법 : 한쪽 좌골신경에 압좌손상을 유발 한 실험쥐들을 1주, 2주로 나눈 뒤 각각에 대해 격일로 1주군은 3회, 2주군은 6회의 침자극을 시행하였다. 손상 좌골신경의 재생효과를 비교실험하기 위해 정상군, 압좌손상만을 유발한 실험군, 침자극 군으로 나누었다. 침자극 군 중 한 군은 손상신경을 지배하는 척수신경근에 가장 가까운 2개의 화타협척혈(EX B2)에 자침(근위부 자극군)하였고, 다른 한 군은 말초부위에 위치한 족삼리혈(ST 36)과 위중혈(BL 40) 2곳에 자침(원위부 자극군)하였다. 실험 후 각각의 조직을 분리하여 Western blotting 혹은 Hoechst staining으로 Gap-43, Cdc2, Cdk2, Erk1/2 단백질을 분석 및 좌골신경의 각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Retrograde tracing을 통해 L5의 DRG와 척수에서 말초신경 재생 효과를 관찰하였고, Immunofluorescence staining을 통해 신경돌기 가지의 신장 정도를 파악하였다. 결과 : 좌골신경 손상 7일된 실험쥐의 근위부와 원위부 침자극군에서 GAP-43와 Cdc2 단백질수준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Cdk2 단백질수준은 압좌손상 실험군에서 강하게 증가하였지만 침자극군과 비교해서 별다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hospho-Erk1/2 단백질수준은 침자극군에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손상 7일과 14일 된 실험쥐의 손상 원위부에서 슈반세포 수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근위부 침자극군에서 더욱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Retrograde tracing을 이용한 검사 결과 침자극군에서 L5의 DRG와 척수의 염색 세포 수가 증가된 것으로 나타나 침자극이 축삭재생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L5의 DRG 감각신경의 신경돌기 가지 신장정도 및 GAP-43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측정한 결과 근위부 침자극군에서 효과적으로 GAP-43 단백질의 발현 및 신경돌기 가지가 신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실험결과 침치료가 손상 좌골신경의 재생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여지며, 특히 손상된 좌골신경을 지배하는 척수신경근 주위 화타협척혈에 대한 침자극이 말초부위의 침자극에 비해 신경재생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말초신경손상이 척수후근신경절 및 척수에서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발현에 미치는 양상 (Patterns of the peripheral nerve injury on expression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in dorsal root ganglia and spinal cord in rats)

  • 하선옥;홍해숙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4권1호
    • /
    • pp.101-112
    • /
    • 2002
  • Peripheral nerve injury results in plastic changes in the dorsal ganglia (DRG) and spinal cord, and is often complicated with neuropathic pain.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se changes are not known, but these changes seem to be most likely related to the neurotrophic facto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echanical peripheral nerve injury on expression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BDNF) in the DRG and spinal cord in rats. 1) Bennett model and Chung model group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percentage of small, medium and large BDNF-immunoreactive neurons in the ipsilateral $L_4$ DRG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tralateral side at 1 and 2 weeks of the injury. 2) In the ipsilateral $L_5$ DRG of the Chung model, percentage of medium and large BDNF-immunoreactive neurons increased significantly at 1 week, whereas that of large BDNF-immunoreactive neurons decreased at 2 week when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tralateral side. The intensity of immunoreactivity of each neuron was lower in the ipsilateral than in the contralateral DRG. 3) In the spinal cord, the Bennett and Chung model groups showed a markedly increased BDNF-immunoreactivity in axonal fibers of both superficial and deeper laminae.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peripheral nerve injury in neuropathic models altered the BDNF expression in the DRG and spinal cord. This may suggest important roles of BDNF in sensory abnormalities after nerve injury and in protecting the large-sized neurons in the damaged DRG.

  • PDF

손상된 흰쥐의 좌골신경에 저출력 레이저 조사후 전기생리학적 변화 (Electrophysiological Changes after Low-Power Infrared Laser Irradiation on Injured Rat Sciatic Nerves)

  • 배춘식;신수범;김권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4-119
    • /
    • 2006
  • 저출력 적외선 레이저가 손상된 말초신경의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의 양측 좌골신경에 압궤손상을 준 뒤, 레이저 조사 기간에 따라 1, 3, 5 및 7주군으로 나누어 손상된 좌골신경의 신경전도속도와 진폭을 측정하여 신경재생의 정도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좌골신경전도속도 검사에서 압궤손상 유발후에 손상전보다 유의하게 전도속도가 지연되었으나, 레이저를 조사한 실험측은 치료후 3주에 현저하게 신경전도 속도가 증가하였다. 좌골신경 진폭 검사에서 압궤손상 유발후에 손상전보다 유의하게 진폭이 감소하였으나, 레이저를 조사한 실험측은 치료후 3주에 복합근 활동전위의 진폭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저출력 레이저 조사는 손상된 좌골신경의 기능회복에 있어, 주로 손상 초기의 회복속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되는 바, 향후 말초신경 손상의 재활치료에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삼차신경 손상에 의한 신경병증성 통증에서 보툴리눔 독소의 진통 효과 (Analgesic Effect of Botulinum Toxin on Neuropathic Pain after Trigeminal Nerve Injury)

  • 김영건;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2호
    • /
    • pp.171-178
    • /
    • 2012
  • 보툴리눔 독소 주사는 이마, 눈가 주름치료 등 미용성형분야 뿐만 아니라 구강 악안면 분야에서는 만성 편두통(chronic migraine), 근육긴장이상(dystonia), 경직(spasticity), 측두하악장애(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의 치료 등에 사용되어 왔다. 최근 보툴리눔 독소 주사가 운동신경에서 마비효과 뿐만 아니라 감각신경에서 말초감작과 신경원성염증과 관련되는 substance P, CGRP, glutamate 등 비콜린성 신경전달물질의 유리를 차단하여 통증신호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는 가설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쥐, 토끼 등 동물 신경 손상 모델에 대한 실험과 치과 치료 후 발생한 신경 손상 환자에서 보툴리눔 독소의 진통 효과 및 작용 기전을 살펴보고자 한다.

신경 재생 관찰을 위한 Implant Microelectrode Array System의 연구 (A Study of Implant Microelectrode System for Regenerating Nerve Monitoring)

  • 이충근;강세구;장윤호;선우요셉;김용호;김용준;이영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807-2808
    • /
    • 2003
  • 말초 신경계에서 손상된 신경은 그 손상된 정도에 따라 재생의 정도가 달라진다. 이러한 신경 재생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 초미세 전극 어레이 기술이 연구되고 있는데 이것은 전기신호경로(via hole)를 초미세 전극어레이를 제작하여, 손상된 신경의 근위부(proximal stump)와 원위부(distal stump) 사이에 직접 삽입하여 선경으로부터 재생되어온 신경 섬유의 전기적 전도 선호를 측정 및 기록하는 것이다. 이는 신경 재생을 관찰하는 방법으로서 신경보철(neural prostheses) 기술에 이용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손상된 신경의 재생을 관찰하기 위한 implantable microelectrode array system을 설계하고, 원 신호인 선경 전도 신호의 특성과 제작된 이식형 초미세전극(implantable microelectrode)의 특성을 고찰하며, 동물 실험을 통하여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