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만성 질환 아동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6초

가족탄력성이 만성질환아 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Impact of Family Resilience on the Adaption of Family with Chronic Illness Child)

  • 이은희;손정민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27호
    • /
    • pp.95-120
    • /
    • 2008
  • 본 연구는 가족탄력성 이론에 근거하여 만성질환아 가족의 스트레스와 가족적응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은 어떤 경로를 통해 어떻게 가족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만성질환아 가족의 적응력 향상을 위한 사회사업개입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증적인 지식을 얻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들은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그리고 경상북도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에서 만성질환으로 진단 받고 3개월 이상 치료중인 0세~15세의 만성질환아 가족들이다. 연구의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만성질환아 가족의 스트레스는 가족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가족탄력요인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성질환아 가족의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족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강점 관점에 근거하여 가족의 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만성질환아 가족의 탄력성 강화를 위한 개입전략을 제시하였다.

만성적인 신체 질환 및 장애를 지닌 아동의 심리적 특성 : 자기개념 및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양상 비교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CHILDREN WITH CHRONIC PHYSICAL ILLNESS AND HANDICAPPED:SELF-CONCEPT AND STRESS COPING STRATEGY)

  • 최승미;정진엽;김중술;신민섭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1권2호
    • /
    • pp.252-261
    • /
    • 2000
  • 목 적:만성 신체 질환 아동의 우울, 자기 개념 및 스트레스에 대한 지각과 대처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연구 대상자는 서울대학교 병원 어린이 병원에 입원해 있거나 외래에 다니는 환아 13명과 정상아동 13명으로 구성되었다. 만성 질환 아동군은 Schiffer 등(1963)이 만성 환자군으로 정의한 조작적 정의에 근거하여 최소한 3개월 이상 질환을 앓고 있거나 앓았던 적이 있으며, 현재도 그 질환으로 인해 지속적인 치료를 받고 있는 정형외과, 소아과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상 아동군은 그러한 병력이 없는 아동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 도구는 피어스-해리스 자기 개념 척도, 소아 우울 척도, 투사적 검사(나의 기분을 색으로 표현하기, 다른 사람으로 인한 나의 기분을 색으로 표현하기, 비속의 아이)를 실시하였다. 결 과:만성 질환 아동군과 정상 아동군을 비교한 결과, 만성 질환 아동군이 소아 우울 척도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자기 개념 척도에서는 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자기 개념 척도의 하위 항목인'인기도' 및 '학습 상태'에서 유의미하게 점수가 낮았다. 투사 과제의 경우,'색으로 표현하기' 과제에서는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스트레스에 대한 지각 및 대처를 평가하는 '비속의 아이' 과제에서는 하위 항목(비의 양, 기간, 도구, 효율성) 모두에서 집단간의 차이를 보였다. 비속의 아이 과제와 우울 점수, 자기 개념 점수와의 상관 계수를 구한 결과, '비가 오는 기간' 항목이 우울 점수와는 정적 상관을, 자기 개념 점수와는 높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결 론:만성 질환 아동군이 정상 아동군 보다 더 우울하며, 자기 개념이 더 부정적이었다. 또한, 이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는 상당히 지속적이고 장기적이며, 이에 대해 대처할 수 있는 스스로의 능력이나 전략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는 매우 무기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만성적인 신체 질환이 아동의 정신 건강 및 심리적 적응에 있어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 PDF

남녀 노인의 만성질환 수와 우울감의 관계: 배우자 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 (The Association between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Elderly Men and Women: The Moderating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 공희진;전혜정;주수산나
    • 한국노년학
    • /
    • 제40권3호
    • /
    • pp.511-53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노인을 대상으로 만성질환 수와 우울감의 관계에 대한 배우자 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2016년도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에 참여한 65세 이상의 기혼 남성 노인 585명과 여성 노인 460명이다. 주요 분석 변수는 만성질환 수, 배우자 관계 만족도, 우울감이며, 선행연구에서 노년기 우울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연령, 교육수준, 가구소득,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기능, 현재 흡연 여부 그리고 배우자의 만성질환 수를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조절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SPSS WIN 25.0을 사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 노인의 만성질환 수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배우자 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남성 노인의 경우 배우자 관계 만족도가 낮은 집단에서 만성질환 수는 우울감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요인이었지만, 높은 집단에서는 만성질환 수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여성 노인의 만성질환 수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배우자 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남녀 노인의 만성질환 수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배우자 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가 성별에 따라 다른 것을 발견하였으며, 특히 노인 만성질환자가 정신적으로 건강한 노년기를 영위할 수 있도록 배우자라는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의 실천적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만성질환을 가진 학령기 아동·청소년의 학교 건강관리에 대한 인식: 통합적 문헌고찰 (Perceptions of School Health Care among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hronic Disease: An Integrative Review)

  • 엄주연;최미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309-322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integrative review was to synthesize previous research on perceptions of school health care among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hronic diseases.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Whittemore and Knafl's stages of an integrative review (problem identification, literature search, data evaluation, data analysis, and presentation of the results). Four databases (PubMed, CINAHL, Embase, and Web of Science) were used to retrieve relevant articles. Results: Eighteen articles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We identified five thematic categories: peer-related issues, a safe school environment, self-perception of an existing disease, self-management, and a supportive school environment.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chool health care system with a supportive environmen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hronic diseases.

만성 알레르기 질환 아동의 어머니-의료진 간 파트너십이 어머니의 아동 상태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Mother-Medical Staff Partnership on Mothers' Condition Management Ability for Children with Chronic Allergic Diseases)

  • 손해경;송효빈;김동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101-108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mother-medical staff partnership on mothers' condition management ability for children with chronic allergic diseases. Methods: A total of 109 Korean mothers caring for a child with a chronic allergic diseases, identified according to the allergic march, such as food allergy, atopic dermatitis, allergic rhinitis, and allergic asthma, were recruited from the pediatric department of a general hospital in Seoul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August 1, 2017 to October 31, 2017.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version 22.0. Results: The Mother-medical staff partnershi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others' condition management ability for children with chronic allergic diseases (p<.05).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with nursing servic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others' condition management ability (p<.05). Conclusion: In conclusion, strategies to support children with chronic allergic diseases, as well as their caregivers, should consider the mother-medical staff partnership as part of a family-centered approach.

예비초등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행위 및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간의 관계 (Association of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to Attitudes about Child with Asthma 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 문소현;조헌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85-492
    • /
    • 2017
  • 본 논문은 일부 지역 교육대학생의 건강지각, 건강증진행위, 만성질환인 천식 아동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고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에 영향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G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교육대학생 3, 4학년 329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t-test, ANOVA,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대학생의 건강지각점수는 4점 만점에 2.85점, 건강증진행위는 4점 만점에 2.49점, 천식 아동에 대한 태도 점수는 5점 만점에 3.67점이었다. 연구변수간의 상관관계는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와 건강지각, 건강증진행위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에 영향하는 요인으로 건강증진행위 하위영역 중 대인관계, 건강지각, 학년이 확인되었고,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를 12.2%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다 적극적인 자기 건강관리가 요구되는 예비교사인 교육대학생에게 있어 스스로 자신의 건강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출발되어 건강증진을 위한 행위 실천이 만성질환아동인 천식에 대한 태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천식 및 만성질환 아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 함양을 위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건강관리 및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마련이 필요하다.

만성질환을 가진 아동과 가족의 극복력 (Rresilience in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and in Their Family)

  • 백경원;최미혜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223-232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scribe of resilience in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and family resilience, and to identify their correlations.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108 children and their families, being treated by hospitals C and K in Seoul, who are diagnosed with nephrotic syndrome, IgA nephritis, diabetes, asthma at least six months ago. Descriptive,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done. Result: The mean score of resilience in children was 101.31 and family resilience was 60.14. The variable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resilience in children according to a general characteristic was the gender of a child (t=6.209, p<.05), diagnosis (F= 6.315, p<.01), age of a mother (t=2.237, p<.05), and school grade (F=12.838, P<.01). In terms of the family resilience according to a general characteristic, the variable showing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was the order of sibling (F=13.468, p<.01).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resilience in children between family resilience (r=.356, p<.01).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proposed the implement programs for the increase of the resilience in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In order to give a positive effect on the resilience in children, implement for the increase of the family resilience is also proposed.

  • PDF

만성질환아동 부모의 부모되기 경험 (Parenting Experience of Parents with Chronically Ill Children)

  • 박은숙;이기형;오원옥;임여진;조은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272-284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scribe the parenting experience of parents of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in Korea. Methods: A conventional contents analysis was used for the study. Twelve mothers of chronically ill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Morse and Field method. Results: Four categories, 10 subcategories and 42 codes emerged from the data on the parenting experience of parents of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The four categories were 'Sacrifice and full-engagement within self-mortification', 'Re-normalization of collapsed daily life', 'Paving a new way for independence' and 'Growing together of myself and the family'. Conclusion: Parents of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experienced not only negative aspects such as a confusion but also re-normalization and growing together. Based on the results, health professionals need to develop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toward positive parenting for these parents and their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es.

학령기 아동의 신체적, 심리사회적 건강상태에 따른 주관적인 삶의 질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만성질환과 정서행동문제를 가진 아동을 중심으로- (Self-Reported Quality of Life and Physical, Psychosocial Health State in Korean School-Age Children : Focus on Children with Chronic Diseases and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 이보람;박혜준
    • 아동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2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examine the impact of chronic diseases and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on school-age children's self-perceived QOL, and (2) to investigate what factors were related to the QOL of children. Participants were 972 Korean 4th, 5th, & 6th grade students and 47 teachers. Children completed a questionnaire to evaluate their self-perceived well-being and subjective health. Also they reported their height/weight and physical health state indicating whether they have chronic diseases or not. Teachers reported each child's psychosocial health problems and also reported whether the child has chronic diseases or not.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Physical and psychosocial health status had significant impact on school-age children's QOL. Moreover, physical and psychosocial health status were interrelated. 2. Presence of physical and psychosocial problems contributed to substantial declines in self-perceived QOL of school-age children. Children who have chronic diseases and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QOL compared with children in a normal state. 3. Peer relationship was found to be the significant factor that contribute to the QOL of all children.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비만관리 프로그램의 운영사례 - 미취학아동 비만예방 영양개선사업 - (The case study of obesity management program in local community - The practical approach for better Preschool children and preventing of obesity -)

  • 엄순희;신정원;장남수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비만ㆍ다이어트 박람회
    • /
    • pp.67-81
    • /
    • 2003
  • 우리나라의 비만아동의 문제는 이미 그 규모와 분포 면에서 미국이나 유럽아동에 못지 않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아동비만은 청소년기 비만, 장년기 비만으로 이어지며, 이는 곧 만성퇴행성 질환으로 이어지는 보건영양문제로서 그대로 방치할 것이 아니라 교육이나 건강행위실천을 통해 미리 적극적으로 예방해야 하는 문제이다. 또한 비만아동에게는 자신감 상실, 우울증, 부정적 자기 신체상 등과 같은 사회 정서적 문제들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몸과 마음이 모두 건강한 국민 체력향상 차원과 국가 경제의 안정을 도모하는 차원에서 비만 아동을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