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만생종

검색결과 268건 처리시간 0.022초

벼주요품종의 질소시비수준에 따른 도복저항성 정도 (Field Lodging Degree of Rice Varieties according to Nitrogen Application Rate)

  • 박중수;이원우;주영철;김영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26-235
    • /
    • 2002
  • 본 연구는 쌀의 지속적 안정생산을 위한 기상재해 경감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중부지역 벼 주요 장려품종의 포장 도복저항성 정도를 질소 보비와 다비 조건에서 검토하여 도복발생 상 습지역이나 질소과비 우려지역에서 벼 재배시 내도복성 품종의 선택 기준자료로 활용코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다비시 도복저항성이 강한 품종은 오봉벼, 대진벼, 내풍벼, 농안벼, 일품벼의 5품종, 중 정도인 품종은 대안벼 등 14품종, 약한 품종은 진부벼 등 11품종이었다. 2. 질소다비시 도복정도별 직접효과가 큰 형질은 도복정도가 9로 심했던 품종은 간장과 중심고, 도복정도 5에서는 간장, 도복정도 3이하로 도복에 강했던 품종은 간장, 제3절간으로 나타났다. 3.쌀 수량은 질소보비에 대한 다비의 수량지수로 볼 때 조생종은 수량차가 5% 이내로 적었으나, 중생종 및 중만생종은 도복시기 및 도복저항성 정도에 따라 수량차가 크게 나타났다. 4. 이상에서와 같이 우리나라 중부지역 적응 벼 주요 장려 품종 중 도복저항성이 강한 품종을 도복발생 상습지역이나 질소 과비 우려지역에 재배함으로서 도복발생을 경감하여 쌀의 지속적 안정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벼 품종의 상위절 분얼 발생양상 (Occurrence of Upper Node Tiller in the Rice Varities)

  • 박경배;이성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9
    • /
    • 1987
  • 벼 상위절 분얼발생양상을 검토하기 위하여 1983년에는 벼 생태형 및 품종별로 조사하였고, 1984년에는 다수계품종을 공시하여 시비수준에 따른 영향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상위절 분얼양상은 사위 제 2절 제 3절 그리고 제2, 3절에서 동시 발생하는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2. 벼 생태형 및 품종에 따른 상위절분얼 정도는 다수계 품종이 일반계 품종보다 높았고, 조생종품종이 중만생종 품종보다 높았다. 3 벼 상위절 분얼 경율과 본답 이앙으로부터 출수까지 일수와는 부의 유의 상관이 인정되었으며, 제2절의 병각회와도 부의 유의상관이 인정되었다. 4. 시비수준에 따른 벼 상위별 분얼 발생정도는 무비재배조건이 보비(N -P$_2$O$_{5}$ -K$_2$O=15-11-13kg/10a) 및 다비(N-P$_2$O$_{5}$ -K$_2$O=25-15-18kg/10a) 조건보다 높았다.높았다.

  • PDF

수확시기가 쌀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arvest Time on Yield and Quality of Rice)

  • 채제천;전대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54-258
    • /
    • 2002
  • 앙식미 쌀생산을 위한 기초 정보를 얻고자 조생종인 대진벼, 중생종인 서진벼, 중만생종인 추청벼를 공시하여 농가포장 조건에서 수확시기에 따른 수량과 품질특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백미의 단백질 함량은 대진벼, 서진벼, 추청벼 모두 수확시기가 출수후 40일에서 70일로 늦어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2. 식미계에 의한 식미치는 대진벼, 서진벼, 추청벼 모두 출수후 40일에 수확시 유의하게 높았고 출수후 70일로 늦어짐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3. 수량과 식미를 함께 고려한 수확적기는 대진벼는 출수후 40-50일, 서진벼와 추청벼는 출수후 40-60일이나 앙식미를 위하여는 3품종 모두 출수후 40-50일에 수확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 식미를 좋게 하는 등숙적산온도는 대진벼와 서진벼는 120$0^{\circ}C$, 추청벼는 110$0^{\circ}C$ 정도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5. 식미치는 백미의 단백질함량과는 매우 유의하고도 직선적인 부의 상관(-0.94$^{**}$ )을 나타내었고 아밀로스함량과는 매우 유의한 정상관(0.66$^{**}$ )을 나타내었다. 6. 식미치는 적산등숙온도와 매우 유의하도고 직선적인 부의 상관(-0.79$^{**}$ )을 나타내어 등숙기간중 적산온도가 낮을수록 식미치가 높았다

태양광 반사율을 이용한 벼 군락의 건물량 추정 (Estimation of Rice Dry Matter Production by Spectral Reflectance of Solar Radiation in Paddy Field)

  • 이정택;이춘우;주문갑;홍석영;김한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55-262
    • /
    • 1997
  • 벼 군락에서 건물생산량을 태양광의 반사스펙트럼 특성을 이용하여 추정하고자 1993년 4월부터 10월까지 경기도 소재 수원기상대 구내 포장에서 조생종 진부벼와 중만생종 대청벼, 일품벼를 공시 품종으로 하고 생육시기별 태양광 반사스펙트럼과 건물중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출수전에 근적외광 파장대(720∼l,100nm)의 반사율을 가시광 파장대 (400∼700nm)의 반사율로 나눈 비율이 건물생산량과 상관이 높았으며, 가시광 파장대 중에서도 녹색, 적색파장보다 청색파장(400∼500nm)의 반사율로 나눈 비율이 건물생산량과의 상관이 높았다. 2. 적외광 파장의 반사율을 청색파장의 반사율로 나눈 비율 중에서 특히 R910 /R460 비율이 건물생산량과 가장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3. 출수이전에 R910/R460 비율과 건물생산과의 회귀식을 이용한 추정식 Y=21.24284 X-212.734는 실측치와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았다. 4. 출수이후엔 근적외광 파장(720∼l,100nm)의 반사율을 적색파장(600∼700nm)의 반사율로 나눈 비율이 청색이나 녹색파장의 반사율로 나눈 비율보다 건물생산량과의 상관이 더 높았다.

  • PDF

출수기 기상환경이 세균성 벼알마름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Weather Condition at Heading Period on the Development of Rice Bacterial Grain Rot Caused by Burkholderia glumae)

  • 차광홍;이용환;고숙주;박서기;박인진
    • 식물병연구
    • /
    • 제7권3호
    • /
    • pp.150-154
    • /
    • 2001
  • 세균성벼알마름병의 발생 예측 모델을 만들기 위하여 출수기의 기상 환경과 병 발생과의 관계를 자료분석(1992~2000)과 온실 및 포장시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세균성벼알마름병의 발생이 많은 해는 '94, '95, '98, 2000년이었고, 중만생종 출수기인 8월 상.중순에 고온이 지속되면서 연속강우가 많았다. 반면 병 발생이 적었던 '93년은 강우량과 강우일수는 많았으나 저온이었고, '97년에는 온도는 높았으나 강우가 적은 경향이었다. 출수기에 접종 후 습실처리 하였을 때(24시간 이상) $10^2$cfu/ml에서부터 발병하기 시작하여 접종농도가 높을수록 발병도가 높아져 $10^{8}$ cfu/ml에서는 86.1%의 발병도를 보였다. 습실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10^{8}$ cfu/ml에서만 12.5% 발병하였다. 또한 발병도가 증가함에 따라 천립중과 등숙률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 PDF

벼 주연효과의 품종간 차이와 그 생장해석 (Varietal Difference and Growth Analysis of Border Effect in Rice Plant)

  • 김광호;양충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21-327
    • /
    • 1984
  • 벼 재배시에 나타나는 주연효과의 품종간 차이와 생장해석을 통한 주연효과의 원인을 알고져 3품종을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논의 외연 1∼2 열에 심겨진 벼의 수량은 내부열에 비하여 평균 30% 정도 많았는데 주연효과는 품종에 따라서 최대 35%, 최소 21%이었다. 2. 주연효과에 의한 수량증가는 논의 외부 1∼2열에서만 나타났으나 한강찰벼는 외연으로부터 4열까지도 주연효과가 나타났다. 30 주연효과는 주당수수와 수당입수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4. 수건물중과 엽면적은 이앙후 30∼60일경부터 외열과 내열간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조생종은 중만생종보다 주연효과에 의한 건물중과 엽면적의 차이가 빨리 나타났다. 5. 개체군생장속도, 상대생장율, 순동화율 및 엽면적비 등에 있어서도 주연효과를 나타내는 시기가 많았다.

  • PDF

온대와 열대에서 생태형이 다른 수도품종의 수량 및 생육형질의 변이 IV. 온대지방에서 파종기와 묘대일수에 따른 품종별 반응 (Variations of Yields and Growth-related Characteristics shown by Different Ecotype of Rice Varieties in the Temperate and Tropical Zones IV. Varietal Variation in Different Sowing Times and Nursery Period in Temperate Zone)

  • 노건길;이은웅;권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1-129
    • /
    • 1987
  • 인도네시아품종인 Indies 4개품종과 Bulu 4개 품적을 한국품종인 Japonica 4개 품종과 원록교잡 통일형 4개 품종을 비교하기 위하여 파종기와 묘대일수들 달리하여 비교한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1. 공시한 Bulu 4개 품종중 Jamu, Putih Gang-sar. Kesambi Putih 등 3개 품종은 처리한 어떠한 파종기나 묘대일수에서도 출수치 않았으며 Untup품종은 조기에 파종한 것 중에서 부대일수가 빠른 구에서 출수하였으나 성숙치는 못하였다. 2. Indica의 만생종인 Cisadane는 식대일수가 짧은 것은 출수하였으나 성숙치는 못하였으며 나머지 3개 품종은 처리한 모든 구에서 출수하여 성숙하였으나 조기파종과 묘대일수가 짧은 것일수록 수업성적이 좋았다. 3. 한국 품종은 Jaronica형이 나 통일형 품종은 처리한 모든 구에서 출수ㆍ성숙하였으나 조기파종 및 묘대일수가 짧은 것일수록 수량성적이 좋았다. 4. 생식생장기 및 성숙기의 각종온도요인과 출수기의 일장과 각 품종의 출수기와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더니 Japonica 품종이 각 온도요인과 일장과 상관관계의 빈도가 높았다. 5. Cisadane와 Bulu 품종의 출수한계온도는 기존보고의 18$^{\circ}C$보다 높다고 판단되었다.

  • PDF

수분함량별 밥의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s Differing in Moisture Contents)

  • 김우정;정남용;김성곤;이애랑;이상규;하연철;백무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85-890
    • /
    • 1995
  • 쌀 10품종(조생종 2품종, 중생종 4품종, 중만생종 4품종)의 수분함량에 따른 밥의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관능적 특성중 덩어리지는 정도, 경도와 질음은 모든 품종에서 수분함량과 유의성을 보였다. 밥의 바람직한 정도는 수분함량 66.5%에서 가장 좋았으며, 최적 수분함량으로 취반한 밥의 관능 특성은 이취, 윤기와 색깔에서 품종간 유의성을 보였고, 단 향기, 덩어리지는 정도, 단 맛과 텍스처(경도, 차질음, 질음) 그리고 바람직한 정도는 유의성이 없었다.

  • PDF

수도품종(水稻品種)의 파종기(播種期) 이동(移動)이 문고병(紋枯病) 발생(發生) 소장(消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eeding Seasons of Rice Varieties on the Occurence of Sheath Blight)

  • 유승헌;박종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1호
    • /
    • pp.23-30
    • /
    • 1976
  • 수도품종(水稻品種)의 파종기(播種期) 이동(移動)이 문고병(紋枯病) 발생(發生)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이병경률(罹病莖率) 및 피해도(被害度)는 이앙기(移秧期)가 늦을수록 피해(被害)가 적었다. 2). 조생종(早生種)의 피해도(被害度)가 가장 크고 다음이 중생종(中生種)이며 만생종(晩生種)이 가장 적었다. 3). 7월(月) 28일(日) 조사(調査)한 이병경률(罹病莖率)은 통일계(統一系) 품종(品種)들이 Japonica계(系) 품종(品種)들보다 낮았으나 피해도(被害度)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4). 피해도(被害度)는 출수기(出穗期)와 높은 상관(相關)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출수전(出穗前) 10일(日)부터 출수후(出水後) 30일(日)까지의 적산온도(積算溫度)와도 높은 상관(相關)을 보이고 있어, 수도생육후기(水稻生育後期)의 고온(高溫)이 문고병(紋枯病) 피해도(被害度)에 크게 작용(作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도정도를 달리한 백미 및 미강에 함유된 phenolic acids와 총 폴리페놀 함량

  • 김성란;하태열;이지연;이세은;이현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226.1-226
    • /
    • 2003
  • 최근 쌀 소비량이 감소되고 쌀중심 식생활의 영양적 우수성을 인식하지 못하여 쌀은 주식으로서 위치가 흔들리고 있다. 그동안 쌀의 영양특성에 관한 연구로서 주로 탄수화물 급원으로서의 당질에 관한 연구와 미강을 중심으로한 식이섬유, 미강유등에 관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었다. 특히 미곡 부산물인 미강으로부터 다양한 유효성분들이 확인되어 그 효능이 보고되고 있으며 일부가 기능성 소재로서 제품화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실제 우리의 식생활에서 섭취되고 있는 백미 또는 현미상태에서의 유효성분의 분포 및 함량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쌀의 영양적우수성을 규명하고자 유효성분 중 phenolic acid와 폴리페놀 함량을 품종 및 도정도에 따라 조사하였다. 조생종인 오대와 만생종인 남평 품종으로부터 현미와 7분도, 10분도 및 12분도로 도정도를 달리한 백미, 도정도별 미강을 각각 제조하였다. Ferulic acid 등 쌀과 미강에 존재하는 phenolic acid 는 알칼리로 추출한 후 pH를 조정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반복 추출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현미에 함유된 phenolic acid는 ferulic acid가 가장 많아 50% 내외를 차지하였으며 p-coumaric acid, benzoic acid, sinapinic acid 순으로 검출되었다. 오대 현미의 총 phenolic acid 함량은 65.9 mg%로서 남평 현미의 57.2 mg%보다 높았으며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백미 중의 총 phenolic acid 함량은 감소되었다. 미강 중에는 백미의 10배 량에 해당하는 phenolic acid가 검출되었고 benzoic acid와 m-hydroxy benzoic acid는 미강 시료에서만 검출되었다. 도정한 백미 중의 phenolic acid는 28.8∼51.7 mg%, 미강에서 321.4∼438.4 mg% 범위로 나타났다. 현미, 백미 및 미강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표준 페놀화합물로 카테친을 사용하고 비색법에 의하여 측정하였을 때 오대 현미의 폴리페놀 함량은 78.4 mg%, 남평 현미 88.8 mg% 였다. 도정한 백미 중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30.3∼56.9 mg%, 미강이 541.5∼472.6 mg%의 범위였다. 이상과 같이 쌀에는 phenolic acid 및 총 폴리페놀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배유보다는 강층에 많이 존재하므로 이들 성분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쌀의 섭취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