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취심도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6초

대퇴골두 부위에 발생한 양성 골 종양에 대한 경피적 고주파치료 (증례보고) (Percutaneous Radiofrequency Therapy of Benign Bone Tumors in the Femoral Head)

  • 서재곤;김응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4-92
    • /
    • 2003
  • 서론: 대퇴골 근위부에 발생하는 종양은 양성일지라도 수술적 병변의 제거시 관절내 도달이 필요하거나 대퇴골 경부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등 주위 고관절의 구조 및 기능을 위협할 수 있어 그 예후가 좋지 않을 수 있고 치료에 어려움이 있으나 고관절부의 동통을 유발하는 양성 골종양의 치료는 비관혈적 수술이 현재로는 거의 불가능하다. 최근 CT등을 이용한 경피적 절제술,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등 비교적 덜 침습적인 치료법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대퇴골 근위부 종양중 비교적 흔한 유골골종(osteoid osteoma)에 국한된 연구가 대부분이다. 이에 저자는 대퇴골두내 발생한 내연골종 및 피질골내 연골종을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를 통해 치료한 후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증례1 - 31세 여자환자로 1년 전부터 시작된 우측 둔부 및 서혜부 외측의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사무직 여성으로 과거력 및 가족력 상 특이 소견 없었으며 통증의 양상은 간헐적으로 야간에 심해지는 양상으로 통증 발현 시에는 체중 부하하기 힘든 정도였다. 통증에 대해 수개월간 대증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수일에서 수주 후 재발되는 양상이었으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에 비교적 효과가 있었으나 내원 시에는 증상이 점차 심해지며 지속적인 양상으로 소염진통제가 계속적으로 필요하였다. 이학적 소견상 우측 고관절의 운동제한은 없었으나 Patrick 검사 양성이었으며 내회전시 불쾌감을 호소하였다. 단순 방사선 검사상 우측 대퇴 골두 부위에 주변으로 경화상을 보이는 방사선 투과성 병변이 관찰되었으며, MRI상 T1WI와 T2WI에서 낮은 신호강도를 보이면서 1.5${\times}$1cm 크기로 경계가 비교적 분명하였고 주변에 반응성 부종이 관찰되어. 유골골종의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아 고주파열치료를 시행하기로 하였으며 전신마취하에서 먼저 CT시행 하에 세침 생검을 실시한 후 Radionics$^{(R)}$ 고주파침을 삽입하여 병변 중앙에 위치시킨 후 $80^{\circ}C$ 평균모드으로 6분간 고주파 열 치료 시행하였으며 시행 중 다른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환자는 마취에서 의식이 돌아온 직후와 술 후 14시간 후에 통증 전혀 호소하지 않았으며 술후 1일째 체중 부하시 통증 없는 것 확인 후 퇴원 조치 하였으며 술 후 3주 뒤 MRI로 병변 부위 관찰하였으며, 이때 병변부위 소실된 것 확인할 수 있었다. 술 후 15개월째 환자는 일상 생활에 지장없었으며 통증 호소하지 않았다. 조직 검사결과는 피질골내 연골종으로 확인되었다. -증례 2- 56세 여자환자로 3개월 전부터 시작된 좌측 둔부 및 대퇴부 외측의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통증은 주로 밤에 악화되었으며 1달 전부터 통증 심해지고 지속되는 양상으로 타 병원에서 아스피린으로 통증 조절되었고 유골 골종 의심 하에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과거력이나 가족력상 특이사항 없었으며 이학적 검사상 고관절 운동 범위 제한은 없었으나 외전과 내회전시 좌측 서혜부에 통증을 호소하였다. 단순 방사선 소견상 좌측 대퇴골두 하방 내측으로 석회화를 동반하고 주변 경화상을 보이는 방사선 투과성 병변이 관찰되었으며 MRI상 T1WI와 T2WI에서 비교적 낮은 신호강도를 보이는 양상으로, 유골골종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아 고주파 열치료를 시행하기로 하였으며 전신 마취 후 CT시행 하에 먼저 세침 조직 검사를 실시한 후 Radionics$^{(R)}$ 고주파침 삽입 후에 평균 모드 $80^{\circ}C$로 6분간 열 치료 시행하였고 환자는 마취에서 회복 후 즉시 통증 감소 보였으며 시술 후 1일째 이학적 검사 및 체중 부하 시행하였을 때 통증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 퇴원 조치 할 수 있었으며 술 후 1달째 MRI검사를 통해 병변이 사라지고 성공적으로 시술을 시행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후 시술 3개월째로 통증호소없었고 이학적소견상 정상이었다. 조직검사결과는 내연골종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저자들은 수술적으로 치료가 비교적 어려운 대퇴 골두 부위에 발생한 피질골내 연골종과 내연골종에 대해 경피적 고주파열치료를 시행한 후 이를 보고하는 바이며 동통을 유발하는 유골 골종 이외의 다른 양성골 종양에 대해 치료 계획시 그 도달이 어렵거나 술 후 주위 구조물과 관절의 불안정성등의 합병증이 유발될 수 있는 경우 그 적응증의 확대를 신중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

반복호흡(反覆呼吸)을 하는 견폐(犬肺)에서의 혈액(血液) Gas와 폐포(肺胞) Gas의 비교(比較)에 관(關)하여 (Comparison of Blood and Alveolar Gas Composition during Rebreathing in the Dog Lung)

  • 유창준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5-35
    • /
    • 1972
  • 견(犬)의 전좌폐(全左肺) 또는 좌폐하엽(左肺下葉)을 고무 낭(囊)으로 반복호흡(反覆呼吸)(rebreathing)을 연속(連續)시키며 폐동맥(肺動脈)(혼합정맥혈액(混合靜脈血液)) 및 폐정맥(肺靜脈)의 혈중탄산(血中炭酸)gas와 산소(酸素)를 반복호흡(反覆呼吸)한 폐포(肺胞)의 탄산(炭酸)gas 및 산소(酸素)와 비교(比較)하였다. 이들 두 기체(氣體)에 있어서 폐포(肺胞) gas의 장력(張力)이 혈액(血液) gas의 장력(張力)보다 항상 컸으며, 또 폐포(肺胞)와 폐동맥간(肺動脈間)의 경사도(傾斜度)가 폐포(肺胞)와 폐정맥간(肺靜脈間)의 경사도(傾斜度)보다 컸으나 탄산(炭酸) gas에 있어서만 유의성(有意性)이 있었다. 이 결과는 폐조직(肺組織)의 대사과정(代謝過程)에 의(依)하여 탄산(炭酸) gas가 생성(生成)되어 혈류(血流)로 운반(運搬)되어지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폐포(肺胞)와 폐정맥간(肺靜脈間)의 경사도(傾斜度)가 감소(減少)될때 폐동맥(肺動脈)과 폐정맥(肺靜脈)의 탄산(炭酸)gas장력(張力)의 차이(差異)는 증가(增加)하였고 마취심도(麻醉深度)와는 무간(無間)하였다. 본실험(本實驗)에서 반복호흡(反覆呼吸)을 하는 폐내(肺內)의 혐기성대사(嫌氣性代謝)(anaerobic metabolism)로 대사성산(代謝性酸)의 생성(生成)에 의(依)하여 폐(肺)를 통과(通過)한 혈액중(血液中) base exces 감소(減少)를 예측(豫測)할수 있었으나 그러한 증거(證據)는 없었다.

  • PDF

정신지체 환자의 협력 진료에 의한 전신마취 하 치과치료 증례 (MULTIDISCIPLINARY APPROACH OF A PATIENT WITH MENTAL RETARDATION UNDER GENERAL ANESTHESIA : A CASE REPORT)

  • 장윤형;배아란;최성철;박재홍;김광철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3-26
    • /
    • 2009
  • 본 증례는 전반적인 치과치료를 위해 본과에 의뢰된 다수의 치아우식증으로 본과에 내원한 중등도 정신지체 환자로, 전치부 개방교합과 함께 상악 전치부의 총생이 있어 이 부분에 대해서는 본원 보철과에 협진을 의뢰하였다. 전신마취 하에 소아치과에서 보존, 외과적 처치 및 치주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보철과에서 상악 좌우측 견치를 지대치로 한 4-unit bridge를 제작, 심미적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 증례 에서와 같이 전신마취 하의 포괄적인 치과치료를 계획함으로써 여러 번 치료의 불편함 없이 한번에 대부분의 치료를 완료할 수 있었다. 또한 환자에게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심을 유발하지 않아 환자와 치과의사의 치료적 관계 형 성이 용이하며 양질의 진료가 가능하고 술자 및 환자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PDF

늑골 절제술 환자에서 기관 내 튜브 발관 후 발생한 음압성 폐부종 -1예 보고- (Post-extubation Negative Pressure Pulmonary Edema Complicating Partial Rib Resection -A case report-)

  • 김재준;조민섭;조규도;박연진;김용신;조덕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4호
    • /
    • pp.313-316
    • /
    • 2007
  • 전신마취 회복기에 발생하는 음압성 페부종은 드물게 발생하나, 여러 종류의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으로 심각한 합병증이다 음압성 페부종의 발생 기전은 기관 내 튜브 발관 후 심한 자발적인 호흡시도와 성문폐쇄 및 후두경련으로 인한 기도폐쇄와 연관하여 현저하게 기도 내 음압이 상승하여 생긴다고 한다. 저자들은 건장한 26세 남자 환자에서 양성 늑골종양에 대한 늑골 부분절제술 후 기관 내 튜브 발관 후 심한 음압성 폐부종과 각혈이 발생하였으나 성공적으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이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내시경적 부비동 수술 시 항콜린성제제 사용이 수술 후 인후통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ticholinergic Agents on Postoperative Sore Throat in Patients Undergoing Endoscopic Sinus Surgery)

  • 이주영;이덕희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305-310
    • /
    • 2007
  • 수술 후 인후 합병증은 통증이나 구토에 비하면 사소한 합병증이지만 흔히 환자들이 불편을 호소한다. 양 측 내시경적 부비동 수술 후에 양 코를 막아 입으로 숨 쉬게 되어 구강 건조가 더 심할 것으로 보고 환자들을 glycopyrrolate를 전투약 하고 반전시에 쓴 경우, 전투약 하지 않고 반전에만 쓴 경우, 전투약에만 쓰고 반전은 atropine을 쓴 경우, 전투약 하지 않고 반전은 atropine으로 한 경우의 네 군으로 나누었다. 마취 종료 1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후의 인후통과 쉰 소리 여부를 묻고, 없는 경우 0, 있는 경우에는 감기 시 목 아픈 것 보다 약하면 1, 비슷하면 2, 더 심하면 3으로 하여 심각도를 나누어 물었다. 각 군 간의 인후통 발생률은 1군에서 조금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심각도는 모두 1이하로 낮았다. 쉰 소리는 모든 환자에서 발생하지 않았다. 양측 내시경적 부비동 수술 후 인후 합병증은 심각도가 낮고 24시간 내에 사라지는 것으로 항콜린성 제제 사용을 피해야 할 필요성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 PDF

통원수술센터를 이용한 장애아동의 치과치료에 대한 증례보고 (DENTAL CARE FOR HANDICAPPED PATIENTS AT DAY SURGERY CENTER:A CASE REPORT)

  • 최영심;심연수;선예경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06-512
    • /
    • 1998
  • 심신장애자, 심한 불안과 공포가 있는 경우, 너무 어려서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환자 등, 일반적인 행동조절방법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전신마취를 고려하게 된다. 이런 환자들은 대부분 소아 치과에서 치료하게 되므로 소아치과의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전신마취하에 시행되는 치과치료를 고려할 때, 환자의 전신적 건강상태, 환자의 현재 구강 형태, 필요한 치과치료의 종류, 책임감 있는 보호자의 유무에 따라서 입원없이 행해지는 외래환자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전신마취하에 치과치료를 시행하고자 할 때, 치과의사나 보호자의 편의를 위해서 사용되어져서는 안되며, 적절한 환자 선택하에 시행된다면, 보통의 방법으로 치과치료를 받기 어려운 장애아동에게 유리한 치료가 될 수 있다.

  • PDF

심한 이첨판 역류를 가진 개에 실시한 이첨판 성형술의 실패 원인 (Failure of Mitral Valve Repair in a Dog with Severe Mitral Regurgitation)

  • 김민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16-421
    • /
    • 2012
  • 10살령의 4 kg 암컷 치와와가 심한 울혈성심부전의 수술적 치료를 위해서 내원하였다. 여러 가지 진단을 통해 이 환자는 심한 이첨판 폐쇄부전과 중등도의 삼천판 폐쇄부전이 확인되었다. 약물에 대한 치료적인 반응이 여의치 않아, 수술적으로 이첨판을 교정하는 치료방법으로 지시되었다. 체외순환을 이용한 심폐순환기하에서 이첨판교정술이 실시되었다. 하지만 이 환자는 교정 후에 마취에서 회복되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심장수술에 있어 실패를 유발하는 여러 가지 원인들에는 심폐순환기 운용, 저체온증, 장기부전, 출혈, 저혈압, 전해질과 산-염기 불균형, 그리고 감염 등이 있다. 비록 이 환자는 사망하였지만, 그 원인을 밝혀 내는 일은 수의학 분야에서 중요한 일이다. 이 증례의 사망원인을 고찰해 본 결과, 심한 저체온증에 의한 가스환기와 산소공급의 이상 그리고 심장수술과 관련한 저심박출량 증후군으로 인한 낮은 심박동수를 동반한 저혈압으로 사망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 증례의 원인 규명을 위한 고찰은 이첨판성형술의 성공을 위해서는 좀더 세심한 주의가 요구됨을 알 수 있게 해주었고, 나아가 앞으로의 수술에서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Bispectrum 분석을 이용한 마취 심도 평가 지표 개발 (Development for the Evaluation Index of an Anesthesia Depth using the Bispectrum Analysis)

  • 박준모;예수영;남기곤;전계록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50-755
    • /
    • 2007
  • The linear SEF (Spectral Edge Frequency) parameter and spectrum analysis method can not reflect the non-linear of EEG. This method can not contribute to acquire real time analysis and obtain a high confidence in the clinic due to low discrimination. To solve the problems, the development of a new index is carried out using the bispectrum analyzing the EEG including the non-linear characteristic. At the bispectrum analysis of the 2 dimension, the most significant's power spectrum density peaks appeared much at the specific area in awake and anesthesia state. Because many peaks are showed at the specific area in the frequency coordinate, these points are used to create the new index. Range of the index is 0-100. At the anesthesia, the index is 20-50 and at the awake, the index is 90-60. New index can discriminate the awake and anesthesia state.

뇌파 스펙트럼 분석에 의한 마취 심도 지표 개발 (Development for the Index of an Anesthesia Depth using the Power Spectrum Density Analysis)

  • 예수영;백승완;김재형;박준모;전계록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27-332
    • /
    • 2009
  • In this paper, new index was developed to estimate the depth of anesthesia during general anesthesia using EEG. Analysis of the power spectral density(PSD) of EEG was used to develop new parameters because EEG signal tends to have slow wave during anesthesia. Classifier for index creator was developed by using SEF, BDR and BTR parameters, which are calculated by power spectral density. EEG data were obtained from 7 patients (ASA I, II) during general anesthesia with Sevoflurane. The anesthetic depth evaluation indexes ranged from 0 to 100. The average were $86.05{\pm}10.1$, $36.98{\pm}20.2$, $15.33{\pm}13.6$, $50.87{\pm}16.5$ and $87.72{\pm}11.7$ for the states of pre-operation, induction of anesthesia, operation, awaked and post-operation,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while the depth of anesthesia was evaluated, more accurat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for anesthetician.

지적장애를 가진 장애아동의 구강저에 발생한 타석증 (SIALOLITHIASIS ON THE MOUTH FLOOR IN A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박민지;이제호;강정민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7-30
    • /
    • 2016
  • 이번 증례에서는 불편감이나 증상을 스스로 표현하기 어려운 10살의 지적장애를 가진 환자에서 발생한 타석증을 제거하였다. 일반적으로 타석증 환자들은 식사 전이나 식사 도중 심해지는 얼굴 또는 목의 통증으로 치과에 내원하게 된다. 이번 증례에서 본 환자는 인지능력 부족으로 의사소통 능력이 제한되어 증상이나 불편감을 표현하지 않았지만 정기검진 시 치과에서 시행된 검사로 병소를 발견하여 국소마취 하에 절개하여 외과적으로 제거하였다. 장애인 환자에서 구강내의 병소를 파악해서 적절한 시기에 알맞은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치과의사는 구내외에 걸친 자세하고 전반적인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