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네킨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19초

한국형 2차원 인체모형(마네킨) 개발

  • 김진호;황민철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34-141
    • /
    • 1995
  • 최근 워크스테이션이나 오피스 설계에서 인간공학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작업대 높이, 다리 여유공간, 시트 조절범위 등에 대한 인간공학 지침서가 있다. 그러나 이런 지침서가 일부 제 품의 디자인에는 적합하더라도, 많은 제품에서는 설계가 복잡하여 마네킨의 사용이 요구된다. 특히 초기 디자인의 개념과 설계의 개략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마네킨의 사용이 필수적이며 특히 작업공간이 제한되거나 특수한 작업이 요구될 때는 더욱 사용성이 증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신체크기를 대표할 수 있는 마네킨을 구성하는 방법과 cad 마네킨을 모델링하였다. 우선 마네킨의 기본 구조와 형상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25개 기본인체부위를 선정하고 인자분석을 통하여 이들부위의 크기를 대표할 수 있는 마네킨 그룹을 결정하였다. 또 각 마네킨 그룹별로 25개 기본 인체부위의 마네킨 설계치수를 도출하였으며 이들 값을 바탕으로 2차원 인체모형을 ANSYS로 모델링하였다.

  • PDF

간호대학생을 위한 정맥주사용 가상학습 시뮬레이터와 마네킨 팔 모형을 병합한 정맥주사 실습교육의 효과 (Educational Effects of a Virtual IV Simulator and a Mannequin Arm Model Combined Training in Teaching Intravenous Cannulation for Nursing Students)

  • 김윤지;김진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131-141
    • /
    • 2020
  • 본 연구는 정맥주사용 가상학습 시뮬레이터와 마네킨 팔 모형을 병합한 정맥주사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 수행자신감, 간호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유사실험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일 대학 기본간호학을 수강하는 2학년 간호대학생으로 총 93명이 모집되었으며 참여자는 병합교육군 46명, 마네킨군 47명으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3월 18일부터 3월 29일까지였다. 동일한 기간동안 실험군은 정맥주사용 가상학습 시뮬레이터와 마네킨 팔 모형을 이용한 병합교육을 각 기자재 별로 15분씩, 총 30분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마네킨 팔 모형만을 이용한 교육을 총 30분간 실시하였다. 실험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지식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F=2.52, p=.116), 수행자신감(t=2.14, p=.035)과 간호수행능력(t=5.34, p<.001)은 병합교육을 받은 실험군이 마네킨 팔 모형만을 이용하여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정맥주사용 가상학습 시뮬레이터와 마네킨 팔 모형을 병합한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수행자신감과 간호수행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실증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네킨 의상사진 기반 온라인 가상의상착용 (Online Virtual Try On using Mannequin Cloth Pictures)

  • 안희준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29-38
    • /
    • 2018
  • 본 논문에서 마네킨에 착용된 의상 이미지를 분할하고 사용자의 사진에 입히는 가상의상착용 (VTON) 기술을 개발하였다. 의상과 모델의 3차원 정보가 필요하지 않는 2차원 이미지 기반 가상착용연구는 실용적인 가치가 크지만, 연구결과 현재 기술로는 의상 분할 시 가림이나 왜곡에 의한 문제 등 제약사항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마네킨 의상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어려움을 줄였다는 가정 하에서, 딥러닝 기반 영역분할과 자세추정을 통하여 얻은 결과를 사용자 사진에 입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연구 대비 성능 개선을 위하여 사전 자세정보의 신뢰성 검사, 외곽선을 이용한 변형개선, 분할 영역개선 등을 사용하였다. 결과로 시각적으로 만족할 만한 의상착용의 경우가 전체의 50%이상으로 상당히 개선된 결과를 얻었다.

GEOMETRICAL SURFACE DATA FOR A KOREAN ADULT

  • 손철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87-90
    • /
    • 1995
  • 이 연구의 목적은 복사공간에서 한국 성인을 위한 기하학적 표면 데이터 파일을 만드는데 있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한국 성인의 기하학적 표면 데이터 파일을 만들기 위해, 컴퓨터화된 인간 마네킨과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이 데이터 파일은 3012개 삼각형의 x, y, 그리고 z 좌표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기하학적 표면 데이터는 한국 성인의 표면력, 투사면적, 그리고 형태 계수를 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 PDF

3차원 레이저 스캔을 이용한 안면 연조직 분석을 위한 계측점의 제안 (A proposal of soft tissue landmarks for craniofacial analysis using three-dimensional laser scan imaging)

  • 백형선;이화진;전재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13
    • /
    • 2006
  • 3차원 레이저 스캐너는 두개안면부의 입체적인 영상을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컴퓨터의 조작을 통해 관찰이 용이하도록 원하는 위치로 회전과 축의 조정이 가능하여 면밀한 연조직 분석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Vivid 900 (Minolta, Tokyo, Japan) 3차원 레이저 스캐너와 Rapidform 프로그램 (Inus Technology Inc., Seoul, Korea)을 이용하여 마네킨의 3차원 영상을 채득하여 촬영 과정의 오차를 평가하고 3차원 레이저 스캔 영상의 정밀도 및 확대율을 평가하였으며, 마네킨과 정상교합자, 제II급 부정교합자, 제III급 부정교합자의 3차원 레이저 스캔 영상에서 지정이 용이하고 반복 재현성이 높은 연조직 계측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마네킨을 6회 반복 촬영한 결과 촬영 과정에서의 평균 오차는 X축은 0.16 mm, Y축은 0.15 mm, Z축은 0.15 mm였다. 마네킨의 실측치와 3차원 스캔 영상에서의 계측치를 비교하여 본 결과, 평균오차 0.37 mm, 확대율 0.66%로 나타났다. 3차원 스캔 영상에서 마네킨의 오른쪽 연조직 gonion을 제외한 26개의 연조직 계측점의 평균 오차가 2.0 mm를 넘지 않았으며 glabella, 연조직 nasion, endocanthion, exocanthionm, pronasale, subnasale, nasal alare, upper lip point, cheilion, lower lip point, 연조직 B point, 연조직 pogonion, 연조직 menton, preaurale 등이 평균 오차가 적었다. 제안된 연조직 계측점들은 3차원 레이저 영상에서 반복 재현성이 높고 지정이 용이하며 안면의 해부학적 특징을 나타내주는 점들로 두개안면 구조의 3차원적인 연조직의 분석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성인 여성의 계절별 의복조합과 보온력과의 관련성 - 써멀마네킨 실험에 의한 - (Relationship between Thermal Insulation and the Combinations of Korean Women's Clothing by Season - Using a Thermal Manikin -)

  • 최정화;고은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66-97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여성의 각 계절별 실제 착용하는 한 벌 의복조합과 보온력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총 34벌의 한 벌 의복과 이를 구성하는 단일의복 43종을 선정하여 써멀 마네킨을 이용하여 보온력을 측정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한 벌 의복의 보온력은 봄가을(8벌) $0.34{\sim}0.60clo$, 여름(7벌) $0.16{\sim}0.37clo$, 겨울(19벌) $0.89{\sim}1.35clo$였다. 단일의복 보온력의 단순가산치와 한 벌 의복의 보온력간의 상관계수는 0.982(p<0.001)이며, 써멀 마네킨에 의해 측정된 한 벌 의복의 보온력과 상의 착의 매수간의 상관계수는 0.750(p<0.001)이고 의복 총중량과의 상관계수는 0.978(p<0.001), 피복면적과의 상관계수는 0.776(p<0.001)이었다. 한 벌 의복의 보온력과 의복요인과의 상관관계에서 단일의복 보온력의 단순가산치와 의복총중량이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써멀마네킨을 이용한 단일의복의 중량과 보온력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of Single Garments and Thermal Insulation with a Thermal Manikin)

  • 최정화;이효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3-18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ight of seasonal garments worn by Korean women in their daily lives and thermal insulation. We selected a total of 121 garments(13 kinds of Under garments, 51 Upper garments, 32 Lower garments, 15 Headgear, 10 Gloves Footgear) based on our previous survey using questionnaire and interview. Thermal insulation of single garment was measured with a thermal manikin. Also we measured garment weight, covering area, thickness, air permeability on the each garment(chamber air temperature: $21.5{\pm}0.5^{\circ}C$, humidity: $50{\pm}5%R.H.$ air speed: 0.15m/s). The results are as follow: The very strong positive correlation(r=0.905, p<.01) was recognized between the weight of single garment and thermal insulation. The regression equation of thermal insulation can be represented as follows: Thermal Insulation(clo)=$0.03+0.0004{\times}Garment$ Weight(g)($r^2$=0.820, SEE =0.059).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ermal insulation and garment weight by season and garment type(p<.05). The each garment category's thermal insulation and garment weight has as follows: Under garment(0.06clo, 89g), Blouse Shirt T-shirt(0.13clo, 200g), Cardigan Sweater Vest(0.14clo, 287g), Coat Jacket Jumper(0.41clo, 890g), Skirt(0.16clo, 276g), Trousers(0.20clo, 438g), Headgear(0.03clo, 102g), Gloves Footgear(0.03clo, 33g).

한국형 마네킨 구현에 의한 최적 시팅 패키지 설계 치수 제안 (Design Consideration of Optimal Seating Package by Generating Korean Manikins)

  • 이영신;박세진;남윤의;송근영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7-69
    • /
    • 1999
  •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suggest the design dimensions of automotive seating package that has an important effect upon seating package design. To conduct the research, a set of manikin dimensions that are representative for Korean was determined by using a statistical scheme. With these dimensions, we generated nine manikins for male and female, respectively. Also, the preferred driving posture was investigated using the experimental setup. To find each joint angle for subjects, a driving monitoring system was developed and a three dimensional motion analysis system was employed. The joint angle for the subject was established and compared with related literature. With the generated manikins and each joint angle, the driving posture was simulated by using SAFEWORK that is a program to generate manikins. The positions and adjustable ranges from the accelerator heel point to the hip point and the steering wheel center point that are important variables in order to design seating package were suggeste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the seating package dimensions three dimensionally.

  • PDF

마네킨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의료시뮬레이션 교육의 현황 (A brief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mannequin simulators for medical simulation education)

  • 김지희;이영미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23
    • /
    • 2006
  • Simulators were introduced in education as a tool to make advanced training standardized, less expensive, and without danger to those involved. In 1922 in the Unites States, Edward Link presented his homemade flight simulator, which became common place in both military and civilian aviation, known as the "Link Trainer". The development of mannequin simulators used for education, training, and research is reviewed, tracing the motivations, evolution to commercial availability, and efforts toward assessment of efficacy of those for teach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ardiology skills, anaesthesia clinical skills, and crisis management. This will provide a brief overview of simulators and trainers in several domai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