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리커트척도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6초

퍼지 리커트 척도에 대한 검정 (Testing of Fuzzy Likert Scale)

  • 이창은;강만기;최규탁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4권 제2호
    • /
    • pp.339-342
    • /
    • 2004
  • 질적인 속성을 양적인 계열로 전환하여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서스톤, 리커트, 어의분별 및 커트만 척도 등을 많이 활용한다. 이 측도들 중 우리는 리커트 척도에 대해 알아보고, 응답이 애매한 리커트 척도의 자료를 퍼지화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그 자료에 대한 분석 방법을 연구하려고 한다.

  • PDF

리커트 퍼지 척도에 대한 가설 검정 (Testing Hypotheses for Likert Fuzzy Scale)

  • 강만기;이창은;최규탁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5권 제1호
    • /
    • pp.166-169
    • /
    • 2005
  • 질적인 속성을 양적인 계열로 전환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설문의 최소 문항으로서 최대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한 항목을 k번 측정하여 평균과 $95\%$ 신뢰구간을 퍼지수로 한 데이터들을 리커트 척도로 활용하여 내분비방법에 의하여 검정을 하였다.

  • PDF

과학교육의 태도와 흥미 연구에서 리커트 척도 활용의 유의점 (The Likert Scale Attention Points Applied to Research on Attitude and Interests on Science Education)

  • 박현애;배성우;박종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85-391
    • /
    • 2014
  • 일반적으로 연구자들은 관찰할 수 없는 심리적인 특성들을 연구할 때 주로 척도를 이용하여 수량화한다. 과학교육 연구에서도 척도를 활용하는 사례가 자주 나타난다. 특히, 정의적 영역의 평가에서는 학생들의 태도나 인식 등의 특성을 파악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척도를 많이 사용한다. 그 중에서 사용이 간편한 리커트 척도를 많이 활용한다. 하지만 리커트 척도의 경우 활용 과정에서 여러 오류들이 발생하여 이를 절대시하는 것은 유의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흥미와 태도관련 과학교육 연구에서 리커트 척도의 활용에 따른 중심화 경향을 살펴보고 연구 대상 및 연구 내용에 따라 그 경향성이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대상에 따라서는 대상 학교급 즉, 연령이 높아질수록 중심화 경향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영재학생보다 일반학생의 경우 중심화 경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연구 내용에서는 자기노출이 비교적 큰 영역에서 중심화 경향 더 나타났다. 그러므로 과학교육 연구에서도 리커트 척도를 활용할 때 중심화 경향의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과학교육 연구에 리커트 척도를 활용할 때는 사회문화적 환경과 연구 대상 및 연구 내용의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리커트 척도를 개선하여 적용해야 하며 나아가 조사 결과의 수치에만 의존하여 해석하는 것을 피해야 할 것이다.

조사연구를 위한 표본크기 결정

  • 박진우;정미숙
    • 한국조사연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39-149
    • /
    • 2007
  • 사회조사를 위한 표본설계를 할 때 표본의 크기를 얼마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문제는 조사연구자에게 고민거리가 된다. 사회조사 중에서 4점 또는 5점 척도로 된 여러 개의 개별 문항들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개개의 문항 자체를 직접적으로 하나의 변수로 사용하지 않고 여러 개 문항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척도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리커트 척도가 관심변수인 조사연구에서 표본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리커트 척도를 만들고자 할 때 4점 혹은 5점 척도로 구성된 여러 문항변수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 문항변수들은 각각 동일한 분포를 가지며, 각각의 변수들은 서로 동일한 크기의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가정을 한다. 주어진 가정 하에서 새로운 척도의 표본분포를 유도한 후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상황에서의 표본의 크기를 계산한 결과를 표로 제시하게 되는데 표본이론을 잘 모르는 조사연구자들은 이 표를 이용하여 원하는 표본크기를 결정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리커트 퍼지 척도에 대한 퍼지 가설검정 (Fuzzy Hypotheses Testing of Likert Fuzzy Scale)

  • 강만기;이창은;최규탁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533-537
    • /
    • 2005
  • 리커트 척도는 어떤 의도의 질문에 대한 동의를 수치적으로 나타내는 방법으로서 주로 5점 척도를 많이 사용하나 여러번 질문에서 응답자체가 애매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점 척도의 응답의 애매성을 5점 척도의 멤버쉽 함수로 나타낸 후 한 항목의 응답의 95% 신뢰구간을 다시 멤버쉽함수로 하여 그 데이터를 퍼지가설검정하였다.

모의실험에 의한 리커트형 설문분석 방법의 비교 (A simulation comparison on the analysing methods of Likert type data)

  • 김현철;최승경;최동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2호
    • /
    • pp.373-380
    • /
    • 2016
  • 리커트형 데이터가 순서척도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연구자들이 구간척도로 간주하여 모수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리커트형 데이터를 어떻게 분석하는 것이 적절한지 모의 실험을 통하여 알아본다. 다양한 분포를 갖는 5점 리커트형 표본을 추출하여 위치를 비교하고, 순서척도의 경우 위치비교 보다 응답분포를 살펴보는 것이 더 타당하므로 응답분포 검정을 실시한다. 위치를 비교하는 방법으로는 구간척도로 생각하고 분석하는 모수 방법인 t-검정과 순서척도로 생각하는 비모수 방법인 만- 휘트니검정 (M-W검정)을 적용하고, 응답분포를 검정하기 위해서는 카이제곱 검정과 콜모고로프 - 스미르노프검정 (K-S검정)을 실시한다. 네 가지 방법의 효율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제 1종 오류 (Type I error)의 비율과 검정력 (power)을 구한다.

리커트 5점척도에서 자극에 의한 응답결과의 변화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asuring the Change of the Response Results in Likert 5-Point Scale Measurement)

  • 노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35-35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리커트 5점 척도 설문에 참여했던 응답자들이 특정 자극에 의해 동일한 2차 설문이 주어졌을 때, 본인의 처음 응답결과를 어떻게, 어떤 방향으로 바꾸는지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개 설문지의 1차, 2차 또는 3차에 걸친 재설문 결과들을 집단간 차이, 자극의 종류, 설문목적의 차이, 응답변화의 방향 및 변화정도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 집단과 일반 집단 중 전문가 집단이 상대적으로 의견을 바꾸지 않는 것으로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둘째, 설문목적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자극의 종류 중 시스템 사용경험보다는 다른 사람들의 의견이 정보로 주어졌을 때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최초응답에서 긍정적인 답변에 응답했을수록 답변을 바꾸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인 답변자는 대부분 긍정적인 방향으로 의견을 바꾸는 것으로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넷째, 최초 응답을 바꾸는 경우 응답변화의 폭이 2단계 이상인 경우는 그다지 많지 않고 대부분 1단계 정도 전후로 바꾸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중간응답자가 의견을 가장 많이 바꾸고 양극단의 경우 의견을 잘 바꾸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을 하였으나 부정적인 답변자일수록 의견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바꾸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셜 빅데이터 마이닝 기반 이슈 분석보고서 자동 생성 (Automatic Generation of Issue Analysis Report Based on Social Big Data Mining)

  • 허정;이충희;오효정;윤여찬;김현기;조요한;옥철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3권12호
    • /
    • pp.553-564
    • /
    • 2014
  •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소셜미디어 분석과 분석보고서 생성의 세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소셜 빅데이터 마이닝에 기반한 이슈분석보고서 자동 생성 시스템을 제안한다. 세 가지 문제점은 분석의 고립성, 전문가의 주관성과 고비용에 기인한 정보의 폐쇄성이다. 시스템은 자연언어 질의분석, 이슈분석, 소셜 빅데이터 분석, 소셜 빅데이터 상관성분석과 자동 보고서 생성으로 구성된다. 생성된 보고서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리커트척도를 사용하였고, 빅데이터 분석 전문가 2명이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는 리커트 척도 평가에서 보고서의 품질이 비교적 유용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보고서 생성의 저비용, 소셜 빅데이터의 상관성 분석과 소셜 빅데이터 분석의 객관성 때문에, 제안된 시스템이 소셜 빅데이터 분석의 대중화를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가정용 Sensory Processing Measure(SPM)의 국내적용을 위한 번역연구 (Translation and Cross-Cultural Adaptation Study on a Korean of Sensory Processing Measure Home Form)

  • 이혜림;유은정;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2-31
    • /
    • 2021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을 확인하는데 사용하는 가정용 Sensory Processing Measure(SPM)을 우리나라에 적용하기 위해 번역과정을 거친 후 내용타당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내용타당도 연구를 위해 번역, 역번역 과정에서 항목을 수정하였고,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전문가 집단은 각 지역별 작업치료학과 교수 3명을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하여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내용타당도는 각 항목에 대하여 의미성와 구조성으로 나누어 4점 척도로 실시하였으며 1점은 매우 타당하지 않음, 2점은 타당하지 않음, 3점은 타당함, 4점은 매우 타당함으로 점수화하였다. 역번역은 이중언어를 사용하는 2명이 참여하여 2개의 역번역본에서 일치하는 않는 부분을 확인한 다음 전문가 집단에서 토의 후 보완하였다. 이렇게 번역된 한국어판은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아동의 부모 13명을 대상으로 이해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원본 SPM과 한국어로 번역한 SPM을 비교한 결과 평균 3.54± .74(리커트 4점 척도), 의미성에 대한 평균방식의 척도 내용타당도 지수(Scale-level Content Validity Index; S-CVI/Avg)는 .92, 구조성에 대한 평균방식의 척도 내용타당도 지수(S-CVI/Avg)는 .86이었다. 역번역 결과, 내용 일치도는 평균 3.77± .47로 나타나 내용이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역번역 및 수정을 거친 SPM을 부모 집단을 대상으로 이해도 검증 결과 평균 3.48 ± .63(리커트 4점 척도)이었으며 평균방식의 척도 내용타당도 지수(S-CVI/Avg)는 .94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타문화권에서 개발된 SPM을 번역 및 역번역 과정을 거쳐 내용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한국어판 가정용 SPM을 우리 문화권에 사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운동선수의 스포츠 자신감과 자아효능감 분석 (The Analysis of Self-Efficacy and Sport Self-Confidence of the Athletes)

  • 최미란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5호
    • /
    • pp.43-55
    • /
    • 2016
  • 이 연구는 청소년 운동선수의 스포츠자신감과 자아효능감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고등학교 남녀 운동선수 총 200명을 무선으로 표본추출 하였다. 스포츠자신감은 김원배(1999)가 사용한 척도를, 자아효능감은 김남경(2002)과 이명환(2002)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설문구성은 5점 리커트(Likert) 척도이며, 신뢰도계수인 내적합치도는 .83~.89이다. 조사절차는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완성된 설문지를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첫째, 운동선수의 주변환경 요인 중 가족의 운동관심, 선수동기, 멘토유무와 개인취미 변인은 스포츠특성 자신감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운동선수의 주변환경 변인 중 가족의 운동관심, 선수동기, 멘토유무와 개인취미 변인은 스포츠 상태 자신감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운동선수의 주변환경 요인의 가족의 운동관심, 선수동기, 멘토유무와 개인취미 변인은 자아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운동선수의 스포츠 자신감 변인 중 스포츠 특성 자신감은 자아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