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로봇기반 조립

Search Result 2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Design Implementation of Robots Assemble Content for Education in Cyberspace (가상공간에서 로봇조립교육을 위한 콘텐츠 디자인 구현)

  • Jung, Hoe-Jun;Park, Dea-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05a
    • /
    • pp.463-466
    • /
    • 2011
  • 유무선 초고속 인터넷 연결과 모바일기기의 발달로 사이버공간을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교육용 콘텐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가상공간에서 로봇조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교육용 콘텐츠를 디자인하고 구현한다. 콘텐츠는 로봇 부품을 사용자가 조립해 나가는 과정으로 플래시 애니메이션 기법과 액션 스크립트을 활용해서 동영상과 상호작용을 조립과정 콘텐츠에 나타내었다. 인터넷 가상공간에서 사용자 중심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로봇 조립과정을 구현함으로써 가상공간에서 사용자 직접 조작으로 조립함으로서 교육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현재의 구현과정은 이미지위주의 제한적 조립과정이지만 향후에는 3차원 모델링기반의 AR(증강현실) 구현으로 발전할 수 있다.

  • PDF

Impedance-Control Based Peg-in-Hole Assembly with a 6 DOF Manipulator (6축 머니퓰레이터를 이용한 임피던스 제어 기반의 원형 펙 조립)

  • Kim, Byeong-Sang;Kim, Young-Loul;Song, Jae-Bok;Son, Seung-Wo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5 no.4
    • /
    • pp.347-352
    • /
    • 2011
  • The maximum accuracy of position control by using an industrial robot is about $100{\mu}m$, whereas the maximum tolerated imprecision in the position of precision parts is about several tens of micrometers.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assemble parts by position control only. Moreover, in the case of precision assembly, jamming or wedging can easily occur because of small position/orientation errors, which may damage the parts to be assembl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we investigated a force control scheme that provides proper motion in response to the contact force.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a force control system that can be easily implemented in a position-controlled manipulator. Impedance control by using an admittance filter was adopted to perform stable contact tasks. It is shown that the precision parts can be assembled well by adopting impedance control and blind search methods.

Development of A Sketch-Based Robot Simulation Tool (스케치 기반 로봇 시뮬레이션 도구 개발)

  • Aoki, Hiroyuki;Shim, Jae-Kwoun;Kim, Ja-Mee;Lee, Won-Gyu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5 no.2
    • /
    • pp.57-66
    • /
    • 2012
  • It is the advantage of robot programming to improve the learners' interest. However, the drawback is existed in the fact that it is not easy to determine whether the problem lies in the hardware factor or programmed logic when an error takes place. This study is an attempt to develop a simulation tool which assists learners to concentrate on the problems not relating to robot assembling but to robot program. It aims to enable beginners make a sketch of their ideas and examine their logic through simulation. Therefore, an Etoys-based robot programming tool is developed to allows user to download and execute the simulated program into an assembled robo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easy activity of sketch-based simulation can support learners to understand how the principles of computer science are applied in daily life such as an automatic door system.

  • PDF

Assembly Part Image-based 3D Shape Retrieval using Attentional View Pooling (Attentional View Pooling을 이용한 조립 부품 이미지 기반 3 차원 물체 검색)

  • Lee, Eun Ji;Kang, Isaac;Kim, Min Woo;Park, Seon Ji;Cho, Nam 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11a
    • /
    • pp.72-75
    • /
    • 2020
  • 조립 부품 이미지에 해당하는 3D CAD 모델 매칭 기술은 최근 로봇 조립 기술의 발전으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미지 기반 3 차원 모델 매칭 연구는 진행되어 왔지만 가구 부품 이미지와는 특성이 다른 RGB[5] 이미지나 스케치 이미지를 다루는[1] 접근들이었다. 딥러닝을 사용하는 스케치 이미지 기반 3 차원 물제 검색 연구에서는 대부분 3 차원 이미지를 다각도에서 렌더링한 view 이미지들에서 feature를 추출하고 pooling 하여 하나의 feature를 출력한다. 그러나 기존의 view pooling 방식은 단순한 평균 방식으로, 부품 이미지에 따른 view를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조립 부품 이미지 기반 3 차원 물체 검색을 위해 query 부품 이미지에 따라 다른 view 이미지에 집중할 수 있는 방식의 attentional view pooling을 제안한다. 또한 조립 부품 데이터의 특성 상 class 당 CAD 모델이 하나인 상황이므로 학습 데이터가 터무니없이 부족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학습 데이터 증강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은 의자 부품 11가지에 대해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제안하는 방식의 성능을 입증하였다.

  • PDF

UV Mapping Based Pose Estimation of Furniture Parts in Assembly Manuals (UV-map 기반의 신경망 학습을 이용한 조립 설명서에서의 부품의 자세 추정)

  • Kang, Isaac;Cho, Nam 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667-670
    • /
    • 2020
  • 최근에는 증강현실, 로봇공학 등의 분야에서 객체의 위치 검출 이외에도, 객체의 자세에 대한 추정이 요구되고 있다. 객체의 자세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셋은 위치 정보만 포함된 데이터셋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적기 때문에 인공 신경망 구조를 활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으나, 최근에 들어서는 기계학습 기반의 자세 추정 알고리즘들이 여럿 등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가운데 Dense 6d Pose Object detector (DPOD) [11]의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가구의 조립 설명서에 그려진 가구 부품들의 자세를 추정하고자 한다. DPOD [11]는 입력으로 RGB 영상을 받으며, 해당 영상에서 자세를 추정하고자 하는 객체의 영역에 해당하는 픽셀들을 추정하고, 객체의 영역에 해당되는 각 픽셀에서 해당 객체의 3D 모델의 UV map 값을 추정한다. 이렇게 픽셀 개수만큼의 2D - 3D 대응이 생성된 이후에는, RANSAC과 PnP 알고리즘을 통해 RGB 영상에서의 객체와 객체의 3D 모델 간의 변환 관계 행렬이 구해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사전에 정해진 24개의 자세 후보들을 기반으로 가구 부품의 3D 모델을 2D에 투영한 RGB 영상들로 인공 신경망을 학습하였으며, 평가 시에는 실제 조립 설명서에서의 가구 부품의 자세를 추정하였다. 실험 결과 IKEA의 Stefan 의자 조립 설명서에 대하여 100%의 ADD score를 얻었으며, 추정 자세가 자세 후보군 중 정답 자세에 가장 근접한 경우를 정답으로 평가했을 때 100%의 정답률을 얻었다. 제안하는 신경망을 사용하였을 때, 가구 조립 설명서에서 가구 부품의 위치를 찾는 객체 검출기(object detection network)와, 각 개체의 종류를 구분하는 객체 리트리벌 네트워크(retrieval network)를 함께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가구 부품의 자세를 추정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Strategies of Robot Curriculum by analyzing Foreign Cases (외국 사례 분석을 통한 로봇교육과정의 발전방향 모색)

  • Ryu, Yeong-Choon;Lee, Jae-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1a
    • /
    • pp.157-164
    • /
    • 2007
  • 로봇은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요구하는 기초 능력과 문제해결력 함양을 위한 학습을 충족시켜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로봇교육은 공학적으로 여러 기술이 관련되어 있으므로 통합적인 기초 교육이 가능하게 할 것이다. 그러나 학습 내용, 학습 방법 및 학습 교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므로 외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로봇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해외 사례 분석 결과 로봇을 통해 기초 능력과 문제해결력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목표를 체계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로봇의 특성과 관련된 과학, 수학, 기술, 공학의 내용 요소들을 추출하며 로봇소양에 대한 내용뿐만 아니라 로봇활용에 대한 내용으로도 구성해야 하며 로봇 창작 시스템을 이용하여 단순한 로봇 조립보다는 창작 및 프로그래밍의 과정이 이루어질 때 효과적으로 학습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Multi-Axis Gantry Type Welding Robot System (다축제어 갠트리형 용접로봇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

  • 정창욱;이지형;박종련;윤석필;김형식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0.10a
    • /
    • pp.248-248
    • /
    • 2000
  • 본 연구는 조선 소조립, 판넬조립 등의 공정에서 발생되는 필렛 용접 부위의 용접 자동화를 위한 로봇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조선등의 중공업 분야에서는 작업이 중량이고 대형임에 따라 로봇이 부재의 특정위치로 이동하여 작업해야 한다. 또한 작업대상의 형상이나 치수가 매번 변경됨에 따라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 대의 로봇(2대x6축=12축)이 다축 문형 캔트리(4축)에 장착된 조선용 필렛용접 로봇 시스템(16축)을 개발하였다. 필렛용접부재를 중심으로 두 대의 로봇이 양쪽을 동시에 용접하는 방식으로 고속회전토치를 적용하여 위빙동작없이 원하는 용접각장(Leg Length)을 생성할 수 있다. 캔트리 시스템은 PC 기반의 별도 제어기로 구성하여 두 대의 로봇 제어기와 신호 입출력에 의해 동시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작업장에 놓인 부재의 위치오차를 보장하기 위하여 시각센서를 적용하였다. 용접시작점의 위치보정을 위한 시작점 검출을 위해접촉센서(Touch Sensor)를 적용하였으며, 용접선 추적을 위해서 아크센서(Arc Sensor)를 적용하였다. 본 시스템 2000년 1월 제작 설치가 완료되어 현재 성능 테스트가 완료된 상태로 향후 생산현장에 적용될 계획이다.

  • PDF

Study on 3D AR of Education Robot for NURI Process (누리과정에 적용할 교육로봇의 가상환경 3D AR 연구)

  • Park, Young-Suk;Park, Dea-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05a
    • /
    • pp.209-212
    • /
    • 2013
  • The Nuri process of emphasi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promote is standardized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for the education and care. It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pre-school education and Ensure a fair starting line early in life and It emphasizes character education in all areas of the window. Nuri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a the insect robot for the Creativity education Increased the interesting and educational effects. Assembly and the effect on learning of educational content using a VR educational robot using the existing floor assembly using the online website to help assemble and learning raised. Order to take advantag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information-based society requires the active interest and motivation in learning, creative learning toddlers learning robot are also needed. A three-dimensional model of the robot, and augmented by linking through the marker, the target marker and the camera relative to the coordinate system of augmented reality, seeking to convert the marker to be used in augmented reality marker patterns within a pre-defined patternto be able to make a decision on what of. The fusion of a smart education through training and reinforcement the educational assembly of the robot in the real world window that is represented by a virtual environment in this paper to present a new form of state-of-the-art smart training, you will want to lay the foundation of the nation through the early national talent nurturing talent.

  • PDF

무인차량의 자율주행을 위한 영상기반 지형분류 연구 동향

  • Seong, Gi-Yeol;Yun, Ju-Hong;Yu, Jun
    • ICROS
    • /
    • v.15 no.1
    • /
    • pp.29-36
    • /
    • 2009
  • 무인차량의 야지 자율주행에 있어서 지형 및 환경 인식기술은 다양한 지형/지물에 대한 인식, 분류 및 융합을 통하여 최종적인 자율주행 및 임무 목적용 인식 맴을 제작하기 위한 기술이다. 병렬기구는 조립, 포장, 기계가공, 크레인, 수중공학, 항공 및 해양구조, 비행 및 3D 시뮬레이션, 위성 접시안테나 위치제어, 망원경 자세제어, 그리고 정형외과 수술 등 여러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A Study on the Robot Education Based on Scratch (스크래치에 기반한 로봇 교육에 대한 연구)

  • Lee, Young-Dae;Kim, Soon-Im;Seo, Young-Ho;Kang, Jeong-Ji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2 no.2
    • /
    • pp.29-35
    • /
    • 2016
  • The conventional educational robots, which are commonly industrial robots or toy robots, use text-based programming to teach the students. Therefore, students have difficulty in studying robotics due to the difficulties of text based language. The developed robot in this study have a camera, which have the color tracking function, and it has various sensors and actuators. It supports the open hardware and uses graphic language based programming. The developed educational robot is programmed by Scratch, which uses graphic modular language. We also present a curriculum, which is based upon the developed robot and Scratch. We applied the robot and curriculum to the primary school students. We obtained satisfactory results comparing it with the conventional robot education. Furthermore, the imagination and execution ability of students showed enhancement in learning robotics. Thus, this fact means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ppro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