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또래수용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9초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또래관계 질에서 자기수용의 매개 및 조절효과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peer relations quality in Adolescents)

  • 최미은;남숙경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6권2호
    • /
    • pp.111-12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생 26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또래관계 질에서 자기 수용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완벽주의 자기제시는 자기수용을 통해서만 또래 관계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또래관계 질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수용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기수용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수준에 따라 또래관계 질이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 및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의 자기수용 향상을 위한 상담 및 교육적 접근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어머니 역할지능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또래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al Intelligence on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and Peer Acceptance)

  • 배조경;신혜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91-111
    • /
    • 2012
  • 본 연구는 어머니 역할지능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또래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어머니 역할의 영향을 세부적으로 규명하고 부모교육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및 유치원 6개소 만 5세 학급의 유아 197명과 그들의 어머니였다. 측정도구는 유아의 놀이장면을 토대로 한 교사평정용 또래놀이 상호작용 척도와 또래평가에 의한 또래수용도 척도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역할지능은 부모역할지능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문제별로 중다회귀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격려, 증진, 합리적 권위, 수용, 통제, 거부 지양에 대한 어머니 역할지능이 높을수록 유아는 놀이장면에서 또래의 놀이를 방해하거나 놀이로부터 단절되어 있는 부정적 상호작용보다는 긍정적 상호작용을 더 많이 나타냈다. 또한 공감, 격려, 증진, 합리적 권위, 거부 지양에 대한 어머니 역할지능이 높을수록 유아가 또래로부터 수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애착, 공동체 의식, 다문화 수용도가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eer Attachment, Community Spirit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on School Life Adaption in Children)

  • 김영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321-331
    • /
    • 2014
  • 본 연구는 아동들이 인지하고 있는 또래애착, 공동체 의식, 다문화 수용도가 학교생활 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또래집단간의 의사소통, 신뢰, 소외, 공동체의식, 다문화수용 정도에 따라 학교생활 적응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연구결과에 대한 포괄적이고 객관화시킬 수 있는 강점을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학교 내에서 또래집단간의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고 신뢰 관계가 잘 형성되어 또래애착관계가 높을수록, 공동체 의식이 높게 형성될수록,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수용 정도가 높은 아동일수록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는 또래애착, 공동체의식, 다문화 수용도 순으로 영향력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의 또래집단간의 친밀감을 향상시키고, 학교에서 공동체 생활에서의 기본적 규범 준수와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려는 마음을 키우고, 다문화에 대한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는 교육을 통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래갈등상황에서 아동의 책략, 목표 및 또래 수용 (Children's Strategies, Goals and Peer Acceptance in Peer Conflict Situation)

  • 송혜영;최보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11-22
    • /
    • 200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adopting strategies and goals and the relations in strategies, goals and peer acceptance in term of gender and ages under peer conflict situation. The 625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e fifth and 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and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middle schools. The instruments of measurement were Conflict Resolution Measure, Sociometric Scale.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hildren's strategies in peer conflict situation h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2) Children's goals in peer conflict situation h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3) There were signigicant correlation between strategies and goals. 4)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in strategies and peer acceptance.

또래에 대한 아동의 내적 표상 모델과 또래 수용 및 친구관계의 질 (Peer Acceptance and Friendship Quality: The Role of Children's Internal Representational Models of Peers)

  • 나유미
    • 아동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43-158
    • /
    • 2000
  • This study examined whether children's peer representations are associated with peer acceptance and whether attributions and goals are related to representations about behavioral responses in ambiguous provocation and conflict situations. The subjects were 119 5th-grade children responded to 4 hypothetical situations.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s positive representations about peer conduct in ambiguous provocations were related to their higher level of peer acceptance, and positive representations about a friend in conflict situations were associated with their perceived positive qualities of friendship. Children's positive attribution and relational goal orientation were associated with relational behavioral responses.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for some goals and behavioral responses, with girls displaying a more relational goal and behavioral response orientation than boys.

  • PDF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태도와 자녀의 정서지능 (The Effects of Maternal Acceptance Attitudes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s on Peer's Interactions)

  • 안효진;김상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1-12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태도와 자녀의 정서지능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3-5세 유아를 둔 부모 145명과 유아의 담임선생님이 본 연구에 참여를 하였으며, 수거한 설문지는 SPSS 17을 사용하여, F 검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우선 유아의 정서 지능은 유아의 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어머니의 정서 수용태도는 여아의 부정적인 정서표현을 할 때 만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긍정적인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유아의 성과 유아의 정서 지능이었으며, 자녀의 부정적인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유아의 연령과 유아의 정서 지능이었다.

유아의 놀이 선호 유형과 또래유능성 및 또래수용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Young Children's Play Preferences to Peer Competence and Peer Acceptance)

  • 조경자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611-62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play preferences through observation at their classroom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lay preferences and their peer competence and peer acceptance. The subjects were 55 four-year-old children from a kindergarten in C city of Chungnam province. The data was analyzed by MANOVA,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ys and girls showed different play preferences except for language play and science play. Boys were better liked by same-sex peers while girls were better liked by other-sex peer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certain play preferences. Block play preferenc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other play preferences. Third, some play preferenc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ome sub-dimensions of peer competence. Language play displayed a positive relationship to pro-social behavior, but art play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to leadership. Finally, peer accepta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only with number/manipulation play preferences. Other-sex peer accepta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mber/manipulation play preferences and art play preferences but negatively with block play preferences.

학령기 아동의 또래 괴롭힘에서 측정방법에 따른 심리사회적 부적응 차이 -자기보고법과 또래 지명법의 비교 (Cross-Informant Measures of Peer Victimization on Psychosocial Maladjustment in Middle Childhood - Comparisons between Self-Reports and Peer Nominations)

  • 신유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4호
    • /
    • pp.141-149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cross-informant measures of peer group victimization. The subjects were 460 children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Children completed questionnaires that assessed their own victimization feelings of loneliness, and self-perception. They also completed peer nominations concerning peer acceptance and rejec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self-reported victimization is more predictive of loneliness and self-perception, whereas victimization from peer nominations is more predictive of peer rejection and acceptance.

아동의 영역별 자아존중감에 대한 어머니의 지지 및 또래수용도의 영향 : 단짝친구 지지의 중재효과 (Effects of Mother's Support and Peer Acceptance on Children's Self-Esteem : The Moderating Effects of a Best Friend's Support)

  • 박경리;김경연
    • 아동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85-97
    • /
    • 2001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other's support and peer acceptance on children's domain specific self-esteem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best friend's support. The subjects were 272 $4^{th}$ and 349 $8^{th}$ grader in Chin-ju. Data were analyzed by the SAS/PC+ program, including Cronbach's ${\alph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two-way ANOVA. Findings were that peer acceptance had a higher influence on academic-general self, peer-related self, physical-appearance self, personality self and physical-competence self than did mother's support. Mother's support had a higher influence on home self than did peer acceptance. Best friend's support and mother's support interacted with children's physical-appearance self and physical-competence self. Best friend's support and peer acceptance interacted with student's peer-related self.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