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딱정벌레

검색결과 297건 처리시간 0.03초

밀양댐 수계의 수서곤충 군집에 대하여 (Community Structure of Aquatic Insects in Miryang-Dam Water System)

  • 박연규;박현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33-146
    • /
    • 2000
  • 밀양댐 상 하류 7개지점에 대하여 2000년 6월5일부터 6월6일까지 수서곤충을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서 곤충류의 총분류군은 7목 25과 49속 67종이었다. 총 출현종수 67종 중 하루살이류 29종, 날도래류 22종, 강도래류 7종, 파리류 6종이었으며, 기타 뱀잠자리목, 잠자리목, 딱정벌레목이 각 각 1종씩 출현하였다. 출현한 개체수비율은 하루살이류가 71%, 파리류 11.9%, 날도래류 11.2%, 강도래류 5.1%, 딱정벌레류 4.6%로 나타나, 하루살이류가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전체 분류군에서의 제1우점종은 Epeorus latifolium이었고 제 2우점종은 Epeorus aesculus였으며 우점도지수는 0.36였다. 우점종은 전지점 하루살이류였고, 우점도지수는 제6지점이 0.5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제3지점이 0.13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종다양도지수는 제3지점이 4.2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제7지 점이 3.1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종다양도지수에 근거한 오수생물계열로 볼 때, 전지점이 Oligosaprobic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극히 양호한 수환경상태를 보였다.

  • PDF

형질전환(形質轉換)된 포플러의 딱정벌레에 대한 저항성(抵抗性) 유전자(遺傳子)(Proteinase Inhibitor II) 발현(發現) (Gene Manipulation of Pin 2(Proteinase Inhibitor II) to the Cottonwood Leaf Beetle(Coleoptera : Chrysomelidae) in Transgenic Poplar(Populus deltodies × P. nigra))

  • 강호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4호
    • /
    • pp.407-414
    • /
    • 1997
  • 외래 저항성 유전자, Proteinase inhibitor II가 형질전환된 3계통의 벨기에 포플러를 대상으로 딱정벌레에 대한 유전자 발현정도가 기내에서 조사되었다. 포플러 계통은 선발 유전자로서 Nos-promoter와 Neomycin phosphotransferase gene에 의하여 조절되고 곤충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로서 CaMV-35S와 Pin2(Proteinase inhibitor II)에 의한 형질전환체이다. 특히, 형질전환된 포플러의 내충성 저항력을 조기검정하기 위하여, 조직배양을 응용한 새로운 방법으로서 곤충의 알을 표면 살균하여 기내의 조직배양묘와 배양하는 동시배양 방법이 이용되었다. 형질전환된 포플러의 저항성은 기내에서 유충에 의해 섭취된 잎면적, 잎 섭취에 의한 유충의 무게 증감, 유충의 성장단계 등에 의하여 조사되었다. 특히, 잎면적은 각각의 LPI(Leaf plastochron index)별로 측정되었고, 잎면적, 유충의 무게, 곤충의 성장 속도는 형질전환체와 비형질전환체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기내에서 무병상태로 배양된 알들이 부화된 후, 유충의 잎 섭취도는 LPI 4와 5사이에서 가장 높았다. 본 실험의 기내 배양법은 외래유전자를 삽입한 이후에 곧바로 발현을 빠른 시간내에 조기검정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의 개발이라 할 수 있다.

  • PDF

한국 미기록 방아벌레 6종(딱정벌레목, 방아벌레과)의 보고 (New Records of Six Click Beetles (Coleoptera, Elateridae) in Korea)

  • 한태만;이승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529-537
    • /
    • 2016
  • 방아벌레과에 속하는 한국 미기록 6종을 다음과 같이 보고한다: 땅방아벌레아과(Agrypninae)의 Lacon altaicus ($Cand{\acute{e}}ze$, 1882) [앞가슴혹방아벌레(신칭)]; 주홍방아벌레아과(Denticollinae)의 Diacanthous undulatus DeGeer, 1774 [물결날개방아벌레(신칭)], Liotrichus ligneus ($Cand{\grave{e}}ze$, 1879) [넓적가슴방아벌레(신칭)], Aplotarsus imperceptus Gurjeva, 1987 [민가슴방아벌레(신칭)], Prosternon aurichalceum Stepanov, 1930 [모진방아벌레], Anostirus (Anostirus) castaneus castaneus (Linnaeus, 1758) [끝검은먹무늬방아벌레(신칭)]. 이들 중 3속(Diacanthous, Liotrichus 및 Aplotarsus)는 국내 미기록 속으로 보고한다. 이전 기록종인 Prosternon tessellatum Linnaeus, 1758은 P. aurichalceum의 오동정으로 국내 곤충상에서 삭제할 것을 제안한다.

국화과(초롱꽃목 : 쌍자엽식물아강)의 잡초가해 곤충 (Phytophagous Insects Associated with Composite(Campanulales : Dicotyledoneae))

  • 추호렬;우건석;;박영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09-515
    • /
    • 1992
  • 한국산 국화과(초롱꽃목) 잡초를 가해하는 곤충조사 결과, 12속 16종의 잡초에서 5목 17과 43속 45종의 곤충이 채집되었다. 그 중 노린재목과 딱정벌레목의 각각 13종으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으며, 중요한 잡초가해 곤충은 진딧물과 잎벌레였다. 식물별로는 참쑥에서 15속 16종의 가장 많은 곤충이 채집되었으며 그외 엉겅퀴와 망초에서도 많은 곤충이 기록되었다. 가해능력이 우수하였던 곤충은 엉겅퀴의 우엉수염진딧물과 엉겅퀴가는잎말이나방이었고 쑥류에서는 쑥민들진딧물외에 쑥잎벌레, 긴발벼룩잎벌레, 금록색잎벌레, Hamushia konishili 잎벌레였다. 기주특이성이 있었던 곤충은 진딧물류와 잎벌레류였으며 쑥류와 망초의 꽃에서 빈번하게 채집되었던 노린재류의 기능은 확인할 수 없었다.

  • PDF

흰점박이꽃무지(딱정벌레목: 풍뎅이과)와 장수풍뎅이(딱정벌레목: 장수풍뎅이과)의 비상활동과 유충의 활동 (Imago's Flight and Larval Activities of Protaetia brevitarsis (Coleoptera: Scarabaedia) and Allomyrina dichotoma (Coleoptera: Dynastinae))

  • 김하곤;강경홍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39-143
    • /
    • 2006
  •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비상활동은 6월 중순부터 9월 상순이며, 장수풍뎅이 (Allomyrina dichotoma) 비상활동은 6월 중순부터 8월 하순까지이다. 두 종의 비상활동은 모두 강수에 영향을 받아 강수량과 강수일수가 적은 해에는 비상활동이 활발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 3령충은 온도에 따른 분포깊이에 영향이 없었으나, 장수풍뎅이 3령 유충은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고온에서는 대부분의 개체들이 표면에 분포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 3령충은 과습한 상태가 분포깊이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장수풍뎅이 유충은 과습한 상태에는 대부분이 표면 근처에 분포한다.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죽은 개체의 속을 파먹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돼지고기, 닭고기, 생고등어, 식빵, 사과, 배 등을 투여한 결과, 흰점박이꽃무지는 모두 잘 섭식하나 장수풍뎅이는 빵만을 섭식하였다. 두 종은 유사한 환경에서 서식하나 식이는 상당히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운문산 자연휴식년제 지역의 곤충류 생물다양성 (Survey on the Insect Biodiversity in Nature Sabbatical Area of Unmunsan)

  • 이종욱;권현정;김창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26-332
    • /
    • 2009
  • 2007년 11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과 경남 밀양시 산내면 경계에 있는 운문산의 육상곤충류의 생태 조사의 결과 총 14목 151과 610속 756종이 채집되었다. U1에서 U4에 이르는 조사 지점에서 출현 분류군별 점유율은 나비목, 딱정벌레목, 벌목의 순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나비목이 252종으로 33.3%의 점유율을 보여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딱정벌레목이 182종으로 24.1%의 점유율을 보여 아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동물 II급 (곤충류)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쌍꼬리부전나비(Spindasis takanonis (Matsumura))와 희귀종인 애반딧불이(Luciola lateralis Motschulsky)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연엽산 일대 딱정벌레목의 군집구조 및 계절적 변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Community Structure and Seasonal Variations of Coleoptera in Mt. Yeonyeop area, Korea)

  • 이승일;정종국;최재석;권오길
    • 환경생물
    • /
    • 제23권1호
    • /
    • pp.71-88
    • /
    • 2005
  • 강원대학교 학술림내 연엽산 일대의 딱정벌레목 군집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2004년 4월부터 9월까지 총 6회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엽산 일대에 4개의 지점을 정하여 light trap, pitfall trap, 그리고 sweeping의 3가지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총 48과 358종 3053개체가 출현하였다.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한 과는 Carabidae로 50종이 출현하였고, 다음으로 Chrysomelida 가 40종 그리고 Curculionidae가 40종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점별로는 고도가 낮고 하천이 있는 지점 4에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고, pitfall trap에 많은 개체수가 채집된 지점 2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가 출현하였다. 월별로는 7월에 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가 출현하였다. 우점종은 Nicro-phorus (Nicrophorus) quadripunctatus (13.00%), 아우점종은 Synuchus (Synuchus) cycloderus (7.17%)이었다. 특히 환경부 보호종인 Damaster mirabilissimus mirabilissimus가 5월에 1개체 출현하였다.

목조 고건축물에서 채집된 곤충의 분류 (Classification of Insects Collected in Historical Wooden Building)

  • 정인수;이양수;이희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52-5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목조 고건축물의 하나인 향교를 대상으로 곤충류의 활동이 활발한 시기인 2001년 3월부터 9월에 걸쳐 외부 기둥 표면이나 이미 발생한 탈출공 내부 및 주변에 붙어 있는 곤충을 채집하여 분류, 동정하였고, 이들의 목조 고건축물 가해충 여부를 고찰하였다. 채집된 곤충은 딱정벌레목(Coleoptera) 10종, 벌목(Hymenoptera) 15종, 노린재목 (Hemiptera) 6종, 파리목(Ditera) 4종, 그리고 집게벌레목(Demaptera) 1종으로 동정되었다. 이 중 포획종과 개체수가 가장 많은 딱정벌레목과 벌목의 대부분은 구기가 저작형이며 강대한 턱을 가지고 있어 목조 건축물에 상당한 피해를 줄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채집된 곤충 중 어떤 종류가 목재 가해 충류인지와 가해충류로 최종 확인된 충류의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남한 미기록종 호리바수염반날개와 배구멍바수염반날개 (Blepharhymenus koreanus Paśnik and Tachyusa wei Pace New to South Korea (Coleoptera: Staphylinidae: Aleocharinae))

  • 송정훈;안기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11-314
    • /
    • 2013
  • 남한 미기록종인 Blepharhymenus koreanus Pa$\acute{s}$nik (호리바수염반날개) (신칭)과 Tachyusa wei Pace (배구멍바수염반날개)(신칭)을 처음으로 기록한다. 두 종에 대한 성충의 사진, 재기재 및 주요 형질에 대한 그림을 함께 제시한다.

한국산 털보잎벌레붙이속(Lagria Fabricius)(딱정벌레목 : 거저리과 : 잎벌레붙이아과)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 (Taxonomy of the genus Lagria Fabricius (Coleoptera: Tenebrionidae: Lagriinae) in Korea)

  • 정부희;김진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75-280
    • /
    • 2009
  • 한국산 털보잎벌레붙이속(Lagria Fabricius)에 속한 털보잎벌레붙이(Lagria nigricollis Hope)와 눈큰털보잎벌레붙이(신칭)(Lagria rufipennis Marseul) 등 2종을 분류학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중 눈큰털보잎벌레붙이는 국내에서 처음 보고되는 종이다. 각 종에 대한 검색키, 기재문, 진단형질 그림과 성충사진을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