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 헬스

검색결과 340건 처리시간 0.027초

RFID 기술을 이용한 효율적인 m-헬스케어 서비스 모델 (An Efficient m-Healthcare Service Model using RFID Technique)

  • 정윤수;김용태;박길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149-156
    • /
    • 2015
  • 식생활의 변화로 인하여 고혈압, 심장병, 뇌출혈, 암 질환 등 다양한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병원에서는 환자 치료에 앞서 환자들이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많은 병원 행정 업무를 처리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중 체내삽입장치를 부착한 환자를 대상으로 체내삽입장치에 RFID 칩을 이식하여 환자가 병원에 외래왔을 경우 RFID 리더를 통해 환자를 자동인식하여 병원 행정업무 처리를 간소화함으로써 환자가 불편없이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m-헬스케어 서비스 모델을 제안한다. 특히, 제안 모델은 응급상황의 환자가 환자의 질병 종류 및 상태를 의료 담당자에게 알려주지 않아도 자동으로 환자의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의료담당자의 진료시간을 단축함으로써 기존 의료 시스템의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실험결과, 서비스 지연시간, 업무 효율성, 환자의 의료 서비스 만족도 등에서 기존 의료 시스템과 비교 평가한 결과, 제안 모델은 기존 모델보다 서비스 지연시간은 평균 16.5% 향상되었고, 업무 효율성은 27% 높았으며, 환자의 서비스 만족도는 평균 22.4% 향상되었다.

산업혁신체제 관점에서의 중국의 원격의료 산업 분석과 국내로의 함의점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China's Telemedicine Indust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dustrial Innovation System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

  • 김미경;장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441-453
    • /
    • 2021
  •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헬스케어 산업이 주목받게 되며 의료정보를 기반으로 한 원격의료 산업이 주목받는 헬스케어 산업의 분야가 되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법제도의 걸림돌에 가로막혀 원격의료는 의사와 환자 간에 있어 아직까지 불법인 상황이다. 이웃국가인 중국의 경우, 원격의료 산업이 정부주도 아래 최근 급성장을 이루고 있는 것과는 정반대의 현실이다. 본 연구는 국내와 중국의 원격의료 산업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원격의료가 하나의 산업이며, 혁신적인 기술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이유로 산업혁신체제적 관점에서 이를 조망한다. 수요 조건, 혁신주체, 네트워크 등 일곱 가지 세부 부문에 대해 중국의 원격의료 산업을 분석한 결과 수요 견인효과에 대한 적절한 기회의 포착, 경제주체의 적절한 소통과 융합, 기술-제품-서비스의 다자간 네트워크 플로우의 확립 등이 주요한 성공요소로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국내 원격의료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첫째, 현재 시행되는 디지털 뉴딜정책의 흐름에 부합하고, 4차 산업혁명 및 언택트 시대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 변화에 대한 요구조사를 시행하여 원격의료의 본격적 도입에 대해 대국민 수요조사를 시행하는 방안과 둘째, 둘째, 디지털 첨단의료를 신산업으로 성장하여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당뇨병 노인의 mHealth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mHealth Use in Older Adults with Diabetes)

  • 김민진;김범수;박선희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4호
    • /
    • pp.113-132
    • /
    • 2022
  •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일상 중심으로의 의료서비스 변화는 스마트폰 건강관리 앱(mHealth) 활용을 통한 자가관리 시대를 열었다. mHealth는 이용자의 건강 자가관리에 도움을 주며 서비스 제공자의 주요 수익원이므로 mHealth 이용 요인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mHealth의 주요 이용자가 될 수 있는 당뇨병 노인을 대상으로 이용 요인을 규명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당뇨병 노인의 mHealth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당뇨병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e헬스리터러시가 mHealth 이용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65세 이상 당뇨병 노인 252명을 대상으로 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했으며, 주관적 건강상태 및 e헬스리터러시와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는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당뇨병 노인이 남성, 저연령일수록 mHealth 이용이 높았다. 둘째, 당뇨병 노인의 e헬스리터러시가 높을수록 mHealth 이용이 높았다. 셋째, 주관적 건강상태와 mHealth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mHealth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완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mHealth 이용에 관한 정보시스템 및 의료 분야의 지식에 기여하는 한편, mHealth 서비스 제공자의 고객 확보 전략 수립, 정부와 의료진의 당뇨병 노인의 mHealth이용을 통한 자가관리 증진 방안 마련에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mHealth 이용 활성화를 통한 당뇨병 노인이 삶의 질 개선 및 디지털 포용 사회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치과 임상에서 디지털기반 소프트웨어 의료기기의 적용 (Application of digital software as a medical devices in dental clinic)

  • 우건철;백세연;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4호
    • /
    • pp.203-210
    • /
    • 2020
  • 현대사회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환자 개인 맞춤 의료서비스가 확대되고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질병의 진단, 환자 감시, 의사결정 지원에 디지털 의료기기가 활용되기 시작했으며 최근엔 장애나 질병예방, 관리 또는 치료하기 위한 목적의 소프트웨어 의료기기가 각광받고 있다. 본 종설은 현재 미국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치료 목적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개념과 현황을 파악하고 앞으로 어떤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 스마트 헬스케어와 관련된 국내 정책 동향을 파악해 다가올 의료계의 변화에 발맞춰 치과 임상에서 가능한 디지털기반 소프트웨어 의료기기의 적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디지털 미술치료의 가능성 및 발전방향 (A Study on the Feasibility and Future of Digital Art Therapy)

  • 이상희;원광연;우성주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309-1315
    • /
    • 2009
  • 컴퓨터를 비롯한 디지털 기술의 빠른 발전은 건강과 관련한 분야에도 새로운 변화를 일으키기 시작했다. 각종 사이버 상담을 비롯하여 원격 진료, 게임과 VR을 활용한 치료 등에 이르기까지 그 영역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HCI 분야에서도 각종 Health Technology와 관련한 이슈에 대해 관심을 갖고 점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흐름에서 본 연구는 최근 대체의학의 한 분야로 대두되고 있는 미술치료를 화두로 디지털기술과의 다양한 접목의 가능성을 모색해보았다. 1999년 Cathy A Malchiodi는 그의 저서에서 "컴퓨터의 사용증가와 디지털기술의 발전이 다른 헬스 케어 영역에서처럼 미술치료의 영역에도 커다란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라고 언급했지만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미술치료는 여전히 생소하고 낯선 개념이다. 비록 몇 몇 선구적인 연구자들이 각종 디지털기술을 미술치료와 결합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긴 하지만, 많은 현장에서는 이에 대해 미술치료의 본질을 해칠지 모른다며 우려감을 표명하고 있다. 그럼에도 미술치료 영역에 디지털 기술을 직간접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는 조금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는 현재까지 관련된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그 흐름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이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의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앞으로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미술치료가 점차 어떤 방향으로 발전해나갈 수 있을 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실제적 연구방법을 통해 디지털미술치료가 향후 전통적 방식의 미술치료가 갖는 한계점을 보완하며 그 가능성을 넓혀 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 방향은 치료보다는 예방차원에서, 단일미술치료보다는 다양한 매체와 감각을 활용하는 통합적 치료로, 또 언제 어디서든 활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끝으로 대상의 특성에 맞는 세분화된 형태의 디지털미술치료 서비스로 정리해볼 수 있었다. 즉 디지�� 미술치료, 나아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예술치료가 현대인의 건강과 웰빙을 위한 새로운 콘텐츠로서 충분히 자리매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해보았다. 본 연구는 새로운 콘텐츠를 위한 기반 연구로서 향후 미술치료를 비롯한 예술치료와 엔지니어 사이의 자연스러운 협업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자리매김 하였다는 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 PDF

한국인 체형에 맞는 안마의자용 핵심기능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Core Function for the Massage Chair on Korean Body types)

  • 김기봉;김창겸;안우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9호
    • /
    • pp.209-217
    • /
    • 2014
  • 현대인의 피로누적과 스트레스로 인한 근육 뭉침이나 어깨 결림과 같은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들을 위해 힐이, 피로회복 개념으로 안마에 대한 욕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안마의자가 개발되고 있으나 한국인의 체형에 맞지 않아 가장 효율적인 안마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관련연구로 안마, 어셈블러, 안마강도, 한국인의 체형을 분석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능을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인 체형에 맞는 동작제어기 및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탄소 저감 및 건강 정보를 위한 U-health Bike 웹 서비스 (U-health Bike Web Services for Reducing Carbon and Health Information)

  • 김창진;김우완;장상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249-256
    • /
    • 2013
  • 오늘날 화석연료의 과다사용으로 인한 지구온난화의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화두 되면서 우리 정부와 선진국들은 환경 친화적이며 건강을 증진시키는 교통수단으로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시키고 있다. 기존 공영자전거 시스템들은 위치추적, 자전거 대여 관리와 같은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탄소저감 측정이나 자전거 사용 정보와 같은 이용자 측면의 서비스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녹색성장의 원동력이 되는 교통수단인 자전거로부터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가공하여 사용자들의 건강정보, 환경정보, 녹색정보, 개인정보, 상담 서비스와 탄소저감량 정보를 제공한다. Web 2.0 기술을 접목하여 구현함으로써 자전거의 사용자 측면에서 참여와 공유의 개념을 확대한 저탄소 녹색성장 실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건강신념과 자기효능감, 운동만족 및 건강증진행동 관계연구 : 헬스센터 중심으로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health belief, self-efficacy, exercise satisfaction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 focused on the case of health training center)

  • 정영신;윤천성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15-230
    • /
    • 2016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health belief of adult female users of the health training center affect health-promoting behavior through self-efficacy and exercise satisfaction. The proposed model is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of Rosenstock et al. To validate the proposed model, PLS analysis is performed with the valid 177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Seoul and nearby c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severity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not on exercise satisfaction. Second, perceived susceptibility does not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self-efficacy and exercise satisfaction. Third, perceived barriers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not on exercise satisfaction. Fourth, perceived susceptibi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self-efficacy and exercise satisfaction. Fifth, self-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satisfaction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Sixth, exercise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보건/의료산업 융합에 따른 의료정보화 시스템 연구 (A Study on Medical Information System in Health/Medical Industry Convergence)

  • 이동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237-242
    • /
    • 2014
  • 우리 사회의 급속한 변화 현상중의 하나를 선택한다면 아마도 급속한 고령화 인구의 증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고령화 인구의 증가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을 야기시키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점점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해결해야 되는 문제가 의료정보 시스템일 것이다. 의료융합 산업이 관광산업의 한 축이 될 수 있는 환경에서는 의료정보 시스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가까운 태국은 의료산업을 기반으로 한 관광산업의 대표적인 나라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관련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련 응용 상품들도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IT와 의료산업의 융복합 형태인 통합 의료정보 시스템에 대한 현황 및 문제점, 향후 발전 방향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웨어러블 헬스케어 환경에서 ECG 전기패턴 QRS을 이용한 급성 심장마비 예방 시스템 (Design of Acute Heart Failure Prevention System based on QRS Pattern of ECG in Wearable Healthcare Environment)

  • 이주관;김만식;전문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141-1148
    • /
    • 2016
  • 본 논문은 웨어러블 시스템을 이용하여, ECG 전기 패턴을 QRS을 이용하여 급성 심장마비 예측 감지 시스템으로, 웨어러블 심장 이상 징후 감지 스마트 워치와, 이를 포함 하고 디지털 ECG (X, Y) 패턴 좌표 DB를 이용하여 비정상 패턴을 즉시 감지하고, 급성 심장마비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을 보여준다. 특히, 디지털 ECG(X, Y) 패턴 정보를 이용한 이상 징후 유형과 대비하는 단계를 통해서 급성 심장마비 발생 시,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고 응급 처치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