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중독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34초

디지털중독 위험군 남학생의 VDT 자각증상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VDT syndrome among male adolescents with risk of digital addiction)

  • 서문경애;이영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363-370
    • /
    • 2016
  • 본 연구는 디지털기기 중독 위험군에 속하는 남자 중학생의 VDT증후군 자각증상 정도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서술적 관계 조사연구로 디지털중독 위험군에 속하는 남자 중학생 16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게임 중독, 스마트폰 사용 중독, VDT 증후군의 자각증상, 컴퓨터 사용 환경을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디지털중독 위험군인 남자 중학생의 VDT 증후군 자각증상은 심리적 증상, 전신증상, 눈 증상, 근골격계 증상순으로 경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장 다빈도 자각증상은 눈 관련 증상으로 눈의 피로감, 시력저하로 나타났다. VDT 증후군 자각증상의 영향요인은 스마트폰 사용 중독, 주중 컴퓨터 사용시간, 컴퓨터 사용 환경으로, 28.1%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중독에 대한 포괄적인 관점에서 건강문제를 탐색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예측해 보고자 시도된 연구로서 의의를 갖는다.

디지털교과서 활용이 인터넷 중독 잠재적 위험군과 일반 사용자군에게 미치는 영향의 차이 분석 (Analyzing the Influence of Digital Textbook Use for Potential Risk Group of Internet Addiction and Average Group)

  • 안성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31-44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이 인터넷 중독 잠재적 위험군과 일반 사용자군에게 각각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는 연구학교의 학생들에게 인터넷 중독 검사를 실시하여 인터넷 중독 잠재적 위험군과 일반 사용자군으로 선별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디지털교과서 활용이 인터넷 중독과의 관련하여 미친 영향을 조사하고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인터넷 중독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이 생각하는 디지털교과서 활용과 인터넷 중독의 관련성에 대해 객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지 않는 인터넷 중독 잠재적 위험군을 선발하여 동일한 조사를 실시하고 그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터넷 중독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이 일반 사용자군보다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활용 시간과 학습 선호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인터넷 사용빈도와 건강 문제는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지 않는 인터넷 중독 잠재적 위험군과 동일한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디지털교과서 사용이 인터넷 중독 잠재적 위험군에게 더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없으나 해당 학생들은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으로 인해 본인들이 인터넷 중독에 대한 악영향을 받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교과서 사용에 앞서 정보통신 윤리교육을 먼저 실시하여 올바른 컴퓨터와 스마트기기 사용 태도를 기르도록 할 것을 제안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와 디지털중독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and Digital Addiction in Nursing Students)

  • 우진주;서은주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2호
    • /
    • pp.117-124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와 디지털중독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개 도시의 대학교 간호학과 1~2학년 학생 207명을 대상으로 2022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로 자료수집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스트레스는 대인관계능력(β =.21, p =.015)과 디지털중독(β =.20, p =.003)에 대해 유의한 직접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아 코로나19 스트레스와 디지털중독 사이에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β =.07, p =.314).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디지털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디지털중독의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디지털스토리텔링을 적용한 게임중독치료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Game Addiction Treatment Program using Digital Storytelling)

  • 한선관;조은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71-178
    • /
    • 2011
  • 이 연구는 게임중독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접근으로 디지털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전략을 제안하였다. 우선 디지털스토리텔링 수업을 위한 교육내용을 5가지 멀티미디어 요소로 선정하고 게임중독 치료를 위한 교육전략과 절차를 마련하였다. 5명의 게임중독 위험군 학생을 선발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게임중독 검사, 게임이용시간 검사, 회기별 관찰과 면담, 제안된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결과, 제안된 프로그램이 게임중독 경향성의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고, 디지털 스토리텔링 전략의 효과 분석에서 디지털스토리텔링 과정을 통해 느끼는 몰입감, 참여와 도전, 사회적 상호작용,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안된 디지털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은 게임중독 치료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디지털교과서 활용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rnet Addiction by Using Digital Textbook in Teenager)

  • 안성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53-260
    • /
    • 2015
  • 2014년부터 사회와 과학 과목에 대한 디지털교과서가 개발되어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시범 적용되어지고 있다. 이에 대해 일부에서는 디지털교과서 사용에 따른 학생들의 인터넷 중독 가속화를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충분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아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이 학생들의 인터넷 중독을 가속화시키는지를 파악할 수 없는 형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이 학생들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지 않는 집단에서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는 집단보다 인터넷 중독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이 약 1.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집단 간의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95% 신뢰수준에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디지털교과서의 사용이 학생들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볼 수 있으며, 학생들의 인터넷 중독은 인터넷 사용의 시간과 빈도보다는 어떤 환경 하에서 사용하게 되는지에 더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추측되어졌다.

소셜미디어 중독과 지속사용 의도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 of Addiction and Sustainable Use of Social Media Service)

  • 이상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호
    • /
    • pp.273-280
    • /
    • 2014
  • 본 연구는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미디어의 중독과 지속사용 의도에 관한 연구를 통해 디지털 정책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소셜미디어 사용자가 인식하는 중독 증상에 대해 선행과 후행의 변인을 찾아보고, 서비스 지속 이용에 대한 방안 및 중독의 예방을 위한 함의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1) 개인의 혁신성은 서비스 만족, 중독,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2) 서비스 만족이 중독과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3) 서비스 중독 인식이 지속사용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점은 이용자의 중독인지가 서비스의 지속 성장에 장애가 됨을 설명하는 결과였다. 본 연구의 정책적 제안은 다음 두 가지로 요약된다. 1) 서비스 제공사업자는 이용자가 중독적인 사용행태를 보일 때 이용자가 중독으로 인해 서비스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2) 정부는 서비스 중독의 예방을 위해 이용자가 중독으로 인한 불편함을 인지할 때 대처할 수 있는 치유시설, 서비스 등을 제공해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디지털 스포츠 중독의 비선형 거동 해석 (Analysis of Nonlinear Behavior for Addiction in Digital Sport)

  • 배영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977-982
    • /
    • 2017
  • 최근에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의 발달과 더불어 스포츠를 ICT와 융합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대표적인 것이 게임을 들 수 있다. 또한 스크린 골프, 스크린 볼링과 같은 스포츠와 디지털을 혼합한 형태의 디지털 스포츠가 발달하고 있다. 일반 스포츠에도 중독 문제가 있듯이 디지털 스포츠에도 중독 문제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스포츠에서의 중독 모델을 분수차수(fractional-order)로 제시하고 이 모델로부터 비선형 거동을 시계열과 위상 공간으로 나타내고, 이들 사이의 차이점을 확인한다.

융복합 시대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들의 중독 요인에 대한 연구: 습관의 역할 (A Study on Antecedents of SNS User's Addiction in the Age of Convergence: The Role of SNS Habit)

  • 김병수;김대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161-168
    • /
    • 2015
  •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과잉적 사용으로 야기되는 서비스 중독에 대해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서비스 중독은 능률 저하, 심리 및 육체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독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 모형에서는 서비스 습관을 서비스 중독 형성의 핵심 요인으로 고려하였으며, 자기표현, 네트워크 관리, 정보 검색의 영향도 함께 살펴보았다. 페이스북 사용자 206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안한 연구 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모형 분석 결과 서비스 습관은 서비스 중독 형성의 핵심 요인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자기표현, 네트워크 관리, 정보 검색은 서비스 습관을 매개로 하여 서비스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사용자들에 대한 중독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관련 디지털 융복합 정책 및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판 아동용 디지털 중독 척도의 타당화 연구 (The Validation Study of Korean Version of the Digital Addiction Scale for Children)

  • 장성호;김서희;이다인;신성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840-850
    • /
    • 2022
  • 본 연구는 Hawi, Samaha와 Griffiths가 개발한 아동용 디지털 중독 척도(The Digital Addiction Scale for Children; DASC)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만 9-12세를 대상으로 개발된 원척도를 국내에 번안 및 타당화하기 위해 평소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만 9-12세 294명의 데이터를 가지고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내적 일치도와 공인타당도 및 구성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원척도와 동일하게 9준거를 기반으로 한 2요인 12문항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여 본 척도가 한국 아동들의 디지털 중독을 신뢰 수준이 높고 타당하게 측정하는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의 디지털 중독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선행척도들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있는 아동용 디지털 중독 척도를 국내에서 활용하기 위해 국내 실정에 맞게 번안 및 타당화함으로써 관련 분야 연구의 기초를 닦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게임 중독과 디지털 중독 예방을 위한 게이미피케이션 개발 요소 제언 (A Proposal of Gamification Design Elements to prevent Game and Digital Addiction)

  • 박성진;김상균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95-10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게임 중독을 개선하기 위한 게이미피케이션 개발 방법 방향 제언이다. 연구 진행을 위해 782개의 게이미피케이션 사례를 수집했다. 게이미피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4F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게임 메커닉스와 재미 경험을 분석했다. 분석한 사례를 기반으로 개발 요소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아프리오리 알고리즘을 적용했다. 연구결과, 게임 메커닉스는 63개의 연관규칙이 발견됐다. 재미 경험은 37개의 연관규칙이 발견됐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게임 중독 개선을 위한 게이미피케이션 개발 방향에 대해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