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자인 이론

Search Result 92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Safe Design Principle (안전디자인 원칙에 관한 연구)

  • Yoon, Jongyoung;Ahn, Hye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120-123
    • /
    • 2015
  • 국민 생활안전과 관련된 안전디자인에서 기본적으로는 안전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지만, 디자인의 고유 요소들도 아울러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안전디자인은 산업디자인의 고유 특성과 인간공학과 안전 공학적 측면을 포함해야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안전디자인이란 제품 시설 공간 등에 설계 제조 건축 운영 등의 형태로 적용되어 주기능의 '안전' 달성도를 높이고, 타 기능과의 상승적 융합을 통해 사회 안전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국내외 관련 논문, 보고서, 통계자료 등의 문헌연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안전디자인 개념과 구성요소, 안전디자인의 범위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작업공간에서의 안전디자인의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있는 호주의 안전디자인 원칙 가이드라인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안전디자인에서 지켜져야 할 다섯 가지의 원칙에 대해 논의하여 안전디자인의 확립에 도움이 되는 기초 연구로서 활용이 되고자 했다.

  • PDF

School Uniform: Socio-Psychological Meaning and Future Research (교복(校服)의 사회심리학적(社會心理學的) 의미(意味)와 향후연구과제(向後硏究課題))

  • Yoh, Eun-Ah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 /
    • v.5 no.3
    • /
    • pp.35-48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교복의 다양한 요소를 사회심리학적 이론에 적용하여 설명함으로써 교복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의미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1) 교복의 기능, 장점, 단점, 의미에 관한 기존 문헌자료를 조사하고, 2) 대표적인 다섯 가지 사회심리학 이론을 통하여 교복의 사회심리학적 의미를 조명하며, 3) 교복의 사회심리학적 측면에 관한 향후 연구방향과 과제를 도출하는 목적을 가진다. 교복의 사회심리학적 의미 연구에 사용된 이론은 conformity and uniformity, Post-modernism, role theory, symbolic interaction, 그리고 semiotics and informational processing 이었다. 상기한 다섯가지 이론을 바탕으로 도출한 향후 연구과제로는: 1) 교복 디자인 선택에 있어 학교의 가치기준과 목표 반영 정도, 2) 시대적, 조직적 변화에 대응하는 학생들의 교복변형 행동, 3) 교복도입 전후에 학생들의 역할 수행 변화와 학년에 따른 학생들의 교복행동 변화, 4) 교복 도입이 경제적으로 어려운 학생들의 의복박탈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5) 관찰자에 따른 교복 의미 부여의 다양성 등이 제시되었다.

  • PDF

소비자 감성에 기초한 경기용 여자 수영복 디자인 기획의 제시

  • Lee, Ju-Hyeon;Jang, Jin-Hui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2
    • /
    • pp.183-202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1) 경기용 여자 수영복의 디자인을 분석하여 대표적인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2) 경기용 여자 수영복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한 디자인 기획의 지침을 제시하며 3) 디자인기획의 지침을 토대로 하여 합리적인 경기용 여자 수영복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오미겐타로의 디자인평가인자 이론을 개념적 모형으로 하여 경기용 여자 수영복의 이미지를 20개의 디자인 세부요소로 분해하여 디자인 특징을 기술하는 디자인 요소 분석 체계를 구성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디자인 요소 분석 체계를 보완하고 개발하였다. 경기용 여자 수영복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의 주요 하위 차원으로는 참신함, 발랄함, 심플함, 강함 차원 등이 도출되었다. 또한 경기용 여자 수영복의 디자인 세부 요소들 중 로고와 색체에 관련된 디자인 세부 요소들은 선에 관련된 디자인 세부 요소들보다 감성에 더욱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는 기존의 스포츠 마케팅에서 로고를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해온 것은 타당함을 의미하였으며, 경기용 여자 수영복 디자인 기획에서는 로고 뿐 아니라 색채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의미 있는 감성 효과를 나타낸 디자인 세부 요소들은, 스포츠마케팅 및 디자인 마케팅 분야에서 경기용 수영복 디자인 제품에 대한 체계적인 소비자 평가 기준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Analysis on Metaphorical Thinking in Design Process (디자인 과정에서 나타난 은유사고의 분석)

  • 이한석;윤기병;이정규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5 no.4
    • /
    • pp.307-316
    • /
    • 2002
  • Metaphor thinking is a kind of intuitive thinking and plays a central role in design process. But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on this topic because it happens in designer's mind during design problem solving. In this paper, we considered cognitive aspects of metaphorical thinking as they cropped up in the process of design concepts development. As a method of cognitive experiment we used a protocol analysis of the design review reports. At the end of this research we concluded that metaphorical thinking is engaged in restructuring of new frames and reconciliation of conflicting frames for the development of new design ideas and concepts. This role of metaphorical thinking makes the design thinking divergent and the design process creative.

  • PDF

A Presentation of Guidelines for Layout Techniques in Design of Floral -patterned Scarves based on an Analysis of Consumer Emotion : Part I (소비자 감성분석을 기반으로 한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의 레이아웃 기법 제안: 제 1보)

  • 조현승;이주현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 no.2
    • /
    • pp.23-33
    • /
    • 1998
  • 본 연구의 제 1보에서는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의 두 레이아웃 변인 (모티브 크기와 반복 배열 방식)의 변화에 따른 소비자 감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이러한 분석결과를 시장현황 조사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의 레이아웃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 2보네서는 제 1보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소비자의 감성을 만족시키는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을 위한 지침과 디자인의 프로토타입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의 레이아웃 기법이 감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스카프 디자인에 있어 레이아웃 기법 전개에 관련된 실증적 지표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사변적 또는 미학적 접근이 주류를 이루었던 기존의 스카프 디자인 연구 분야에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최근 주목받고 있는 감성과학 이론이 섬유 제품 디자인 개발에 유용한 방편으로 적용될 수 있는가에 관한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 PDF

The Development and Features of Discussion about Community Design (커뮤니티디자인의 전개와 논의의 특징)

  • Kim, Yun-Geum;Reigh, Young-Bum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3
    • /
    • pp.22-31
    • /
    • 2012
  • This study was prompted by the recognition that the tenn "Community design" has recently been used in diverse practical fields without prior discussion about its underpinnings, a potentially problematic state of affairs. Based on these problems, this study studied the special quality about the concept of community design. Community design can be discussed from two perspectives. The first views community design as a design that concerns the community, an inhabited area populated with people who have common interests, at least in part because of geographic proximity to each other. The second sees community design as a movement that started in the 1960s and places a great importance on democratic decision mak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latter. This branch of community design encompasses an advocacy planning approach, in which design professionals represent deprived communities in their resistance against comprehensive redevelopment. This was associated to the wider social protest movements of the mid and late 1960s. In the 1970s, this branch of community design was developed alongside community design centers, which provided local-level technical assistance to the communities on a number of issues, such as design and planning. The discussion about community design started in earnest from the early 1980s. A review of the literature m community design reveals several characteristics. First, community design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several aspects of a region, including the social and cultural. Second, it involves community participation, which many scholars believe is the core of community design. Specifically, community design has been characterized by increased participation and democratic debate and decision making. The Third is about communication methods. Since the 1960s, diverse methods had been developed to promote communication effectively. Finally, community design must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ers, who typically value aesthetics and efficiency of form, and the needs of the community with which they are working. Indeed, some scholars believe that this relationship is generally contentious, although the designer can also be thought of as the facilitator of the community's needs. As community design practice becomes more prevalent, a review of the foundation of institution and policy and the role of experts is also needed. The community design movement bas been theorized ex post facto through diverse discussion that has sought to ascribe meaning and direction to its practice.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theory and practice is cyclical. Therefor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virtuous circle.

An Empirical Approach on Textile Designer's Mental Model focused on the Motif Development for designing CAD tool of Digital Textile Printing (텍스타일 디자이너의 인지적 모형에 대한 실증적 접근 - 디지털 나염 전용 캐드 설계를 위한 모티브 개발을 중심으로-)

  • 송승근;이주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60-166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비디오/오디오 프로토콜 분석 방식을 이용해서 텍스타일 디자인 프로세스 중 모티브 개발 단계에서 디지털 나염(DTP : Digital Textile Printing) 전용 캐드(CAD)와 같은 디자인 저작도구를 설계할 때 어떤 요소에 중점을 두고 개발 할 것인지에 대한 향상된 지침을 마련하는데 있다. 텍스타일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프로토콜 분석을 위해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디자인 행동 범주의 틀을 하향식(top-down)방식으로 설정하고 실제 행동 프로토콜 (action protocol) 분석을 통해 상향식(bottom-up)방식으로 세부 디자인 행동을 도출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은 선행연구의 건축디자인과는 다른 특징을 지니기 때문에 프로토콜 분석에서도 새로운 디자인 행동 범주(action category)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모델 휴먼 프로세서(Model Human Processor)이론을 근거로 디자인 행동을 모터 행동(motor action), 지각 행동(perceptual action), 인지 행동(cognitive action)의 세 가지 범주[4]로 나누었으며 텍스타일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합한 코딩 스킴(coding scheme)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새로운 코딩 스킴을 토대로 디자인 저작도구에 대한 디자이너의 인지적 모형(Cognitive Model)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디자이너의 인지적 모형은 디지털 나염을 기반으로 하는 모티브 개발 단계에서 스케치와 렌더링에 대한 디자인 저작 도구의 향상된 설계지침 뿐만 아니라 방향도 시사하였다.

  • PDF

The Interaction Design of Teaching Assistant Robots based on Reinforcement Theory - With an Emphasis on the Measurement of the Subjects' Impressions and Preferences - (강화 이론에 근거한 교사 보조 로봇 인터랙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로봇에 대한 인상과 선호도 측정을 중심으로 -)

  • Kwak, So-Nya S.;Lee, Dong-Kyu;Lee, Min-Gu;Han, Jeong-Hye;Kim, Myung-Suk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20 no.3 s.71
    • /
    • pp.97-106
    • /
    • 2007
  •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reinforcement theory could be effectively applied to teaching assistant robots between a robot and a student in the same way as it is applied to teaching methods between a teacher and a student. Participants interacted with a teaching assistant robot in a 3 (types of robots: positive reinforcement vs. negative reinforcement vs. both reinforcements) by 2 (types of participants: honor students vs. backward students), within-subject experiment. Three different types of robots, such as 'Ching-chan-ee' which gives 'positive reinforcement', 'Um-bul-ee' which gives 'negative reinforcement', and 'Sang-bul-ee' which gives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inforcement' were designed based on the reinforcement theory and the token reinforcement system. Subjective impressions and preferences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types of robots and the types of participants. Participants preferred the positive reinforcement robot most, and the negative reinforcement robot least. Regarding the number of stimulus, in case of the negative reinforcement robot for honor students, the less the stimulus is, the more positive the impressions toward the robot are.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reinforcement interaction is important and effective factor which determines children's preferences and impressions for teaching assistant robo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implicated as an effective guideline to interaction design of teaching assistant robo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