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두산

검색결과 519건 처리시간 0.042초

정말 살기 좋은 아파트 만드는 두산건설-반세기 만에 초일류 건설사로 우뚝

  • 박준형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219호
    • /
    • pp.64-67
    • /
    • 2008
  • 두산건설이 겹경사를 맞았다. 두산건설은 김기동 사장이 올해 6월 열린 건설의 날 행사에서 건설 기술 선진화의 공로를 인정받아 금탑산업훈장을 받은데 이어, 지난 15일에 자체 아파트 브랜드인 두산위브가 '살기 좋은 아파트 대통령상'을 받는 기쁨을 누렸다. 건설 업계에 한파가 불고 있음에도 불고하고 유독 두산건설이 승승장구하고 있는 비결이 무엇인지 살펴보자.

  • PDF

백두산과 천지

  • 홍시환
    • 동굴
    • /
    • 제30권31호
    • /
    • pp.74-77
    • /
    • 1992
  • 장백산이라 부르고 있는 우리나라의 조종산인 백두산, 하기야 장백산맥의 주봉을 이루고 있다고 하여 중국에서는 옛날부터 장백산이라고 부르고 있으니 우리가 올라간 곳은 백두산이 아니라 장백산이라고 불러야 맞을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우리는 옛부터 백두산이라 볼러왔고 이 산이야말로 우리나라 한반도의 영봉으로 알고 있으니 백두산이란 이름으로 불러야 마음이 편하다고 하겠다.(중략)

  • PDF

백두산의 지질

  • 정창희
    • 동굴
    • /
    • 제30권31호
    • /
    • pp.68-73
    • /
    • 1992
  • 필자는 이번 중국 여행으로 중국속의 백두산에 올라가기는 하였으나 5m 밖이 보이지 않는 구름으로 천지는 물론 큰 바위도 볼 수가 없었다. 그러므로 필자가 본 백두산의 지질을 논할 수가 없다. 다만 정상에 오를 때에 보인 발 밑의 흙과 이에 섞인 흰색의 부석을 보았고 검은 돌조각을 보았을 뿐이다. 이도백하에서 버스로 백두산에 접근할 떼에 흔한 다공질 현무암을 볼 수 없었다. 정상 가까이에서 집차를 타고 포장된 길을 오를 떼에는 이미 구름속에 있었다. 또 도로 가는 시멘트로 완전히 포장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필자는 오로지 문헌에 의하여 백두산의 지질을 소개하고자 한다.(중략)

  • PDF

인공위성을 이용한 백두산 화산 마그마 활동의 전조현상 인지 가능성 연구 (The Study on the Possibility of Using Satellite in Monitoring Precursor of Magma Activity in the Baegdusan Volcano)

  • 이덕수;최승찬;오창환;서민호;유인창
    • 암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5-47
    • /
    • 2013
  • 1000 AD 경에 매우 강력한 화산 폭발을 하였던 백두산은 아직도 폭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백두산의 폭발 가능성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는 정기적인 감시가 필요하다. 하지만 지정학적인 이유로 백두산 지역에 정기적인 감시 시설을 설치하거나, 정기적인 관측 자료를 얻는 것이 매우 힘든 상황이다. 따라서 인공위성을 이용한 백두산 화산 폭발 가능성에 대한 정기적인 감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GRACE 인공위성에서 획득한 백두산 지역의 중력 자료로부터 계산된 지오이드 자료의 지난 10년간의 변화를 보면, 백두산 지역에서 지진 발생을 포함한 마그마 활동 가능성이 인지된 2002년부터 2005년 사이에 매우 뚜렷한 지오이드 감소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동일한 시기에 백두산 지역의 강수량이 줄어들지 않음을 고려할 때 이러한 변화는 백두산 하부의 마그마 활동에 연관되어있을 가능성을 지시한다. 백두산 지역에서 CHAMP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측정된 지난 2000년도부터 2010년까지의 자력 변화를 살펴보면, 마그마 활동이 활발했던 2000년에서 2005년도 사이에 자력이 감소하고 그 이후 다시 증가하는 현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자력의 감소는 백두산 하부 마그마 온도의 증가에 따른 주변 암석의 비자성화(demagnetization)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자료는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관측한 지오이드와 자력의 변화가 백두산 하부 마그마 활동을 감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지시한다.

백두산 천문대 설립을 위한 기초 계획 (Preliminary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Mt. Baekdu observatory)

  • Yang, Hong-Jin;Yim, Hong-Suh;Byun, Do-Young;Chung, Jong-Kyun;Choi, Young-Jun;Yim, Insung
    • 천문학회보
    • /
    • 제44권1호
    • /
    • pp.60.4-60.4
    • /
    • 2019
  • 2018년 7월 국회의원회관에서 백두산과학기지 구축 방안에 대한 포럼이 있었다. 포럼에서는 천문, 화산활동, 광물자원, 천연물에 대한 주제별 발표가 있었으며, 한국천문연구원은 백두산과학기지 내 천문대 구축에 대한 기초 계획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지난 11월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백두산천문대 구축에 대한 포럼을 통해 광학, 전파, 태양 우주환경 그리고 전통천문 분야에 대한 연구 계획을 소개한 바 있다. 천국천문연구원은 지난 2015년부터 남북천문분야 교류를 통한 남북한 천문분야 공동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최근 백두산과학기지와 천문대 설립을 위한 현황과 천문 분야별 연구 방향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아울러, 백두산천문대 설립을 위한 최근의 활동과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서도 발표하고자 한다.

  • PDF

일본의 화산감시 및 분화대응 특성 (Characteristics on Volcanoes Monitoring and Disaster System of Japan)

  • 장은숙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188-188
    • /
    • 2011
  • 작년 아이슬란드에서의 화산폭발로 발생된 화산재가 대기 중으로 이동하면서 유럽 공항 곳곳의 항공기 수천 편이 운항 중지되기도 하였다. 한반도내의 백두산은 약 1000전(서기 946년~947년 경) 대규모로 분화하였고, 서기 1903년, 소규모 분화한 후, 앞으로 수년~수십 년 사이에 폭발적인 분화를 재개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백두산 분화 시, 아이슬란드 화산폭발 때보다 훨씬 심각한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백두산 화산에 대한 현지 자료의 수집과 꾸준한 모니터링(감시, 관측) 자료의 분석과 재해 예상 범위 및 대응 방안의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적으로 가까이 있으며 108개 활화산의 화산재해 방재에 관하여 꾸준히 활동하고 있는 일본에서의 화산감시 및 분화대응 시스템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의 화산재해대책을 수립하기위한 시사점들을 고찰하였다. 화산의 평균적인 분화 간격은 풍수해나 지진 등 다른 재해에 비해 길기 때문에 일본 기상청에서는 과거1만년 이내에 분화한 증거가 있는 화산이 활화산으로서 인정되고 있다. 백두산은 약 1000년 전에 분화한 뒤 최근 분화의 전조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중국과 북한에 인접하여 있으므로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피해는 예상되지 않으나, 우리나라에 일본과 같은 활화산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생소하였던 화산재해란 어떠한 것이며, 향후 잠재적인 분화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백두산폭발로 인한 재해의 종류를 미리 예상하고 준비할 필요가 있다. 일본의 경우 계속적인 감시와 관측을 통한 분화예보, 경보를 발령하고 분화 시 즉각적인 방재정보를 전달, 지역주민들이 빠르게 인지, 주의하도록 화산재해 대책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 중국과 북한에 인접한 백두산에 대한 관측 자료가 거의 없고, 연구를 위한 접근 또한 쉽지 않은 상황이다. 분화로 인한 직접적인 영향권에서는 벗어난다할지라도 계절적인 기상장의 영향 및 아직 예측 불가능한 백두산의 잠재적인 폭발규모에 따라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경우에 대비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우리나라의 화산재해 방재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백두산 폭발로 인한 재해위험범위를 가시화하고, 분화 시에 대한 구체적인 가상시나리오를 작성하여, 화산재 및 대기오염물질의 확산시뮬레이션, 기후변화에 끼치는 영향 등을 포함하는 화산재해대책을 미리 세워 피해를 저감시킬 수 있는 방재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 PDF

화살나무속(노박덩굴과)의 신종: 백두산회나무(Euonymus baekdusanensis M. Kim) (New species of Euonymus (Celastraceae): E. baekdusanensis M. Kim)

  • 황용;소순구;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68-170
    • /
    • 2013
  • 백두산에서 화살나무속의 신종인 백두산회나무(Euonymus baekdusanensis M. Kim)를 새로이 발견하여 기재하였다. 백두산회나무는 4수성 꽃구조를 가지고 4개로 각이 진 삭과를 가지며 사마귀 같은 혹이 가지와 소지에 있어 회목나무(E. verrucosus Scopoli)와 유사하다. 그러나 백두산회나무는 커다란 장타원형의 잎(11-13 cm)을 가지고 엽병이 뚜렷하며(6-8 mm) 과실이 대형(12-15 mm)인 반면에, 회목나무는 작은 도란형의 잎(6-7 cm)을 가지고 엽병이 거의 없으며(1-2 mm) 과실이 소형(6-8 mm)인 점에서 두 종이 뚜렷하게 차이가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