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두부 계측

검색결과 370건 처리시간 0.022초

20세 이상 일부 성인남녀의 망간 섭취상태 평가 (Evaluation of Dietary Manganese Intake in Korean Men and Women over 20 Years Old)

  • 최미경;김은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47-45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정상 성인의 일상적인 망간 섭취량과 주요 급원식품을 제시하여 망간의 영양섭취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20세 이상 성인남녀 354명을 대상으로 신체 계측과 24시간 회상법에 의한 식사섭취 조사를 실시한 후 망간의 섭취상태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남자 54.6세, 여자 53.8세이었으며, 신장, 체중 및 체질량지수는 남자 165.7cm, 67.2kg, $24.5kg/m^2$, 여자 153.7cm, 59.1kg, $24.9kg/m^2$로 남자대상자의 신장과 체중이 여자대상자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p<0.001, p<0.001) 체질량지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일 평균 에너지 섭취 량은 남자 1740.9kcal, 여자 1432.6kcal이었으며, 망간섭취량은 남녀 각각 3.7mg과 3.2mg으로 남자대상자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1, p<0.01). 그러나 섭취 에너지 1000kcal당 망간 섭취량으로 산출한 망간 밀도는 남녀 각각 2.2mg/1000kcal와 2.3mg/1000kca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남자대상자의 총 식품섭취량은 1219.1g으로 여자대상자의 1071.3g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전체대상자의 식품군별 망간의 섭취량과 섭취 에너지 1000kcal당 섭취량은 곡류(1.9mg, 1.3mg/1000kcal), 채소류(0.5mg, 0.3mg/1000kcal), 두류(0.4mg, 0.2mg/1000 kcal), 조미료류(0.2mg, 0.1mg/1000kcal) 순위로 높은 섭취를 보였다. 1일 망간 섭취량에 기여한 20순위 식품은 쌀, 대두, 수수, 김치 두부, 밀가루, 고춧가루, 팥, 차조, 된장, 감자, 라면, 풋고추, 국수, 메밀 냉면, 콩나물, 김, 수박, 들깨, 간장이었으며, 20가지 식품을 통해 전체 망간 섭취량의 74%를 섭취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전체대상자의 1일 망간 섭취량은 3.4mg(2.2mg/ 1000kcal)로 충분섭취량 수준이었으며 쌀, 대두, 수수, 김치, 두부와 같은 곡류, 두류, 채소류가 망간의 주요 급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와 전치부 개교합 발생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and Development of Anterior Open Bite)

  • 허윤경;고명연;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3호
    • /
    • pp.293-303
    • /
    • 2007
  • 목적 :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와 연관되어 전치부 개교합이 발생하는 원인과 교합장치 치료가 개교합 발생과 연관이 있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 2년간 경북대학병원 구강내과에 턱관절 질환으로 내원한 환자 중에 임상적으로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파노라마, 측방 횡두개상 그리고 측방 두부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였다. 환자는 3군으로 나누었으며 1군은 처음 병원에 내원할 때 개교합이 있거나 교합장치 치료를 제외한 치료도중에 갑자기 개교합이 유발된 군(22명), 2군은 교합장치 치료 도중에 개교합이 발생한 군과 이 기간동안 예전에 이미 교합장치 치료도중 개교합이 발생한 후 정기적 관찰 환자를 포함한 군(16명). 그리고 3군은 교합장치 치료 후에도 개교합이 발생하지 않은 군(20명)으로 구성되었다. 측방 두부방사선 계측으로 개교합 발생과 안면부 골격 형태의 연관성을 한국인 정상 교합자들의 평균치와 각 3군 간의 t-test 비교와 ANOVA를 이용해 3군 간의 골격 형태를 비교 조사하였다. 결과 : 1. 1군과 2군은 정상 교합자들의 평균치와 비교했을 때 대부분의 경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1, 2, 3군 모두에서 하악의 크기와 형태를 나타내는 변수들과 더 작은 ANB, 더 큰 FMA 값을 보였다. 2. 세군 간의 비교에서 1군과 2군은 3군에 비해 더 큰 하악하연각 (a larger FMA, a larger SN to mandibular plane angle), 짧은 하악지, 더 큰 하악각을 가졌으며, 1군과 2군 간은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가 없어 비슷한 수직적 부조화가 큰 골격형태를 가졌으며, 3군은 1, 2군과는 달랐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1군과 2군은 수직적 부조화가 큰 안모 형태를 보여 저작근의 작용 방향과 저작근 부착 위치에 따른 하악의 후하방 회전의 결과로 전치부 개교합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수직적 부조화가 큰 경우일 때는 수직 고경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은 좀 더 주의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디지털 및 일반 측방두부규격방사선사진에서 측정 방법에 따른 계측치의 비교 (The comparison of cephalometric measurements between measuring methods in digital and convention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

  • 김미자;허경회;이원진;허민석;이삼선;이진구;안병근;최순철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5권1호
    • /
    • pp.15-23
    • /
    • 2005
  • Purpose : To compare cephalometric measurement between measuring methods in digital and convention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 digital and convention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selected. In digital group, cephalometric measurements were performed manually using hardcopies and automatically using $V-Ceph^{TM}$ program on the monitor. In conventional group, the sam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manually on conventional films, and for automatic measurement conventional films were digitized by scanner. All measurements were performed twice by 4 observers, and 24 cephalometric variables were calculated and the time spent for each measurement was recorded. The differences in measurements data and the time spent for each measurement were compared within each group. Intra-observer and inter-observer comparisons were performed. Results : In both group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nual and automatic measurements was observed and most of the variables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ethods. The observer with less experience tended to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measurements between methods, and differences from other observers. The differences of measurements between methods in digital group were lesser than those of conventional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8 variables out of 24. With automatic method and in digital group, the spent time was shorter. Conclusion : With direct digital radiograph, automatic method using manually idenitified landmarks can be preferable in cephalometric analysis. (Korean J Oral Maxillofac Radiol 2005; 35 : 15-23)

  • PDF

한국인 두개 안면골 성장변화에 관한 누년적 연구(8세에서 16세까지) (A LONGITUDINAL CEPHALOMETRIC STUDY OF THE CRANIOFACIAL GROWTH CHANGES OF KOREANS AGED FROM 8 TO 16 YEARS)

  • 성재현;권오원;경희문;박경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91-507
    • /
    • 1992
  • 경북대학교 치과대학에서 두개 안면골 성장에 관한 누년적 연구의 일환으로 남자 26명 여자 21명을 대상으로 평균 연령 8.5세에서 16.5세까지 격년 간격으로 활용한 두부X선 규격사진 235매를 분석하여 이 기간동안 나타난 안면각 부의 성장 변화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이 기간동안 두개저에 대하여 하악골이 상악골보다 전방 성장량이 많았다. 2. 하악골은 두개저에 대해 전상방으로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되었다. 3. 전체 하악골 길이(Ar-Gn)에서 뚜렷한 사춘기 급성장을 보였으며 그 시기는 남자 12-14세 여자 10-12세로 신장에서 급성장 시기와 일치하였다. 4. 전체 두개저 길이 (Ba-Na)에서도 사춘기 급성장을 보였고 그 시기는 남자 10-12세 여자는 8-10세로 신장 및 하악골 길이에 비해 2년 정도 빠른 시기에 나타났다. 5. 전${\cdot}$후방 안면 높이(AFH, PFH) 모두에서 최대 성장 시기는 남녀 모두 신장에서 최대 성장 시기와 일치하였다. 6. 남녀별로 각 연령에서 각 계측치의 평균치를 이용하여 전반적 평균 성장 변화도 및 진단용 profilogram을 작성하였다.

  • PDF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의 효과와 안정성에 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Clinical Effects and Stability of the Maxillary Protraction Using the Lateral Cephalogram in Korean)

  • 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09-529
    • /
    • 1992
  •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type to treat and stabilize. For a child with developing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the treatment objective would be to stimulate maxillary growth, particulary one who has markedly deficient maxilla, and to restrain excessive mandibular growth. In order to stimulate the maxillary growth, maxillary protraction appliance is the one of the effective orthopedic appliances in skeletal Class III.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evaluation of the skeletal and dental changes of the maxillary protraction in children with Class III Maxillary deficiency , comparison of the clinical effects between the group with RPE and labiolingual intraoral appliances , comparison of the clinical effects and stability related to the ages of the patients : stability of the maxillary protraction about 1 year after retention. The subjects consisted of 60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8 and 13.4 who were diagnosed as Class III with maxillary deficiency and were treated with Face Mask (Delaire Type) from the Dept. of Orthodontics Yong Dong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48 children wore the RPE and 12 children wore Labiolingual Appliance. Lateral Cephalograms were taken for each patient at before and after correction of anterior cross-bite in 60 children, and after an observation period of 10 to 14 months in 19 children. X and Y coordinate of 10 landmarks were analyzed using a horizontal line through sella and rotated $6^{\circ}$ down anteriorly as the horizontal reference axis, and a perpendicular verticual line through sella as the vertical reference axis. Each of the 31 measurents (10 verticals, 10 horizontals, 2 angles and 9 others)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PC stat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fter maxillary protraction the maxilla and maxillary teeth moved downward and forward, while the mandible and mandibular incisor rotated downward and backward. 2. Maxillary protraction with rapid palatal expansion appliance was more effective than with labiolingual appliance. 3. More downward movement of the posterior palatal plane obserbed with maxillary protraction doing the midpalatal suture opening than with protraction after finishing the palatal expansion 4. The clinical effects of protraction and changes of the retention period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age groups. 5. During the retention period, maxilla and maxillary teeth, and mandible and mandibular teeth moved downward and forward, however the mandibular changes were larger than the maxillary changes.

  • PDF

안면비대칭 환자의 natural head position에 대한 정모두부방사선사진 연구 (Frontal Cephalogram Study on The Natural Head Position of Facial Asymmetry Patients)

  • 김현;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35-542
    • /
    • 2000
  • 본 연구는 안면비대칭 환자의 natural head position(NHP)시 정면에서의 두부 또는 경추의 경사 정도를 알아봄으로써 교정환자의 임상검사시 비대칭의 진단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두드러진 전후방 골격 이상은 없으나 뚜렷한 좌우 안면비대칭을 보이는 성인 20명을 비대칭군으로, 좌우 대칭적인 외모와 비교적 정상교합을 보이는 성인 21명 을 대칭군으로 선정 한 다음 물방울 수평계를 이용하여 NHP 상태의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하고 투사도를 작성하였다. Crista galli와 anterior nasal spine을 연결한 선과 crista galli와 menton을 연결한 선이 이루는 각을 menton의 변위 정도로 정하고, 좌우 supra-orbital margin의 최상방점을 지나는 supra-orbital line과, 제1경추와 제4경추의 중심을 연결한 cervical line이 각각 true vertical line과 이루는 각을 계측한 다음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upra-orbital line이 true vortical line과 이루는 각이 직각에서 벗어난 정도가 대칭군에 비하여 비대칭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2. Cervical line이 true vertical line과 이루는 각은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으나 비대칭군에서 더 큰 경향을 보였다. 3. 비대칭군에서 supra-orbital line이 true vortical line과 이루는 각이 직각에서 벗어난 정도는 menton의 변위 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안면비대칭 환자는 menton의 변위를 보상하려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NHP를 가지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에서 수직적 안모형태에 따른 혀와 설골의 위치 비교 (A study on the position of tongue and hyoid bone in relation to vertical facial patterns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우광수;윤정현;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79-589
    • /
    • 2000
  • 혀와 설골의 위치가 안모형태와 어떤 양태로 상관성을 갖는지 비교평가하기 위해 69명의 성인군과 63명의 성장군에서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얻었다. 성인군과 성장군에서 SN평면에 대해 큰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과 작은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으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혀의 높이는, 큰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보다는 작은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에서, 성인군보다는 성장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2. 설골의 수직적 높이는 큰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보다는 작은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에서, 성인군보다는 성장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3. 연령과 안모형태의 수직적 분류에 따른 설골의 전후방적인 위치는 차이가 없었다. 4. 두개저에 대한 설골의 기울기에 있어, 성인군보다 성장군에서 좀 더 가파른 경사도를 갖고 있었다.

  • PDF

미니스크류 식립 부위로서 정중 구개봉합부 골의 두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one thickness of midpalatal suture area for miniscrew insertion)

  • 경승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3-70
    • /
    • 2004
  • 상악에 미니스크류를 적용할 때 사용되는 정중 구개봉합부는 특별한 해부학적인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으며 두꺼운 치밀뼈로 구성되고 각화치은으로 덮여 있는 장점이 있어서 미니스크류를 식립하기에 유리하다. 그러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 상에서 보이는 정중 구개봉합부는 그 두께가 얇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미니스크류 식립시 골 천공의 위험과 안정성 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기 쉽다. 본 연구는 미니스크류 식 립을 위 한 정중 구개봉합부의 수직골의 두께를 알아보기 위해 총 25명 (남 : 13, 여 : 12)의 20대 환자 전산화 단층촬영 상을 이용하였다. 전산화 단층촬영상의 횡단면으로부터 정중구개봉합부의 수직골 두께를 계측하였고 각 부위의 유의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중 구개 봉합부 골의 두께는 남녀간의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관상단면에서 보았을 때 정중 구개 봉합부를 중심으로 좌우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고 시상단면에서 보았을 때 절치공에서 후비극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3. 수평적으로 정중 구개 봉합부 좌우 3mm 이내, 전후방적으로 절치공 후방 25mm 까지는 골의 두께가 3-4mm이상으로 미니스크류 식립을 위한 수직적골 골의 두께가 충분하였다.

III급 부정교합의 조기 치료 예후 예측를 위한 두부방사선 계측 변수의 평가 (Evaluation of various cephalometric measurements to predict the prognosis of early Class III malocclusion treatment)

  • 손명호;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5-218
    • /
    • 2004
  • III급 부정교합을 조기에 치료했을 때, 치료 후 retention 기간 중에 교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경우와, 재발되어 성장 완료시기에 악교정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를 경험하게 된다. 어린 년생부터 장기간에 걸쳐 교정치료를 했음에도 재발되어 악교정수술을 하는 경우에, 환자와 보호자는 소모된 시간과 경비에 대해 많은 실망을 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교정치료 후 보정기간 중에 있는 30증례를 조사했다. 치료 완료된 교합상태를 교합안정 정도에 따라 good, fair, relapse군으로 나누어 치료 전 골격형태를 관찰한 결과, AB-MP 항목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조기에 III급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경우에, 치료 후 안정에 관한 예후를 평가하는데 AB-MP를 활용할 수 있다. AB-MP이 65이상인 경우에 조기치료가 권장되고, 60이하인 경우에는 성장이 완료될 때까지 연기할 수 있다.

유아 두개골 방사선촬영에서 피폭선량 감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ose Reduction in Infant Skull Radiography)

  • 안병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87-392
    • /
    • 2017
  • 영 유아는 사건, 사고 및 교통사고 또는 질병으로 인해 머리에 골절 및 혈관파열, 피부에 상처를 받아 병원에 내원하여 영상의학과에서 머리 검사인 전 후(Skull AP) 및 측면(Skull LAT) 촬영을 받게 된다. 머리검사에서 성인 머리(Skull) 촬영은 격자를 이용하여 촬영에 적용하면 방사선 2차선을 제거하여 영상의 대조도를 높인다. 그러나 방사선 노출조건 중 관전압을 8~10 kVp 높게 주어야 하며 환자피폭이 증가한다. 본 연구는 영 유아 머리촬영시 격자(grid)를 이용하지 않고 동등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면 피폭선량 감소 및 Grid Cut off에 의한 아티팩트를 방지할 수 있어 연구해 보았다. 연구자는 방사선계측기 이용 방사선선량을 측정 하고 의료영상평가 방법 중에서 주관적 평가(ROC,receiver operationg characteristic)을 해 보았다. 결과에서 격자를 이용하지 않고 촬영하면 환자 피폭선량 감소와 영상 평가에서도 영 유아의 머리 촬영시 격자를 이용하지 않고 촬영을 하게 되면 머리 전 후촬영에서 0.019 mGy 와 측면촬영 0.02 mGy 피폭선량 감소가 있었고 영상평가에서도 4점을 높게 받았다. 결론으로 병원에 내원한 영 유아 머리촬영은 격자를 이용하지 않고 촬영하면 피폭 선량 감소 및 영상 아티팩트인 Grid Cut off을 방지 할 수 있고 엑스선관 수명이 연장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