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두부방사선 계측치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6초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계측학적 특징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정송우;홍성규;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17-325
    • /
    • 1999
  •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정확한 진단과 분석에 있어서 삼차원적인 골격부조화의 양상이나 안면부조화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사진 상에서 나타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계측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양호한 안모와 교합을 가지는 성인 남녀 정상교합자 60명과 전후방적 부조화가 심한 III급 부정교합을 가지는 성인 남녀 60명을 대상으로 측모와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사진의 투사도를 작성하여 안면폭경, 고경, 각각의 비율, 측모계측치에 대응되는 정모계측치의 비율을 구하였고, 각각의 계측치와 비율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골격의 전후방적 부조화는 정상군보다 상악골길이(Cd-A)가 짧은 것보다는 하악골길이(Cd-Gn)가 긴 것에 기인하였다. 2.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는 정상교합자보다 긴 안모를 가지는데, 이는 상안면고경(Cg-ANS)보다는 하안면 고경(ANS-Me), 특히 하악골 고경(Cd-Me)의 증가로 인한 것이었다. 3.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폭경은 단지 여자의 상$\cdot$하악 대구치간 폭경(U6-U6, L6-L6)과, 하악폭경(Ag-Ag)만 정상교합자보다 컸을 뿐, 이외 어떤 폭경항목도 정상과 차이가 없었다. 4.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하악골 길이의 증가는 안모의 고경 특히 하안면 고경의 증가로 나타나지만, 하악골 폭경에서는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 PDF

FACE MASK의 치료 효과에 대한 후향적 고찰 (RETROSPECTIVE STUDY OF FACE MASK THERAPY)

  • 김태우;장영일;남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47-556
    • /
    • 1996
  • 본 연구는 성장기의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face mask를 이용하여 상악골을 전방 견인하였을 때, 골격 및 치아관계와 연조직 측모의 변화를 관찰하고 face mask사용전후의 경조직과 연조직 변화의 유의성을 검정하여 상악골 열성장을 보이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 치과진료부 교정과에 내원하여 상악골 열성장에 의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고 face mask를 사용하여 양호한 치료결과를 보인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face mask사용전후 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을 촬영하고 face mask 사용전 계측치와 face mask사용후의 계측치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NA와 상악골의 실제 길이인 Co-A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하여(p<0.001), 상악골은 face mask에 의한 치료후 상당량 전방위치 되었다. 이는 face mask의 orthopedic effect에 의한 것이다. 2. 상, 하악골의 실제길이를 나타내는 Co-A, Co-Gn이 face mask 사용후 모두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p<0.01). 3. 하악골의 위치는 상당량 후하방 회전되었다. FMA(p<0.001), SN-GoGn(p<0.01), Y-axis(p<0.01) 등이 face mask 사용후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 4. 상악전치, 하악전치의 face mask사용후 치축의 경사도는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연조직에 대한 변화에서 상순의 위치가 전방으로 변화하여 정상적인 측모의 평균치에 가깝게 변한 것이 인정되었다(p<0.01).

  • PDF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상악 중절치의 치관-치근 각도(Collum Angle)에 대한 연구 (MAXILLARY INCISOR CROWN-ROOT ANGLE(COLLUM ANGLE) IN DIFFERENT MALOCCLUSIONS)

  • 홍희숙;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53-463
    • /
    • 1995
  • 측모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상악 중절치의 장축은 치근첨(Root Apex)과 절치단(Incisor Edge)를 연결한 선을 사용하지만 일부 부정교합 환자에서는 치관장축과 치근장축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두장축이 이루는 각을 치관-치근각도(Collum Angle)라 하며, 이 각도는 교정치료의 진단 및 치료과정에 고려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 I 급 부정교합 환자 31명, 제 II급 1류 부정교합 환자 30명, 제 II 급 2류 부정교합 환자 31명,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 31명에서 치관-치근 각도를 계측하여 부정교합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측모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에서 사용되는 항목들과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치관-치근 각도의 평균값은 제 I 급 부정교합에서는 $3.11^{\circ}{\pm}3.54^{\circ}$, 제 II급 1류 부정교합에서는 $1.23^{\circ}{\pm}2.41^{\circ}$, 제 II급 2류 부정교합에서는 $3.77^{\circ}{\pm}4.39^{\circ}$, 제 III급 부정교합에서는 $3.90^{\circ}{\pm}4.08^{\circ}$ 이었다. 2. 제 II급 1류 부정교합군의 치관-치근 각도와 제 II급 2류, 제 III급 부정교합군의 치관-치근 각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3. 치관-치근 각도와 측모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에서 사용되는 다른 항목들과의 상관관계에서 제 I급 부정교합에서는 IMPA, 제 II급 1류 부정교합에서는 Wits, 제 II급 2류 부정교합과 제 III급 부정교합에서는 Overbite이 가장 큰 상관성을 보였다.

  • PDF

두가지 두부 방사선 사진 중첩 방법의 비교 - Nasion-Sella line 중첩과 Anterior cranial base 중첩 (Comparision of two cephalometric superimposition methods - Nasion-sella line method and Anterior cranial base method)

  • 경승현;문윤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33-641
    • /
    • 1997
  • 성장 또는 치료로 인한 악안면골의 변화는 두부 방사선을 중첩 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중첩에 대한 평가는 중첩방법에 따라 변화되므로 좀더 정확한 중첩 방법을 선택하는 것은 치료 효과에 대한 분석이나 성장 변화에 대한 평가를 정확히하는 선결 요건이 될것이다. 3년 정도의 비교적 짧은 성장기간을 가진 11세 전후의 여자 환자 19명을 대상으로, 가장 널리쓰이는 중첩 방법인 Nasion-Sells line중첩과 Bjork가 주장하는 Anteirior cranial base (ACB)중첩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Nasion-Sells line중첩과 ACB중첩은 중첩오차(registration error)의 크기가 거의 같아서 reliability에 있어서 큰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검사자간 차이(interobserver difference)에 있어서 Nasion-Sells line중첩은 7개의 측정 항목 모두에서 두 검사자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ACB중첩은 7개의 측정 항목중 4개의 측정 항목에서 두 검사자간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3. 중첩방법의 차이 (intermethod difference)에 있어서 Nasion-Sella line중첩으로 측정한 계 측치와 ACB 중첩으로 측정한 계측치가 유의성있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 PDF

비호흡장애 아동에서 인두편도 절제가 치조안면 골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enoidectomy on Dentofacial Skeleton in Naso-reapiratory Dysfunction Children)

  • 이희경;서장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8권1호
    • /
    • pp.32-41
    • /
    • 1991
  • 비호흡 장애 아동에서 인두편도의 절제가 치조안면골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비호흡 장애 아동 24명의 인두편도 절제전과 절제 1년후의 두부방사선 계측사진과 정상교합 아동의 1년전과 후의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을 비교분석함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ranial base variables 두 group간에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2. Craniofacial variables 실험군에서 1년간 성장경향을 보면 Brachyfacial pattern으로 변했지만 대조군에서의 변화는 특정한 경향이 발견되지 않았다. 3. Maxillary variables 실험군에서 1년간 palatal plane의 경사가 평탄해졌고 그 외의 항목에서는 유의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4. Mandibular variables 두 group간에 1년간 성장량의 유의치는 mandibular plane angle과 gonial angle에서 나타났고 특히 실험군에서 감소가 일어났다. 5. Facial height variables 실험군에서 1년간 성장 변화가 하악골의 수평성장회전을 일으켰다. 전항목에서 통계적인 유의차를 나타냈다.

  • PDF

악골형태에 따른 상하악절치위치에 관한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분석 (CEPHALOMETRIC ANALYSIS OF UPPER AND LOWER INCISORS IN DIFFERENTIAL FACIOSKELETAL PATTERN)

  • 김정호;권오원;김정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735-753
    • /
    • 1992
  • 악골형태에 따른 상하악절치의 위치를 분석하기 위하여 18세 이상되는 정상교합자 60명과 II급 1류 부정교합자 40명, 그러고 III급 부정교합자 40명의 측모 두부방사선규격 사진을 설정한 계측점과 계측항목에 따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저작계와 관련된 계측항목인 CI angle은 정상교합자군에서 $89.20{\pm}4.34^{\circ}$, II급 1류 부정교합자군에서 $81.68{\pm}5.95^{\circ}$, III급 부정교합자군에 $101.96{\pm}6.31^{\circ}$이었다. 상하악절치위치 계측항목의 악골형태별 비교에서 정상교합자군에 대한 II급 1류 부정교합군은 상악절치가 모든 계측항목에서 유의한 차를 보이며 순측경사져 있고(p<0.05), 하악절치도 ${\angle}LI-APog$, LI-APog(m), ${\angle}LI-AB$, LI-AB(mm)를 제외한 모든 계측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순측경사져 있었다(p<0.05). III급 부정교합자군은 상악절치가 ${\angle}UI-SN,\;{\angel}UI-OP$을 제외한 모든 계측항목에서 유의한 차를 보이며 순측경사져 있고 하악절치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설측 경사져 있었다(p<0.05). 모든 악골형태에서 ${\angle}LI-SN,\;{\angel}LI-FH$가 악골계측항목과 비교적 상관성이 있었고, FMA가 하악절치위치계측항목과 비교적 상관성이 있었다. 악골형태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준선은 상악절치 계측항목에서는 AB선, 하악절치 계측항목에서는 APog선이었다.

  • PDF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수면다원검사와 두부규격방사선사진을 이용한 하악전방이동장치의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 (Treatment Outcome of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in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Polysomnographic and Cephalometric analyses)

  • 김성헌;김이비;정진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2호
    • /
    • pp.203-213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의 표준 수면다원검사와 두부규격방사선사진 분석을 이용하여 하악전방이동 장치의 치료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분석하는데 있다. 서울대학교치과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27명의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측두두부규격방사선사진 촬영 및 계측점을 이용하여 SNA, ANB, $AH{\bot}MP$, AH-C3, SPT, PNS-U, NAS, SOAS, MOAS, HAS 등을 분석하였으며, 하악전방이동장치를 제작하여 장치 장착 전후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였다. 장치 장착 전후 수면무호흡지수, 산소포화도, 각성지수 등을 비교하였고 무호흡-저호흡지수와 두부규격방사선사진 계측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하악전방이동장치 장착 전후 전체 수면무호흡지수, 최소 산소포화도 및 전체 각성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이 있었다. 또한 장치 장착 전후 NREM수면에서 산소분압과 무호흡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이 있었던 반면 REM수면에서는 산소분압과 무호흡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이 없었다. 장치 장착 전후 수면의 단계에서 stage I의 유의한 감소, stage II와 REM수면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stage III의 변화는 유의하지 않았다. 두부규격방사선사진 계측치중 SNA와 SOAS가 전체 수면무호흡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으며 NAS는 앙와위 수면무호흡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하악전방이동장치의 효과는 환자의 ANB 각도가 클수록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표준 수면다원검사를 이용하여 하악전방이동장치 장착 전후를 비교해 보았을 때 하악전방이동장치는 수면무호흡증 치료에 효과적인 치료법이며 두부규격방사선사진 분석은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평가하고 치료 결과를 예측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치조성 양악 전돌 환자에서 컴퓨터를 이용한 치료 결과 예측의 정확성 (Comparison of computer-based treatment prediction with true results in bimaxillary protrusion cases)

  • 이리나;임용규;이동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55-163
    • /
    • 2002
  • 치조성 양악 전돌 증례에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연조직 측모의 치료 결과 예측의 객관적 정확성을 상, 하악 제 1소구치 발거를 통해 교정치료를 받은 21명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Quick\;Ceph\;Image\;Pro^{TM}\;&\;Quick Eeph\;2000^{TM}$ 을 이용하여 조사, 평가하였다. 치료 전 측모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투사도에서 경조직 이동량을 계측하고 Quick Ceph system 상에서 경조직을 동일한 양 이동시켜 컴퓨터시뮬레이 션을 위한 기준으로 삼았다. 이후 프로그램을 통해 연조직 변화를 시뮬레이션하고, 이 자료와 실제 치료 결과로 얻어진 연조직 계측 값을 측정하여 비교해 봄으로써 치료 결과 예측에 대한 정확도를 확인하고 임상에의 적용시 고려할 사항을 알아보았다. 시뮬레이션 결과 계측 항목의 수평 성분은 실제 치료 결과보다 작게, 수직 성분은 치료 결과보다 크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료시 의 후방 견인은 실제보다 확대되어 나타나는 경 향을 보였다. 상악에서는 항목간 예측 오차의 방향이 일정하여 예측치가 실제보다 더 후방 이동되어 나타났으나, 하악에서는 증례간 차이가 컸다 Upper Lip Length는 짧게, Upper Vermilion Length는 길게 예측하여 시뮬레이션시 상순이 말려 보이는(rolling)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하순에서도 유사한 성향이 나타났으나 상순에 비해서 약하게 나타났다.

측두하악장애환자에서 교합안정장치가 하악골위치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andibular positional changes by the stabilization splint in TMD patients)

  • 천훈;박영국;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91-507
    • /
    • 2000
  • 이 연구는 측두하악장애 증상을 나타내는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교합안정장치 사용 전, 후의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 상의 하악골의 위치변화를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측두하악장애증상을 나타내는 부정교합자 60명이며 남자 19명, 여자 41명으로 각각의 평균연령은 19.5세와 21.5세 이었다. 전체 대상자를 전, 후방적으로는 Angle 분류법에 따른 교합관계에 의하여 Class I, II, III로 분류하였고, 수직적으로는 Jarabak의 후안면고경과 전안면고경의 비율에 따라서 clockwise, straight downward, counterclockwise의 3군으로 구분하여 부정교합군 별로 측정했으며 하악골의 위치변화를 중심교합시의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 계측치들로부터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분석을 시행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대상자 비교시 측두하악장애를 갖는 부정교합환자에서 교합안정장치 사용 이후 하악골은 후하방 회전을 나타내었고 overjet은 1.3mm의 증가, overbite은 1.9mm감소되어 수평변화보다 수직적인 변화의 양이 컸다. 2. 전후방 3군 분류시 하악골의 후하방 변위를 나타내는 항목의 유의성 있는 변화는 Class II군에서 가장 현저하였으며 3군중 후방변위량이 가장 컸다. 3.수직 3군 분류시 Clockwise와 counterclockwise군에서 하악골의 후하방 변위를 나타내는 항목의 유의성 있는 변화가 뚜렷하였으며, 3군 모두에서 수직적인 변화량이 수평변화량 보다 컸다. 4. 중심교합위시의 부정교합 양태 및 골격유형, 그리고 중심교합위 계측치를 통하여 중심위 계측치를 설명할 수 있는 항목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기존에 시행되어 오던 중심위 전환에 의한 방법이 아니고 측두하악장애를 갖는 부정교합자에서 교합안정 장치 를 장착하여 중심위를 획득한 상태에서 하악골의 위치 변화를 계측한 것으로 측두하악장애를 동반한 부정교합환자에서 중심교합위 상태의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에 의존한 진단은 부정교합의 실체를 파악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통상적으로 이용되어 온 중심위 전환방법 역시 중심위 유도후 발생되는 수직적인 부조화의 양상을 나타낼 수 없음을 입증하였다. 또한 전, 후방적으로는 Class II 부정교합군, 수직적으로는 Clockwise군과 Counterclockwise군에서 교합안정장치를 사용한 중심위 회복시에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과 이에 동반된 구치부의 교합간섭으로 전후방 부조화뿐 아니라 수직적부조화를 더욱 심화시키므로 이에 대한 진단 및 치료시의 고려가 요구됨을 보여주었다.

  • PDF

McNamara-분석법에 의한 두부방사선 계측 기준치 (ROENTGENOGRAPHIC CEPHALOMETRIC STANDARD FOR KOREAN ACCORDING TO THE MCNAMARA'S ANALYSIS)

  • 김정민;경희문;권오원;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7-122
    • /
    • 1989
  • McNamara씨 분석법에 의한 악안면골의 성장변화 평가 및 한국인 기준치를 얻고자 정상적인 안모 및 교합을 가졌다고 생각되는 $9\~21$세의 388명(9세, 11세, 13세는 2년 간격으로 누년적으로 얻은 것임)을 대상으로 두부방사선규격 사진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남녀별 각 계측항목의 연령에 따른 평균치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9\~13$세 사이에서 effective maxillary length, effective mandibular length, lower anterior facial height는 연평균 각각 1.90, 2.89, 0.99mm 증가하였다. 주어진 effective maxillary length에 대한 적절한 effective mandibular length, lower anterior facial height를 추정 할 수 있는 회귀방정식을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