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두개골세포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9초

건지황(乾地黃) 추출물이 Rat fetus 두개골로부터 분리한 조골세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ried Roots of Rehmannia glutinosa Extract on Osteoblast in Rat Fetus Calvarial Cells)

  • 임규정;최경희;정은혜;유동열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3-43
    • /
    • 2013
  • Objectives: Osteoporosis is characterized by bone loss and morbidity with osteoporotic fracture. In this study, the author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ried roots of Rehmannia glutinosa extract (RGE) on osteoblast proliferation in murine calvarial cells. Methods: The osteoblast separated from murine calvariae was cultivated for 6 days and evaluated the cell function. After the addition of RGE on the culture medium, we determined the effect of RGE on the cell viability, cell proliferation, protein synthesis,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collagen synthesis and calcified nodule formation of the cultivated osteoblast. Result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RGE did not change the survival rate of rat calvarial osteoblast. 2. RGE increased the proliferation of rat calvarial osteoblast. 3. RGE increased ALP activity of rat calvarial osteoblast., 4. RGE slightly affected protein synthesis of rat calvarial osteoblast. 5. RGE increased collagen synthesis of rat calvarial osteoblast. 6. RGE slightly affected calcified nodule formation of rat calvarial osteoblast. Conclusions: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RG might improve the osteoporosis resulted from augmentation of osteoblast proliferation.

위암환자에서 $^{99m}Tc-MDP$ 스캔에 의한 골전이 평가 (Evaluation of Bone Metastasis by $^{99m}Tc-MDP$ Scan in Stomach Cancer Patients)

  • 최창운;김상은;이동수;여정석;안규리;정준기;이명철;김노경;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11-218
    • /
    • 1991
  • 1983년 1월부터 1991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진단된 위 암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359예의 골스캔을 후향적으로 재검토하여 골전이 빈도와 양상을 관찰하였으며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위암의 임상상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359예의 골스캔 중에서 골전이에 부합되는 이상소견은 167예(46.5%)이었다. 2) 관찰된 167예의 이상소견 빈도는 척추(66%)에 가장 많이 관찰되었고, 늑골(58%), 골반부(43%), 대퇴골(31%), 두개골(22%)순이었다. 3) 척추전이에서 흉추(65.6%)와 요추(64.5%)의 전이빈도는 거의 비슷하였고, 경추(23.6%)는 낮았다. 4) 골전이 빈도는 임상적 병기 3기 환자에서 진단후 1년 이내에 급격히 증가되었고 그 이후는 증가되지 않았다. 5) 골전이는 임상적 병기가 증가됨에 따라 증가되었으나, 조직학적 세포형태와는 무관하였다. 6) 혈청 alkaline phosphatase 치와 골스캔 상의 골전이 유무와 통제적으로 유의 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위암환자의 상당 수에서 골전이가 진단되었으며 위 암환자, 특히 진행암 환자에서 골전이에 대한 주기적인 추적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속단의 dichloromethane 분획물이 마우스 두개골 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chloromethane fraction of Phlomodis Radix(DFPR) on differentiation of Mouse Calvarial Cell)

  • 김동진;윤정호;정의원;유윤정;김윤철;유형근;김종관;최성호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4권4호
    • /
    • pp.791-80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DFPR on differentiation of mouse calvarial cell in vitro, to examine the possibility for periodontal regeneration. $10{\mu}g/ml$ of DFPR was used as experimental concentration. osteogenic medium only was assigned as control, Experimental 1 was supplemented with 10nM dexamethasone, Experimental 2 with $10{\mu}g/ml$ DFPR and Experimental 3 with l0nM dexamethasone + $10{\mu}g/ml$ DFPR. cellular activity was evaluated by MTT method at 8, 12, 16 days, expression of mRNA of ALP, osteopontin, osteocalcin, collagen type-l was detected by RT-PCR method at 4, 8, 12, 16 days of culture. extent of mineralization was observed by Von Kossa staining at 16 day of cul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Any acceleration of differentiation was not observed at expression of differentiation marker, 2) Decrease in expression of extracelluar matrix and in bone nodule formation was observed The results suggested that DFPR have negative effect on the rate of differentiation on rat calvarial cell, decrease extracelluar matrix formation ,decrease bone nodule formation. Ongoing studies are necessary in order to determine effect of DFPR on periodontal regeneration.

정형외과 영역에서의 부신경절종의 임상 양상 - 2례 보고 - (Clinical Presentation of Paraganglioma in Orthopaedics - Report of Two Cases -)

  • 이상림;오주한;이상훈;김한수;김형호;김준혁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4-99
    • /
    • 2005
  • 부신경절종은, 신경외배엽 기원의 교감신경 신경내분비 세포로 이루어져 있는, 부신 이외의 부신경절에서 생긴 종양으로, 주로 갑상선, 목동맥체, 종격동, 폐, 십이지장, 대동맥 주변 부위와 후복막 부위에 잘 생긴다. 악성도는 조직학적인 진단에 의한 것이 아니라, 국소 림프절 재발과 원격 전이에 의하여 판별되며, 골 전이가 드물지만 전이가 일어나면 주로 두개골 기저, 척추에 생기며, 드물게 골반골, 대퇴골로 전이한다. 저자들은 대퇴부 피하층에 발생하여 혈관 기원성의 종양과 감별되었던 부신경절종과 조기 골 전이를 보인 후복막에 발생한 부신경 절종을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속발성 무월경 외 비정상 표현형이 없는 Trisomy 8 Mosaicism의 증례 보고 (A Case of Trisomy 8 Mosaicism in a Patient with Secondary Amnorreha without Abnormal Phenotype)

  • 강혜심;손영수;김성엽;박철민;심순섭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8권1호
    • /
    • pp.67-70
    • /
    • 2011
  • 체질성 8삼염색체 모자이시즘은 비교적 드문 염색체 이상으로 특이한 두개안면 모양 (변형 두개골, 돌출된 이마, 낮거나 변형된 귀), 골격계 기형, 심장 기형, 신장 기형, 잠복고환, 다양한 정도의 발달지체 등의 특징적인 표현형을 갖는다. 그 표현형과 세포유전학적 표현의 다양성 때문에 특정 질환이 생기기 전까지 진단이 늦어지기도 한다. 전형적인 표현형 없이 속발성 무월경을 동반한 28세 여성에서 발견된 체질성 8삼염색체 모자이시즘(47,XX,+8[9]/46,XX[41])을 보고한다.

방사성골괴사 극복을 위한 피브린지지체의 효용성 평가 (Evaluation the Effectiveness of Fibrinogen to Overcome Bone Radiation Damage)

  • 정홍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39-545
    • /
    • 2021
  • 방사선 치료는 방사선 부작용을 수반한다. 특히 혈관계의 장해를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방사선의 조사가 이루어진 뼈의 재생부위에는 산소와 영양분 결핍이 발생된다. 결국에는 뼈를 재생할 수 없는 방사성골괴사 (osteoradionecrosis)가 세포 환경적으로 만들어 진다. 전례연구에 따르면 방사성골괴사 상태를 극복하기 위해 골형성 단백질-2 (Bone Morphogenetic Protein-2)를 사용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쥐의 두정부에 방사선 조사 후 뼈의 재생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생체재료인 피브린 지지체에 골형성 단백질-2 를 처리하여 방사성 골괴사 부위에 이식한 후 뼈의 재생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몇 주부터 뼈 재생 효과가 발생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방사선이 조사된 쥐의 두개골 결손모델에서는 4 주초기 뼈 형성 기간 보다는 후반 뼈 형성시기인 8 주가 지나야 뼈 형성의 효과가 발생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더군다나 쥐의 두 개부 결함 모델에서 피브린 지지체의 재생 뼈 형성은 결손 조직의 내부에서부터 형성되는 결과를 얻었다.

후박 및 홍화종자 추출혼합물이 치주인대세포 및 골아세포의 활성도 및 백서의 두개골재생에 미치는 영향 (The biologic effects of magnoliae cortex extract and safflower seed (Carthamus tinctorius $Linn{\acute{e}}$) extract mixture on PDL cells and osteoblasts)

  • 신승윤;이용무;구영;배기환;정종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8권4호
    • /
    • pp.545-559
    • /
    • 1998
  • Magnoliae cortex has been used as a drug for treatment of fractures in Chinese medicine and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inn{\acute{e}}$) has been traditionally used for treatment of blood stasis.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biologic effects of magnoliae cortex extract and safflower extract mixture(MSM) on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fetal rat calvarial osteoblasts and on healing of rat calvarial defects. The ethanolic extracts of magnoliae cortex(MCE), safflower seed(SSE), Zea May L(ZML) were prepared as positive control group. MSM mixed to the ratios of 1 : 1, 1 : 2, 1 : 5 and 1 : 10 were used as test group. The effects of each agents on the growth and survival, ALPase activity, cell proliferation and tissue regenerative effect of each extracts was evaluated by histomorphometric measuring of newly formed bone on the 8 mm defect in rat calvaria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2 ratio groups(1 : 5 and 1 : 10) at 3 different doses (0.1, 0.25 and 0.5g/kg per day). MSM stimulated the growth and survival rate of osteoblasts and PDL cells more than any other agents. The growth and survival rate were increased as the proportion of safflower seed extract was increased. MCE, SSE, ZML stimulated the ALPase activity of osteoblast and PDL cell in comparison to the negative control group. But all groups of MSM regardless of ratio of safflower seed extract stimulated the ALPase activity than any other agent. The ALPase activity was also increased as the proportion of safflower seed extract was increased. Although MCE, SSE, ZML stimulated the proliferation of osteoblasts. 1 : 5 and 1 : 10 ratio MSM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stimulation of proliferation of osteoblasts. No agent significantly increased proliferation of PDL cells. Significant new bone formation were seen where 1 : 5 ratio, 0.5g/kg group and 1 : 10 ratio, 0.25, 0.5g/kg groups were used. These results show that magnoliae cortex extract and safflower seed extract mixture can potentially increase bone regeneration ability.

  • PDF

자하거(紫河車)가 칼슘재흡수, cyclooxygenase의 발현, PGE2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Hominis Placenta suppress Calcium release, cyclooxygenase expression and PGE2 synthesis)

  • 정연호;김나영;이태균;김동일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5-63
    • /
    • 2005
  • Purpose : 자하거(Hominis Placenta; HP)는 건강한 사람의 태반을 홍제(烘製)하여 건조한 것으로 한의학에서는 기혈(氣血)을 대보(大補)하고 신정(腎精)을 보익(補益)시켜 구병(久病)으로 인한 신체허약(身體虛弱)이나 혹은 체질허약(體質虛弱)과 혈기부족(氣血不足) 및 신허정휴(腎虛精虧) 등 등(證)을 치료(治療)하는데 단미(單味) 또는 복방(複方)에 배오(配伍)하여 쓰여왔다. 또한 자하거는 면역학적으로 골대사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연구에서는 자하거의 항골다공증 활성을 분자세포생물학적으로 검정하고자 하였다. Methods : Osteoblast cells에서 자하거가 COX-2 mRNA의 발현과 $PGE_2$ 생합성을 억제시키는지를 관찰하기 위해 먼저 TNF-${\alpha}$, IL-${\beta}$ 와 IL-6를 처리한 후 $PGE_2$의 생합성과 더불어 COX-2 mRNA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후 TGF-${\beta}$, 자하거(紫河車)와 이 둘의 조합인 자하거+TGF-${\beta}$가 COX-2 mRNA 발현과 $PGE_2$ 생합성을 저해시키는지 관찰하였다. 또한 자하거가 IL-1${\beta}$로 유발된 흰쥐의 과칼슘혈증을 감소시키는지를 확인하였다. Results : IL-6, IL-1${\beta}$와 TNF-${\alpha}$를 동시에 처리하면 이것을 단독으로 처리한 것과 비교해 볼 때 $PGE_2$의 생합성과 더불어 COX-2 mRNA의 수치가 상승작용을 일으키며 증가하였다. TGF-${\beta}$, 자하거와 이 둘의 조합인 자하거+TGF-${\beta}$은 COX-2 mRNA 발현, $PGE_2$ 생합성 및 골재흡수를 감소시켰다. 자하거(紫河車)는 IL-1${\beta}$, TNF-${\alpha}$와 IL-6 각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인해 증가하는 COX-2 mRNA 발현과 $PGE_2$ 생성을 감소시키는 반면 COX-1 mRNA 발현에는 유의성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자하거는 농도의존적으로 IL-1${\beta}$로 유발된 흰쥐의 과칼슘혈증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흰쥐의 두개골 골아세포에서 $PGE_2$ 생산에 대한 IL-${\beta}$, TNF-${\alpha}$, IL-6의 상승작용이 COX-2의 유전자 발현 증가에 기인함을 보여주었다. Conclusions :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자하거가 골대사과정중 골재흡수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임을 밝히게 되었으며, 자하거의 골다공증의 억제기전이 골재흡수관련 단백질들의 전사조절에 있음을 최초로 해명하게 되었다.

  • PDF

어퍼트 및 크루즌 증후군을 유발하는 골조직 특이성 FGFR2 돌연변이에 의한 두개안면 형태의 변화 (Craniofacial morphologic alteration induced by bone-targeted mutants of FGFR2 causing Apert and Crouzon syndrome)

  • 이기준;나현덕;스티븐 소아;박영철;백형선;윤태민;송진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84-294
    • /
    • 2006
  • 유전적으로 결정되는 두개안면 기형의 발생 기전을 밝히기 위해 관련된 유전자의 기능 변화에 의한 효과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섬유아세포성장인자수용체-2 (FGFR2)의 활성형 돌연변이가 어퍼트 및 크루즌 증후군에서의 봉합의 조기유합의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인류에서는 다양한 개인차가 존재하므로 임상적으로 정의된 두 증후군에서의 유전형-표현형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퍼트(Pro253Arg)및 크루즌(Cys278Phe) 돌연변이를 갖는 골특이성 FGFR2를 발현하도록 제작된 형질변환 쥐에서 결과적인 표현형의 차이를 분석하여 유전형에 의한 기형 형성의 인과관계를 추정하기 위한 것이다. 유전자 조작을 하지 않은 정상군과 정상 FGFR2 유전자를 가진 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육안 관찰 및 micro-CT를 이용한 형태계측학적 방법으로 주로 전방두개 및 전두개저 부위의 이상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어퍼트 및 크루즌 돌연변이를 갖는 각각의 형질변환 쥐는 두개 봉합의 유합과 전후방적 두부 길이 감소를 공히 보였으나 어퍼트 형질변환 쥐에서만 전치부 반대교합이 나타났다. 또한 어퍼트 개체는 크루즌 개체 및 대조군에 비해 전방두개 및 전두개저 굴곡에 있어서 정상군과 비교해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는 유합을 보이는 봉합의 부위 및 순서에 있어서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정상 FGFR2 유전자를 주입한 형질변환 쥐는 정상적인 두개안면 형태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어퍼트 및 크루즌 돌연변이는 각각의 유전형에 특이한 두개안면 기형을 유발할 것으로 보이며 정상 FGFR2의 발현 강도보다는 기능의 이상이 두개골 유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변형된 FGFR2와 각 봉합에서의 기능과의 상관성은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EX> 와이어에서 열처리만 시행한 실험군이 열처리를 시행하지 않은 군보다 더 낮은 austenite finish ($A_f$) 온도를 보였다. $0.018"\;{\times}\;0.025"$$0.0215"0.028"$ 와이어에서 열처리를 시행하여 굴곡을 부여한 실험군은 열처리만 시행한 실험군과 열처리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부하-변위 곡선이 상방 이동되었으며, 열처리 시간을 1초 증가시켜 굴곡을 부여한 실험군에서 가장 높은 부하-변위 곡선을 나타냈다. $0.018"\;{\times}\;0.025"$ 그리고 $0.0215"\;{\times}\;0.028"$ 와이어에서 $A_f$ 온도는 열처리 시간을 1초 증가시켜 굴곡을 부여한 실험군에서 가장 낮게 관찰되었고 열처리를 시행하여 굴곡을 부여한 실험군, 열처리만 시행한 실험군 그리고 열처리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 순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임상에서 니켈-티타늄 합금 와이어에 굴곡을 부여하기 위해 열처리하는 경우 초탄성 특성은 유지될 수 있으나, 부하-변위 곡선의 상방 증가가 나타나므로, 와이어에 의한 교정력이 증가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day^{-1}$인 인공습지), scenario 2(면적 4.2ha인 저류지)가 각각 연평균 6.9%, 4.8%, 7.1%의 감소를 보였다. TN은 4.7%, 3.4%, 13.4%의 삭감율을 나타내었으며, TP는 5.6%, 3.9%, 7.3%의 삭감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적용하지 못하였으나, 인공습지와 저류지의 적절한 연계시스템을 적용한다면 저감시설 설치 부지면적과 비용의 감소뿐만 아니라 보다 효과적인 수질개선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Porphyromonas gingivalis 추출물이 마우스 두개골 일차 조골세포의 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orphyromonas gingivalis extracts on the function of mouse calvarial primary osteoblastic cells)

  • 윤정호;최성호;조규성;채중규;김종관;김창성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3권4호
    • /
    • pp.585-597
    • /
    • 2003
  • Porphyromonas gingivalis has been implicated as an important periodontophathic bacterium in the etiology and progression of periodontal diseases. It has been reported that P.gingivalis may mediate periodontal destruction not only directly through its virulence factors, but also indirectly by including complex host mediated inflammatory repon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 o evaluate the effects of P.gingivalis on the bone formation and resorption by osteoblasts. For this purpose, after determining the concentration below which sonicated P.gingivalis extracts (SPEs) have no cytotoxicity on mouse calvarial primary osteoblastic (POB) cell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PEs on the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expression (MMP-2, -9, 13), and prostaglandin $E_2$ ($PGE_2$) release in POB cells by treatment with SPEs below that concentr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PEs showed no cytotoxic effect on POB cells up to a concentration of 1 ${\mu}m$/ml. 2. The treatment with SPEs reduced ALP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POB cells, In addition, when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PEs (1 ${\mu}m$/ml) on ALP activity for different exposure period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hibition of ALP activity was shown at 2 days of exposure, and further significant inhibition occurred by extending the periods of exposure. 3. The treatment with SPEs stimulated the gene expression of MMP-9 in POB cells. 4. The pre-treatment with SPEs increased the amount of $PGE_2$ released in POB cells. In summary,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P.gingivalis could inhibit osteogenesis and stimulate bone resorption not only by reducing ALP activity but also by increasing MMP-9 mRNA expression in osteoblasts, possibly through an endogenous $PGE_2$ pathway. In addition, our results suggest that if P.gingivalis affects osteoblasts in early differentiation stage, such effects by P. gingivalis could be irrever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