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양정밀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The status, classification and data characteristics of Seonsaengan(先生案, The predecessor's lists) in Jangseogak(藏書閣, Joseon dynasty royal library) (장서각 소장 선생안(先生案)의 현황과 사료적 가치)

  • Yi, Nam-ok
    • (The)Study of the Eastern Classic
    • /
    • no.69
    • /
    • pp.9-44
    • /
    • 2017
  • Seonsaengan(先生案) is the predecessor's lists. The list includes the names of the predecessor, the date of the appointment, the date of return, the previous job, and the next job. Therefore, previous studies on the local recruitment and Jungin (中人) that can not be found in general personnel information of the Joseon dynasty were conducted. However, the status and classification of the list has not been achieved yet. So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status, classification and data characteristics of the list. 176 books, are the Joseon dynasty lists of predecessors, remain to this day. These lists are in Jangseogak(47 cases), Kyujanggak(80 cases),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24 cases) and other collections(25 cases). Jangseogak has lists of royal government officials, Kyujanggak has lists of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other collections have lists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However, this paper focuses on accessible Jangseogak list of 47 cases. As I mentioned earlier, the Jangsaegak lists are generally related to the royal government officails. This classification includes 18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5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24 royal government officails. If the list is classified as contents, it can be classified into six rituals and diplomatic officials, 12 royal government officials, 5 local government officials, 14 royal tombs officials, and 10 royal education officials. Through the information on the list, the following six characteristics can be summarized. First, it can be finded the basic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e recorded person. Second, the period of office and reasons for leaving the office and office can be known. Third, changes in the office system can be confirmed. Fourth, it can be looked at one aspect of the personnel administration system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previous workplace and the next job. Fifth, it is possible to know days that are particularly important for each government. Sixth, the contents of work evaluation can be confirmed. This is the reality of the Joseon Dynast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ontents recorded in the Cod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look at the personnel administration system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in order to carry out a precise review, it is necessary to make a database for 176 lists. In addition, if data is analyzed in connection with existing genealogy data,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personnel administration system of the Joseon Dynasty.

Researches of pear tree (Pyrus spp.) genomics (배나무(Pyrus spp.) 유전체 연구 현황)

  • Oh, Youngjae;Shin, Hyunsuk;Kim, Keumsun;Han, Hyeondae;Kim, Yoon-Kyeong;Kim, Daeil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v.42 no.4
    • /
    • pp.290-297
    • /
    • 2015
  • Based on the place of its origin, pear tree (Pyrus spp.) is largely divided into European pears (P. communis, cultivated mainly in Europe and the U.S.) and Asian pears (P. pyrifolia, P. bretschneideri, and P. ussuriensis, distributed and grown in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China, Japan, and Korea). Most pear trees have 17 chromosomes (diploidy, 2n=2x=34). Their genetic studies and precise cultivar breeding are highly restricted by conditions such as self-incompatibility controlled by S-locus and juvenility as one major character of fruit crops. Genetic studies on Pyrus have been promoted by the development of various molecular markers. These markers are being utilized actively in various genetic studies, including genetic relationship analysis, genetic mapping, and QTL analysis. In addition, research on pear genetic linkage maps has been extended to studies for the identification of QTL for target traits such as disease resistance and genetic loci of useful traits. NGS technology has radically reduced sequencing expenses based on massive parallel reactions to enable high-capacity and high-efficiency. NGS based genome analyses have been completed for Chinese pear 'Danshansuli' and European pear 'Bartlett'. In Korea, GWAS for agricultural valuable traits such as floral structure, ripening, and total soluble contents have been conducted through resequencing. GBS has been performed for 'Whangkeumbae', 'Cheongsilri', and 'Minibae'.

The Value of Calcium-scoring CT for Ischemic Cardiovascular Disease Screening (허혈성 심혈관 질환 선별을 위한 Calcium-scoring CT의 유용성)

  • Oh, Jung-Hoan;An, Sung-Min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32 no.1
    • /
    • pp.69-78
    • /
    • 2009
  • The cardiovascular disease has been known as a common cause of death for a long time in the west. The eating habits of Asia, including Korea, have changed recently, so that this disease is also a problem in Asia now.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from 1996 to 2006 reported that the cardiovascular disease would become the number one cause of death in the next $5{\sim}10$ years. Therefore we realize that more accurate examination is requir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curacy of Calcium-scoring C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factor and quantitative scores of Calcium-scoring CT.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that the national public health will be improved. Seventy patients with chest pain were chosen at random. The patients were undergone both coronary CT antigraphy and Calcium - scoring CT at G hospital in Incheon from February 1 to June 30, 2008. The result of the Calcium-scoring CT showed its usefulness for Ischemic cardiovascular disease, with an accuracy similar to that of exercise/pharmacologic stress or ECG when it is difficult for a patient to exercise due to joint problems, aging or for other reasons.

  • PDF

Research on the history of astronomy and the role of astronomer

  • Lee, Yong Bo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2 no.2
    • /
    • pp.37.3-38
    • /
    • 2017
  • 우리나라의 천문 관측의 기록의 역사는 삼국시대 이전 선사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선사시대에는 천문 현상을 바위나 건축 유물에 기록을 남기고 역사를 기록하기 시작한 이후에는 일반 역사 기록 속에 항상 함께 기록하고 있다. 특히 동양은 역사기록 자체가 인간이 남긴 자취뿐만 아니라 하늘과 땅에 일어나는 다양한 자연 현상도 함께 동시에 남겼다. 고대로부터 인간은 하늘과 땅과 항상 유기적인 관계를 갖는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정사로서 가장 오래된 역사 기록인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일식, 혜성 출현, 별똥과 유성우, 달과 행성 운행, 초신성 관측 등 250회 이상의 천문 기록이 나타나며 대부분 실제로 일어났던 사실을 그대로 기록하고 있다. 그 후 고려사와 조선왕조실록에는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천문 기록을 남기고 있다. 이러한 천문 기록뿐만 아니라 일찍부터 중국으로부터 역법을 도입하여 천체 운행을 이용하여 우리 생활에 필요한 시각법을 사용하고 달력을 제작하였다. 특히 달과 태양의 운행 원리를 파악하여 일식과 월식을 직접 추산하였다. 역법의 운용은 천체 운행의 원리를 이해하고 수학을 발전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천문 관측과 정확한 시각 체계를 유지하고 정밀한 역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천체를 정밀하게 관측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천문 관측기기를 개발하고 제작하였다. 천문 의기는 천체의 위치를 측정하고 천체의 운행을 이용하여 시각 체계를 유지 관리를 위해 필수불가결한 기기이다. 우리나라 천문학 발달의 네 가지 축인 천문(天文), 역법(曆法), 의상(儀象), 구루(晷漏)등은 조선 초기 세종시대 완성을 보게 되었다. 이는 단일 왕조가 이룬 업적으로 다른 문화권에서 볼 수 없을 정도의 우수한 과학 기술의 유산이다. 특히 칠정산내편과 외편의 완성은 중국의 역법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역법을 완성하려는 시도였다. 이 모든 것은 당시 이를 주도하던 세종대왕의 지도력과 천문학과 수학에 뛰어난 천문학자가 이룩한 업적이다. 그 후 조선 중기로 접어들면서 쇠퇴하다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거의 모든 과학기술의 유산이 파괴되거나 유실되었다. 조선 현종 이후에 세종시대의 유산을 복원하려는 노력 중에 중국을 통하여 서양의 천문학을 도입하게 되었다. 중국에 들어와 있던 서양 선교사들이 주도하여 중국의 역법 체계를 바꾸었다. 즉, 일식과 월식의 예측력이 뛰어난 시헌력을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했다. 시헌력에는 서양의 대수학과 기하학을 이용한 다양한 수학적 기법이 사용되었다. 조선 후기에 이 시헌력을 익히기 위한 노력을 하는 과정에서 서양의 수학과 기하학을 접하게 되고 새로운 우주 체계를 도입하게 되었다. 특히 서양의 천문도와 지도 제작에 기하학의 투사법이 사용되어 복잡한 대수학적 계산을 단순화시켜 활용하였다. 조선 후기에 전문 수학자뿐만 아니라 많은 유학자들도 서양의 수학과 기하학에 깊은 관심을 갖고 연구하였다. 고천문학 전체를 조망해 볼 때 핵심은 현대의 천체물리학이 아니라 위치천문학이다. 따라서 고천문학을 연구하는데 필수적인 요소가 지구의 자전과 공전 운동에 의해서 일어나는 현상과 세차운동에 의한 효과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그중에서도 구면천문학과 천체역학에 대한 원리를 알고 있는 상태에서 접근해야 한다. 고천문학의 중심인 천문(天文), 역법(曆法), 의상(儀象), 구루(晷漏) 등의 내용은 이러한 위치천문학이 그 기본 골격을 이루고 있다. 예를 들어 고려사의 천문 현상을 모아 놓은 천문지(天文志)와 일식과 월식 계산 원리가 들어있는 역지(曆志)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위치천문학의 기본 개념 없이는 연구하는데 한계가 있다. 인문학을 전공하는 학자가 고천문을 연구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이 되는 점이 위치 천문학의 기본 개념 없이 접근하는 것이다. 심지어 조선시대 유학자들조차 저술한 많은 천문 관련 기록을 보면 상당부분 천체 운행 원리를 모르고 혼란스럽게 기록된 내용이 적지 않다. 우리나라 수학사를 연구할 경우 방정식 해법, 보간법, 삼각법, 일반 기하 원리에 대한 것을 연구하는데 큰 문제가 없다. 그러나 천문 현상이나 천문 의기 제작에 사용되는 수학은 천문 현상에 대한 원리를 모르면 접근하기 어렵게 된다. 수학사를 하더라고 기본적인 위치 천문학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있어야 폭 넓은 수학사 연구에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의외로 천문 현상 추산을 위해 사용되는 수학이나 기하학 원리가 수학사 연구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더구나 한문으로 기록된 천문 내용을 한문 해독이 능숙한 학자라 하더라도 내용을 모르고 번역하면 도무지 무슨 내용인지 알아볼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한문으로 된 천문 현상 기록이나 역법 관련 기록의 번역 내용 중에 많은 오역을 발견하게 된다. 문제는 한번 오역을 해 놓으면 몇 십 년이고 그대로 그 내용을 무비판적으로 인용하게 되고 사실로서 인정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우리 선조들이 남긴 고천문 관련 기록에 관한 이해는 우리 현대 천문학자의 역할이 대단히 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