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물실험모델

Search Result 45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MAKING IN VIVO MODEL TO STUDY ABOUT HUMAN ORAL CANCER (I) (구강암 연구를 위한 동물실험모델의 개발(I))

  • Park, Hyung-Kook;Kim, Yong-Kack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v.19 no.3
    • /
    • pp.300-310
    • /
    • 1997
  • In order to make in vivo model of human oral squamous cell cancer, we brought up BALB/C nude mice in specially designed housystem, and maintained some kind of human oral squamous cancer cell lines ; KB, SCC-4, SCC-9, SCC-15, SCC-25. Various concentration of cancer cells were inoculated subcutaneouly into flank area of nude mice. We observed each nude mouse more than 5 weeks after tumor inoculation. We appraised the results, measured the tumor size, and calculated the growing tumor volumes after tumor inoculation according to cancer cell line and concentration of cancer cells in media. Some cancer cell lines were rapidly growing in nude mice, but some cancer cell line couldn't grow in nude mice and resorbed completely. And in some cancer cell line, some nude mice showed continuously growing tumor, but other didn't show any tumor growing. And as a new try, we implanted specially disigned caps on the back of nude mice, and cancer cell lines were brought into the caps with media. We removed the cap after 1 week, and observed over 4 weeks. The shape and size of growing tumor were observed.

  • PDF

A review of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enrichment on stroke in animal experimental models (뇌졸중 동물 실험 모델에서 환경 강화 효과에 대한 종설)

  • Lee, Kyoung-Hee;Hwang, Ki-Chu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8
    • /
    • pp.423-43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the environmental enrichment(EE) method used to improve the functional recovery and change of brain plastic in animal experimental models of stroke. In animal experimental models of stroke, the environmental enrichment is effective in altering the morphological, biochemic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brain and thereby improving the functional outcomes. In this review article, we address the effects of EE in achieving a functional recovery in animal experimental models of stroke, thus attempting to describe them in patients with stroke from both occupational and rehabilitation perspectives.

What is the Potential of Animal Models to Inform Occupational Therapy Theories and Interven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science? (신경과학적 관점으로 본 작업치료에서 동물 모델의 필요성)

  • Park, Ji-Hyuk;Ahmad, S. Omar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1 no.1
    • /
    • pp.39-56
    • /
    • 2012
  • Introduction : Animal studies cannot be applied directly to Occupational Therapy(OT) intervention protocol. However, animal models still provide essential evidences and knowledge to improve OT practice and to develop OT theories as well as human studies do. The purpose of this scholarly paper i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animal models to inform OT theory and practice particularly as it relates to neuroscience. Body : The animal models provide related knowledge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of diseases and related neural networks. Based on this knowledge, researchers can test their hypothesis of neural disease. In addition, accumulated animal studies contribute to introduce the new approaches to human diseases an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Conclusions : Animal models of neurological disease are critical and have the potential to improve OT practice and theory in many ways. Therefore, OT researchers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animal models in addition human studies.

천연소재 활성 검토를 위한 간장해 동물모델에서의 장내세균 분석 요구

  • 김동구;송영재;소주련;강사행;박정향;고세웅;김동근;김태현;명제훈;진종식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120-120
    • /
    • 2022
  • 장내세균의 구성과 각종 질환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대장관련 질환 뿐 아니라, 당뇨, 비만 등 대사성 질환, 심지어 정신질환에까지 장내세균 구성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다양한 천연 소재를 활용하여 각종 동물질환모델에서 생리활성을 검토할 때, 장내세균의 구성을 분석하여 그 상관관계를 밝힐 필요가 있다. 장내세균의 구성에 따라 질환의 양상이 달라질 수 있으며, 치료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동물실험을 수행할 때에도 실험동물 간 장내세균의 구성이 다르면 질환의 유도 또는 천연소재에 의한 치료 패턴이 달라질 수 있음을 가정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EtOH와 LPS를 이용하여 간장해 동물모델을 구축하고, 장내세균 구성을 T-RFLP법으로 분석하여 그 상관관계를 검토하였고, tracheloside 등의 천연물을 투여함으로써 성분의 대사 패턴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천연소재의 간장해 개선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 결과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Experimental Models of Schizophrenia (정신분열병의 실험적 모델)

  • Cheon, Jin-Sook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 /
    • v.6 no.2
    • /
    • pp.153-160
    • /
    • 1999
  • Animal models can provide a useful tool for the study of some aspects of psychiatric disorders and their treatment. The four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animal models of psychiatric disorders are as following : 1) similarity of inducing conditions 2) similarity of behavioral state 3) common underlying neurobiological mechanisms 4) reversal by clinically effective treatment techniques. Several animal models have been proposed for schizophrenia : phenylethylamine model, L-dopa model, hallucinogen model, cocaine model, amphetamine model, phencyclidine model, noradrenergic reward system lesion model, reticular stimulation model, social isolation model, conditioned avoidance reaction, catalepsy test, paw test, self-stimulation paradigms, latent inhibition paradigms, blocking paradigms, prepulse inhibition of the startle reflex, rodent interaction, social behavior in monkeys, hippocampal damage, high ambient pressure, and models using selective breeding. Among them, animals with bilateral lesion of the hippocampus may provide an adequate animal model for several symptoms of schizophrenia, and ketamine model can reproduce negative symptoms and cognitive deficits as well as positive symptoms of schizophrenia. In conclusion, no model of schizophrenia is entirely representative of the disease, and findings gleaned from model systems must be cautiously interpreted. Furthermore,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validating animal models must work in concert with the process to identify reliable measures of human phenomenology.

  • PDF

천연식의약소재의 활성 검토를 위한 피부염 동물모델에서의 장내세균 분석 연구

  • 김동구;송영재;소주련;강사행;박정향;고세웅;김동근;김태현;명제훈;진종식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3.04a
    • /
    • pp.71-71
    • /
    • 2023
  • 사람 장내세균은 그 개체가 100조 이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종류도 수 천 종에 이르러 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많은 연구를 통해 장내세균의 구성과 각종 질환과의 연관성이 밝혀지고 있으며, 장내세균 구성을 변화시켜 질환을 치료하려는 시도도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식의약소재의 활성 검토를 위해 피부염 동물모델을 구축하고, 장내세균과의 상관관계를 정립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동물의 등 부위를 제모하고 DNFB로 피부염을 유발시켰으며, 유도 전에 대변을 채취하였다. 피부염의 유발을 확인하기 위해 비장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Arctigenin과 dexamethasone을 실험군으로 설정하여 동물에 투여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과 동시에 대변을 채취하여 장내세균의 구성을 T-RFLP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실험동물의 장내세균을 납품회사 별로 분석하여 향후 연구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장내세균의 구성이 피부염의 유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지 않았다. 하지만, 투여 성분의 채내 동태 등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여 약물대사를 포함한 장내세균과의 상호작용 연구를 통해 질환과 약물, 그리고 장내세균과의 관계를 정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 PDF

슈밤머담의 개구라 해부학과 뢰벤훅의 정충관찰의 문제

  • Bae, Seon-Bok
    • 한국과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5.12a
    • /
    • pp.313-326
    • /
    • 2015
  • 데카르트는 사후에 출간된 1662년 "인간론"에서 자동기기의 유압체계모델을 이용하여 인간신체의 신경기능과 근육운동에 대하여 기계론적 설명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바로크 과학기술의 자동기기의 유압체계를 모델로 근육운동이 동물영혼에 의한 신경 전달로 진행된 것을 보여준 실험이었다. 근육운동은 동물영혼에 의한 신경 전달로 진행될 때 이를 기계론적으로 잘 설명될 수 있다고 본 데카르트의 동물영혼에 관한 견해는 출간 이후 3년 만에 네덜란드 자연학자, 해부학자, 현미경학자, 철학자 슈밤머담(Jan Swammerdam 1637-80)이 도전하였다. 그는 1664년 12월 8일 보르흐 앞에서 마취 없이 살아있는 개구리의 심장을 해부하고 두뇌 제거하는 전극실험으로 개구리의 근육운동이 데카르트가 가정하는 동물영혼과는 무관하다는 것을 보여주므로 반박하였다. 슈밤머담은 이 실험 이전에도 이미 라이덴 대학에서 여러 가지 실험으로 명성을 쌓았고 이 실험으로 해부학과 생리학의 출발을 알렸다. 뢰벤훅은 1673년 270배 확대 렌즈를 측정 대에 설치하여 눈에 가까이 갖다 대 고착시킨 첫째 동물이라는 뜻의 박테리아(${\pi}{\rho}\acute{\omega}{\tau}o$ ${\zeta}\acute{\omega}o{\nu}$)를 관찰하였다. 대학에서 전공하지 않았다는 비전문가로서 뢰벤훅이 이 연구에 뛰어들게 되는 것은 바로크 과학기술문명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라프는 그해 4월 왕립학회에 그가 빗물이나 연못물에서 채취하여 관찰한 미생물을 1677년에 아니말쿨레스(animalcules)라 불렀다는 것을 알렸고 이 관찰은 나중에 왕립학회 검증으로 확증되었다. 뢰벤훅이 명성을 얻게 된 것은 그라프가 그를 학문적으로 이끌어주었기 때문이다. 뢰벤훅에서 광학수업을 받은 하르췌커는 1694년 현미경으로 인간정액을 관찰하는 동안에 하르췌커는 정액 내에 수많은 아니말쿨레스로서 호문쿨리(homunculi)가 살고 있는 것을 보고 그 존재를 요청하였다. 하르췌커는 정규 학문과정에서 성장한 전문가로 뢰벤훅에서 렌즈닦는 기술을 습득하므로 정액주의 운동의 첨단에서 주목을 받게 되었지만 대중적 인기에 영합하였다. 이 발표는 17세기 후반 슈밤머담과 뢰벤훅이 실험철학에 기초한 곤충과 동물 및 미생물 세계의 연구 성과를 과학과 윤리 혹은 신학과의 상보적 관점에서 개관하고, 이들 연구방법을 이신론과 수사학의 입장에서 해명하고자 한다. 17세기 후반에 곤충학의 대가인 슈밤머담과 하르췌커에서 동물생성의 문제에 이신론의 물음은 물질과 정신과의 관계를 해명하려는 과학과 신학과 철학의 경계의 물음이다. 이 경계에서 이신론의 수사학적 접근은 개별분과에서 해결하지 못한 중요한 아포리아를 풀어가는 인문학적 역할에 기여를 할 수 있다.

  • PDF

유용생물자원으로서 실험동물의 DB 구축 및 활용

  • Hyeon, Byeong-Hwa
    • Journal of Scientific & Technological Knowledge Infrastructure
    • /
    • s.10
    • /
    • pp.60-63
    • /
    • 2002
  • 20세기초 시작된 실험동물분야는 다른 분야에 비해 뒤늦게 시작된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생명해석과 의학의 발전과 더불어 급격히 발전한 분야라 할 수 있다. 특히, 1950년대 오염되지 않은 다양한 청정동물의 개발, 1970-80년대의 다양한 질환모델동물의 개발에 이어, 분자생물학의 발전과 더불어 1990년대를 거쳐 21세기의 다양한 유전자도입동물가 개발되고 있다. 이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생물자원만이 아닌, 유전자조작으로 다양하게 개발되는 새로운 생물자원을 포함하므로, 그 다양성의 가치와 정보의 집대성은 대단히 중요한 일이며, 유전자연구의 한축이 되고있는 bioinformatic 분야에서도 많은 부분 할애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 PDF

Application of the Total Artificial Heart as an Implantable Biventricular Assist Device by Left Thoracotomy in an Ovine Model (양에서 좌측 개흉술 하에 완전인공심장의 체내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로 사용에 관한 연구)

  • 원태희;민병구;김원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4 no.4
    • /
    • pp.296-304
    • /
    • 2001
  • 배경: 이번 연구의 목적은 체내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의 개발을 위한 안전하고 간편한 동물실험 모델을 확립하는 것이며 이동작동형 완전 인공심장의 양심실 보조장치로의 사용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7마리의 Corridale 양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5번째 늑간극을 통하여 좌측 개흉술을 시행하고 좌측 유출로 캐뉼라는 하행 대동맥에 Dacron graft을 사용하여 연결하였고 유입로 캐뉼라는 좌심방에 삽입하였다. 우측 유출로 캐뉼라는 하행 대동맥과 같은 방법으로 주폐동맥에 연결하였으며 유입로 캐뉼라는 혜동맥을 하방으로 젖혀 우심방이를 노출시킨 다음 우심방이에 삽입하였다. 4마리에 있어서는 양심실 보조장치를 전복막강(preperitoneal space)에 위치시켰으며 2마리에 촤측흉강 내에, 1마리에서는 외부에 위치시켰다. aPTT는 수술전 aPTT의 2∼2.5배로 맞추어 주었다 결과: 수술중 또는 수술직후 사망한 경우는 없었으며 7마리 모두 인공호흡기 이탈이 가능하였고 스스로 기립하고 음식물 섭취도 가능하였다. 1마리는 술후 2일째 혈전 색전증 및 인공호흡기 작동 잘못으로 사망하였으며 2마리의 겨우는 술후 2일째 각각 양심실 보조장치의 작동 잘못 및 호흡부전으로 사망하였고, 3마리의 경우는 술후 4일째 혈전색전증으로 인한 급성신부전 및 호흡부전 등으로 사망하였다. 1마리에 있어서는 28일간 생존하였으며 양심실 보조장치의 구동 장치에 연결된 라인의 마로로 인해 양심실 보조장치의 작동이 정지되었으나 바로 양심실 보조장치를 제거하고 살릴 수 있었다. 모든 경우에 있는 캐뉼라를 삽입하고 양심실 보조장치를 작동시키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7마리 중 4마리에서 혈전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판막을 연결한 부위에 혈전생성이 많았다. 그러나 캐뉼라에는 혈전생성이 없었다. 결론: 양에 있어서 좌측 개흉술 및 전복막강 공간에 양심실 보조장치를 위치시키는 이번 동물실험 모델은 체내 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 개발을 위한 좋은 동물실험 모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디동 작동기형 완전 인공심장의 혈전생성을 억제할수 있는 방법들의 연구개발이 지속된다면 장기간의 체내 이식형 양심실 보조장치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