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물모형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34초

보호지역의 식물종 보전 상보성 평가 (Complimentary Assessment for Conserving Vegetation on Protected Areas in South Korea)

  • 박진한;최혜영;모용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36-445
    • /
    • 2020
  • 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11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보호지역은 양적으로 꾸준히 증가되어왔으며, 추가 지정이 필요한 잠재 보호지역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효과적인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보호지역의 상보성에 대한 평가는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식물종을 대상으로 종분포모형을 이용하여 잠재서식지역을 도출하고, 기존 보호지역과 잠재보호지역 내 잠재서식지역이 포함되는 종의 풍부도를 유사도 지수인 Jaccard, Sorenson, Bray-curtis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기존 보호지역과 잠재보호지역 대부분이 상보성이 낮아 유사한 식물종을 보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수목원 완충지역이 상보성이 높아 보호지역으로서의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잠재서식지역이 포함되는 경우가 적은 식물종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기존 또는 잠재 보호지역 외 지역에 추가로 보호지역을 선정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개별 보호지역이 보호지역으로서 고유한 생태계 또는 생물종 보전이 가능한지 각 보호지역의 생태적 대표성을 확인하고, 공간적으로 추가 보호가 필요한 지역을 탐색하는 방법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동물종까지 포함한 상보성 평가를 통한 보호지역의 질적 개선과 계속적으로 조사되는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한 보호지역의 효과성평가 연구 등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달(Lutra lutra)의 서식지 출현빈도와 하천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requency of Appearance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River Habitat for Otter (Lutra lutra))

  • 박의정;김대영;진영훈;김철;이두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63-1069
    • /
    • 2007
  • 우리나라의 하천환경은 1990년대 이전의 산업화와 인구증가를 수반한 고도성장기를 거치면서 이수성 및 치수성만을 강조하며 개수되고 관리되었다. 그 결과 하천은 획일적인 단면과 저수로 및 제방이 콘크리트화되면서 하천의 자정능력은 감소되었고, 하천을 중심으로 생활하는 동물들의 서식처 기능을 상실해 하천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하천공사에 자연형 하천공법이 도입되기 시작하여 자연형 하천공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생태환경의 관점보다는 조경 및 경관적, 그리고 위락적인 관점에서 공원화에 주안점을 두고 있어 하천의 생태적 특성의 반영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듣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의 하천공법이 자연적 기능들 중 생물서식처 기능을 보다 깊이 다루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고려하여, 먹이사슬의 최상위에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천환경의 건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수환경의 지표종이라 불리는 수달(Lutra lutra)을 대상으로 배설물에 의한 출현빈도와 하천환경 요인들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수달 서식지 복원을 위한 하천정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수달이 서식하고 있는 섬진강 지류인 서시천을 연구 대상지점으로 하여 5개 구간을 선정하였으며, 각 구간에 대한 계절별 수달의 배설물 분포를 조사하여 출현빈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먹이, 지형, 식생, 기상인자를 포함한 하천환경 요인들에 대한 자료를 각 계절별로 구축하였으며, 이를 수달의 출현빈도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는데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경 기술적으로는 멸종위기종의 복원, 사회경제적으로는 하천정비사업의 방향제시 등의 기대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분석된 인자들은 수달 서식지를 위한 하천정비의 기초자료에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따른 유량측정망을 구축하는 것이다.의 의사결정 지원 도구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한 일련의 과정, 즉 자료의 조사 및 취득에서부터 물순환 해석 모형을 이용한 정량적 현황파악, 물순환 개선 기법 및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주요 착안점 및 실무에서의 기술적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보다 세밀한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하여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적용이 활발한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WEP, SHER, SWMM)의 적용사례를 통하여 국내 도시하천의 물순환 해석에 활용함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적용절차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다.호강유역의 급격한 수질개선을 알 수 있다.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

  • PDF

까나리 액젓 부산물과 건조 비지를 첨가한 압출성형물의 제조 (Production of Extrudates Formulated from Pacific Sand Lance Sauce By-Product and Dried Biji)

  • 한규홍;김병용;이재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6-193
    • /
    • 2002
  • 까나리 액젓 부산물을 이용하고자 단백질 효율이 뛰어난 건조 비지를 혼합하여 압출성형을 하였고, 통계적 모델링과 분석을 통하여 혼합비에 따른 압출성형물의 최적화를 이루었다. 수학적인 모델과 trace plot을 이용하였을 때 건조 비지는 압출성형물의 단백질을 증가시키고, 까나리 액젓 부산물과 상호작용을 일으켜 절단파손강도를 강하게 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압출성형물내에 건조 비지가 증가함에 따라 회분과 염도는 감소하였고, 각각의 성분이 독립적으로 작용한 지방과 색도는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건조 비지를 첨가한 최적의 압출성형물을 결정하기 위해 각 반응의 canonical 계수를 이용하여 수적 최적화를 한 결과 까나리 액젓 부산물 15.83%, 건조 비지 44.17%, 밀가루 40%로 나타났고, 혼합물 성분 모형을 중첩시킨 모형적 최적화에서는 까나리액젓 부산물 15.74%, 건조 비지 44.26%, 밀가루 40%로 나타났다. 최적화된 압출성형물이 제조하여 동물실험을 하였을때 건조 비지를 첨가한 압출성형물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낮은 식이효율을 보였으나 단백질 함량의 증가가 식이효율에 주요하게 작용하여 대조군과의 차이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평가모형($TrophicTrace^{(R)}$)을 이용한 가상 해양오염퇴적물의 쥐노래미와 인체 영향 예비평가 (Potential Human Health and Fish Risks Associated with Hypothetical Contaminated Sediments Using a Risk Assessment Model ($TrophicTrace^{(R)}$))

  • 양동범;홍기훈;김경련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0-70
    • /
    • 2011
  • 본고에서는 현재 시행중인 해양오염퇴적물질 관리용 유해화학물질 정화지수($CI_{HC}$)를 대상으로, $CI_{HC}$은 동일하나 유해 물질별 함량이 다른 해저퇴적물들이 같은 생물위험을 보이는가를 판단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5개의 가상 오염퇴적물을 설정하고, 퇴적물 위험평가를 위한 트로픽트레이스 모형($TrophicTrace^{(R)}$ model)을 이용하여, 이 가상 퇴적물이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에 대해 미치는 생물위험을 최대무작용량에 기반한 독성지수(NOAEL TQ)와 최소작용량에 기반한 독성지수(LOAEL TQ)로 평가하였다. 쥐노래미에 대한 NOAEL TQ의 합계는 5개 가상 오염퇴적물에서 0.69~1.54의 범위였고, LOAEL TQ의 합계는 0.111~0.261로 약 2배 이상의 차이가 났다. 이는 퇴적물 유해물질 환경기준이 해양저서무척추동물군집에 대한 영향만을 고려하고 사람으로 연결되는 식용의 쥐노래미에 대한 영향을 반영하지 않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인체에 대한 비발암위험지수(HI) 값은 PCB의 경우 9.8~47.1로 매우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PCB의 발암위험도는 5개 퇴적물에서 $39{\sim}190{\times}10^{-5}$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As의 경우에도 $8.1{\sim}18.0{\times}1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해화학물질정화지수가 8로 동일한 5개 가상 오염퇴적물에서 비발암위험지수(HI) 및 발암위험도가 서로 매우 다르게 나타난 것은 각 오염물질별로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고양이(Feliscatus)의 분포밀도와 잠재서식지 예측을 이용한 우선 관리 대상 지역 분석 (Analyzing Priority Management Areas for Domestic Cats (Felis catus) Using Predictions of Distribution Density and Potential Habitat)

  • 정아미;이상돈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6호
    • /
    • pp.545-555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고양이(Felis catus)의 분포밀도와 잠재 서식지를 예측하여 핵심분포지역을 선정하고, 보호지역을 중첩하여 우선으로 고양이 관리가 시행되어야 할 지역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분포밀도 파악을 위해 커널밀도추정을 사용하였고, 고밀도 지역을 분류한 결과 수도권 지역과 충남, 대전, 대구에서 밀도가 높았다. MaxEnt 모형을 활용한 잠재 서식지 예측에서는 고도, 시가지로부터의 거리, 지표 거칠기 등이 중요한 변수로 확인되었고, 임계값을 기준으로 출현/비출현 지역을 분류한 결과 수도권과 세종, 대전, 충남, 대구에서 출현 예측 지역의 면적이 높았다. 고밀도 지역과 출현 예측 지역을 중첩하여 핵심분포지역을 선정하였고, 핵심분포지역과 야생동물 보호지역을 중첩하여 우선으로 관리해야 할 지역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경기도와 충남지역이 제일 면적이 넓은 지역으로 선정되었다. 또한 보호지역과 같은 우선 관리 대상 지역을 중심으로 핵심분포지역이 둘러싸고 있어, 추가적인 유입을 막고 관리하기 위한 완충구역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고양이의 서식현황을 조사하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관리방안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빅데이터와 딥러닝을 활용한 동물 감염병 확산 차단 (Animal Infectious Diseases Prevention through Big Data and Deep Learning)

  • 김성현;최준기;김재석;장아름;이재호;차경진;이상원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4호
    • /
    • pp.137-154
    • /
    • 2018
  • 조류인플루엔자와 구제역 같은 동물감염병은 거의 매년 발생하며 국가에 막대한 경제적 사회적 손실을 일으키고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그간 방역당국은 다양한 인적, 물적 노력을 기울였지만 감염병은 지속적으로 발생해 왔다. 최근 빅데이터와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감염병의 예측모델을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가 시작되고 있지만, 실제로 활용가능한 모델구축 연구와 사례보고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KT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14년부터 국가 R&D사업의 일환으로 축산관련 차량의 이동경로를 분석하여 예측하는 빅데이터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동물감염병 예방을 위하여 연구진은 최초에는 차량이동 데이터를 활용한 회귀분석모델을 기반으로 한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이후에는 기계학습을 활용하여 좀 더 정확한 예측 모델을 구성하였다. 특히, 2017년 예측모델에서는 시설물에 대한 확산 위험도를 추가하였고 모델링의 하이퍼 파라미터를 다양하게 고려하여 모델의 성능을 높였다. 정오분류표와 ROC 커브를 확인한 결과, 기계 학습 모델보다 2017년 구성된 모형이 우수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2017에는 결과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여 방역당국의 의사결정을 돕고 이해관계자를 설득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동물감염병예방시스템을 구축한 사례연구로 모델주요변수값, 이에따른 실제예측성능결과, 그리고 상세하게 기술된 시스템구축 프로세스는 향후 감염병예방 영역의 지속적인 빅데이터활용 및 분석 모델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구축한 시스템을 통해 보다 사전적이고 효과적인 방역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이 우울증(憂鬱症) 모형동물(模型動物)의 수중미로학습(水中迷路學習)과 뇌(腦)의 Tyrosine Hydroxylase 발현(發顯) 수준(水準)에 미치는 효과(效果) (The Effects of Whangryonhaedoktang on Morris Water Maze and Tyrosine Hydroxylase Expression in Ventral Tegmental Area and Locus Coeruleus of the Chronic Mild Stress Animal Model of Depression)

  • 홍성원;김종우;김은주;김현주;김현택;황의완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7-44
    • /
    • 2003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protective effects of Whangryonhaedoktang on the chronic mild stress (CMS) animal model of depression. Method :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CMS-drug group: Whangryonhaedoktang was administered during CMS procedure, CMS-vehicle: water was administered during CMS procedure, normal control group: without CMS procedure). After 4 weeks of CMS procedure, Morris water maze (MWM) test and open field test were executed and tyrosine hydroxylase (TH) was measured in ventral tegmental area (VTA) and locus coeruleus (LC) of rat brain. Result : 1. CMS procedure induced defects of spatial learning in early period of MWM test. 2. CMS Whangryonhaedoktang group showed shorter escape latency in comparison with CMS control group in MWM test on the first day of the test. 3. CMS Whangryonhaedoktang group and CMS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activities and emotional behaviors in comparison with normal control group in open field test. 4. CMS Whangryonhaedoktang group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effects of TH expression in VTA and LC areas in comparison with CMS control group.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angryonhaedoktang may have inhibition effects to early period defects of spatial learning and protective antidepressant effects in CMS model rats.

  • PDF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이 우울증 모형 동물의 우울성향 및 PVN의 c-Fos 발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Hwangryeonhaedoktang on Depression and c-Fos Expression in Paraventricular Nucleus of the Brain in the Chronic Mild Stress Treated Rats)

  • 정선용;김종우;이정륜;장현호;김현택;황의완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6
    • /
    • 2003
  •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protective effects of Hwangryeonhaedoktang on the animal model of depression, induced by chronic mild stress(CMS). Method :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for this experiment.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 1. CMS-drug: Hwangryeonhaedoktang administered during CMS treatment, 2. CMS-vehicle: water administered, 3. normal ). After 4 weeks of CMS treatment, they were executed forced swimming test(FST), open field test and c-Fos in paraventricular nucleus(PVN) were measured. Result : 1. In FST, immobility behavior decreased significantly in CMS-drug group. 2.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open field test between 3 groups 3. c-Fos expressed cell bodies in PVN were significantly less in CMS-drug than in CMS-vehicle group.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Hwangryeonhaedoktang may have protective antidepressant effects in CMS model rats. And these effects could be explained by the elevated stress-copying behaviors which are related with PVN of hypothalamus.

  • PDF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차단제들이 만성 경도 스트레스 후의 백서에서 수동적 회피학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on the Retention of Passive Avoidance Learning after Chronic Mild Stress in Rats)

  • 이기철;장환일
    • 생물정신의학
    • /
    • 제4권2호
    • /
    • pp.237-245
    • /
    • 1997
  • The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significant roles of SSRI in rat of depression model. Chronic exposure to mild unpredictable stress has been found to depress the consumption of sweet 1% sucrose solutions in the Sprague-Dawley rats. We applied the variety of 11 types of stress regimens and identified depressive behaviours(developed by Willner) in 70 Sprague-Dawley rats. Rats in experiments were stratified into 6 groups, ie ; 3 kinds of SSRI(paroxetine, fluoxetine, sertraline), clomipramine, choline and saline control. Memory function was evaluated by passive avoidance learning and retention test. The authors determined how long memory retention would remain improved with 24 hour, 1 week, 2 weeks, 3 weeks, and 4 weeks at training-testing interval in depressive states of the Sprague-Dawley ra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6 groups at the 24 hour training-testing interval. 2) The paroxetine treated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control group at the 1 week and 2 weeks training-testing interval. 3) The paroxetine and the fluoxetine treated groups showed singificant differences from the control group at 3 week training-testing interval. 4) The paroxetine and the choline treated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control group at 4 week training-testing interval. In summary, paroxetine had an effect on long term memory processing from 1st week to 4th week. Also, fluoxetine(at 3rd week) and choline(at 4th week) had effect on long term memory processing. Sertraline, clomipramine were ineffective on memory processing during 4 weeks observation. Possible explanations why paroxetine had early effect on memory processing than the other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are rapid bioavailability, which is the characteristics of pharmacokinetics of paroxetine. In clinical situation, author carefully suggest that SSRI would be beneficial to improve the memory function caused by depressive neurochemical changes.

  • PDF

백신 접종후 발생할 수 있는 전신적과민증 예측을 위한 아급성 실험동물 모형 개발과 관련 면역독성학적 지표치 평가 (Development of Subacute Animal Model to Predict Occurrence of Systemic Anaphylaxis Following Vaccination and Evaluation of Various Immunotoxicological Parameters)

  • 허용;김광호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8권2호
    • /
    • pp.205-213
    • /
    • 2002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velop a subacute murine model for predicting occurrence of systemic anaphylaxis and to evaluate efficacy of various immunological parameters as the monitoring indices for the occurrence of anaphyalxis. The murine anaphyalxis model was developed through intraperitoneally sensitizing 100 $\mu\textrm{g}$ ovalbumin (OVA) in the presence of 1 mg alum and 300 ng cholera toxin twice a week interval followed by challenging 500 $\mu\textrm{g}$. OVA intravenously. Typical anaphylaxis symptoms were demonstrated at the both BALB/c mice, a strain prone to type-2 response, and C57BL/6 mice. a strain prone to type-1 response. Level of plasma histamine was approximately 50-fold or 30-fold higher in the mice sensitized with OVA than the mice sensitized with alum plus cholera toxin or the saline-treated mice after OVA challenge, respectively. Sensitization and challenge with OVA significantly enhanced plasma leukotriene $B_4$ level but not IgE level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mice, which indicated the role of leukotriene $B_4$ for progression of anaphyalxis. Furthermore, among mice suffered from anaphylaxis, levels of OVA-specific IgG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BALB/c mice than in the C57BL/6 mice, which implied the genetic susceptibility for the induction of systemic anaphylaxis. Conclusively, simultaneous evaluation of histamine, leukotriene $B_4$, and allergen-specific IgG isotype may serve as more efficient monitoring tool for vaccine-related anaphyalx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