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돌기해삼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초

어린 돌기해삼 Apostichopus japonicus (Echinodermata; Holothuroidea) 방류 방법에 따른 열충격단백질90 유전자의 발현 분석 (Heat Shock Protein 90 Gene Expression in Juvenile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Echinodermata; Holothuroidea) according to Releasing Methods)

  • 이동한;이승헌;정동빈;손영창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9-36
    • /
    • 2022
  • 돌기해삼 Apostichopus japonicus는 주요 양식 대상 무척추동물로서 우리나라 연안 해역에 서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방류 방법에 따른 단기간의 생리학적 스트레스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heat shock protein 90 (HSP90)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실시간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법으로 조사하였다. 어린 돌기해삼을 비닐봉지에 산소 포장하여 30분간 수송하거나 방류 해역의 간조기에 1시간 공기 중에 노출된 실험군의 HSP90 유전자 발현은 대조군의 HSP90 유전자 발현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수송 후 실험군 p=0.001; 간조기 실험군 p=0.032). 어린 돌기해삼을 방류 후 6시간까지 분석한 결과, 선상에서 씨뿌림 방식으로 방류된 6시간째의 개체 및 호스를 통과하여 수중으로 방류된 2~6시간째의 HSP90 유전자 발현율은 대조군에 비하여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씨뿌림 실험군 p=0.069; 호스 방류군 p=0.093). 한편, 잠수부에 의해 수중에서 방류된 어린 돌기해삼은 방류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HSP90 유전자 발현율은 증가하는 패턴이 관찰되었다(p=0.061). 이상의 결과는 방류된 어린 돌기해삼의 단기간 스트레스 반응 연구와 효과적인 방류 방법의 개발에 HSP90 유전자 발현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육상 다단식 사육시스템을 이용한 어린 돌기해삼(Apostichopus japonicus)의 수용밀도에 따른 성장과 생존 (Effects of Stocking Density on Growth and Survival of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in the Indoor Multiple Tank)

  • 김태익;손맹현;조재권;고경동;진영국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5호
    • /
    • pp.1407-1416
    • /
    • 2016
  • 12주 동안 육상 다단식 사육시스템을 이용하여 어린 돌기해삼의 성장, 생존율 및 적정 수용밀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0 L 사육수조에 습중량 4.3~4.5 g의 어린 돌기해삼을 1, 2, 3, 4, 5 및 10마리씩 수용하여(각각 D1, D2, D3, D4, D5, D10으로 표기) 수용밀도별로 10단씩 쌓아 실험을 하였다. 체중성장과 생존율은 매 4주마다 조사하였다. 어린 돌기해삼의 수용밀도에 따른 성장은 수용밀도가 낮을수록 빠른 경향을 보였으며, 개시기부터 사육 8주까지는 수용밀도에 따른 성장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사육 12주째는 D1~D5 실험구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D1과 D10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생존율은 모든 실험구에서 12주째 72~100%로 수용밀도 D1~D5 실험구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D1~D5와 D10 실험구와는 차이를 보였다(P<0.05). 따라서 육상 다단식 사육시스템을 이용한 어린 돌기해삼의 적정수용밀도는 성장과 생존율을 고려할 때 0.05마리/$m^2$ 이내로 판단된다.

염분 농도에 따른 어린 돌기해삼, Apostichopus japonicus의 생존 및 피부계의 조직학적 변화 (Survival and Histological Change of Integumentary System of the Juvenile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Exposed to Various Salinity Concentrations)

  • 김태익;박민우;조재권;손맹현;진영국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1360-1365
    • /
    • 2013
  • 다양한 염분 농도에 따른 어린 돌기해삼의 생존과 피부계의 구조적 이상을 관찰하였다. 돌기해삼의 크기 및 수는 습중량 $1.0{\pm}0.2g$, 250 개체였다. 실험농도는 0, 5, 10, 15, 20, 25, 30, 35 및 40 psu 였으며, 96시간 노출 후 7일간 일반해수에서 회복과정을 통해 생존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25-35 psu에 노출된 개체들은 모두 100%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LC50은 21.05 psu로 나타났다. 돌기해삼의 피부계는 20 psu 이하의 염분 농도에 노출된 개체들의 경우 상피층 두께 감소, 상피세포 핵 응축, 점액세포 감소 및 진피층 결합조직의 성긴 배열 등이 주로 관찰되었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40 psu의 염분 농도에 노출된 개체들은 상피세포 핵의 비대, 점액세포 증가 및 진피층 결합조직의 치밀배열 등이 나타났다. 진피층에서 관찰된 alcian blue(pH 2.5) 양성 분비세포들은 20 psu 이하에서는 노출 24시간 내에 대조구에 비해 급격한 증가 및 감소폭을 보였다. 40 psu 에서는 노출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한 후 회복일수에 따른 감소경향을 보였다.

돌기해삼(Apostichopus japonicus)의 보관 후 회복 가능성 파악을 위한 외상 및 형태학적 변화의 관찰 (Observation of External Injury and Morphological Movement for Analysis of Recovery Possibility after Storage of the Juvenile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 김태익;손맹현;조재권;진영국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4호
    • /
    • pp.1006-1013
    • /
    • 2016
  • 돌기해삼 종묘의 보관에 따른 외상, 부위별 움직임 및 생존율을 관찰하였다. 10, 15, 20 및 $25^{\circ}C$에 종묘를 3, 6, 12, 24시간 보관 후 회복과정을 통해 생존율을 관찰하였고, 이를 위해 외상정도와 네 가지 부위별 움직임 변화(촉수 움직임, 촉수를 제외한 몸의 움직임, 뒤집기, 이동)를 적용할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외상정도는 $20^{\circ}C$에서 24시간 실험구와 $25^{\circ}C$의 12시간 실험구에서 각각 $2.2{\pm}0.8$, $2.6{\pm}0.7$로 낮게 나타났다. 부위별 움직임 변화는 촉수의 움직임과 이동 여부 항목에서 생존율 및 외상 정도와 관련성을 보였다. 생존율은 보관 온도 $10^{\circ}C$$15^{\circ}C$ 실험구에서는 24시간까지, $20^{\circ}C$는 12시간까지 그리고 $25^{\circ}C$에서 6시간까지는 변화가 없었다. 돌기해삼 종묘의 보관 온도에 따른 치사시간(LT10)은 $20^{\circ}C$의 경우 15.73시간 이었으며, $25^{\circ}C$의 경우 5.57시간 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방류종묘의 운송에 따른 생존율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서 적용 가능할 것이다.

육상수조에서 돌기해삼, Stichopus japonicus의 성장 및 생존율 (Survival and Growth of Sea Cucumber(Stichopus japonicus in Indoor Tank)

  • 김철원;허준욱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0권1호
    • /
    • pp.97-105
    • /
    • 2018
  • 돌기해삼의 성장과 생존에 가장 효과적이며 경제성이 있는 사육밀도를 조사하였는데 체중 성장은 250, 350과 500 개체/m2 실험구에서 각각 31.9±18.3g, 26.8±14.6g과 21.5±16.4g으로 성장하였고, 실험 시작할 때 보다 250마리/m2 실험구는 약 5.1배, 350마리/m2 실험구는 약 4.3배 및 500마리/m2 실험구에서는 3.5배의 성장을 보여 수용밀도가 낮을수록 빠른 성장을 보였다. 생존율은 250마리/m2 실험구는 50.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50마리/m2 실험구는 47.6% 그리고 500마리/m2 실험구에서는 44.2%로 낮게 나타났다. 실험기간동안 성장과 생존율은 사육밀도가 낮을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정시기와 일정크기에 따른 선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돌기해삼(Stichopus japonicus)의 방류효과 향상 연구 (Study on the Improvement Effect of the Seeds Release of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 김철원;정달상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9권1호
    • /
    • pp.15-23
    • /
    • 2017
  • 전복 방류 효과를 조사한 결과 크기가 큰 종묘(전중, 3.2 g)를 방류한 월항어촌계가 크기가 작은 종묘를 방류한 화태어촌계에 비하여 방류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류 후 10개월이 경과된 후 월항어촌계의 해삼 생존율은 66%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방류효과가 종묘의 크기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류해역에 따른 해삼의 생산효과를 분석한 결과 어류 가두리 양식장이 밀집한 화태어촌계에서 실험종료 시 성장(6.2 g)과 생존율(32.1%)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오염도는 높지만 지속적으로 동물성먹이가 공급되는 해역의 생산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원조성 및 종 보존을 위해서 어류 양식가두리 저면을 활용하는 것도 고려할 방법으로 판단된다.

배합사료의 단백질 및 지질 함량이 어린 돌기해삼 Stichopus japonicus의 성장 및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otein and Lipid Levels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 서주영;최진;김근업;조성수;박흠기;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9-25
    • /
    • 2008
  • 본 연구는 어린 돌기해삼 Stichopus japonicus 사료의 적정 단백질과 지질 함량을 조사하기 위해 단백질(10%, 20%, 30% 및 40%)과 지질(3%, 7% 및 11%)이 달리 함유된 12 종류의 실험사료를 제조하였다. 평균 체중 1.1 g의 치삼을 각 수조마다 50마리씩 3반복으로 수용하여 8주간 수행하였다. 사육실험 종료 후, 생존율은 86% 이상으로 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증중율과 일간성장율은 동일한 지질함량에서 단백질 30%에 지질 3% 함유 사료 공급구가 다른 실험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치삼의 수분, 지질 및 회분 함량은 사료의 단백질과 지질함량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단백질함량은 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단백질 30%에 지질 3% 함유 사료 공급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단백질 20%에 지질 11% 공급구에서 가장 낮았다. 지방산 조성은 사료의 지방산에 영향을 받아 지질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18:2n-6은 증가하였고 n-3HUFA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해삼의 최대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함량은 30%이고, 지질함량은 3%로 판단된다.

한국 서해안 돌기해삼(Stichopus japonicus)의 서식지 기질 특성 (Substrate Characteristics of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Habitats in the West Coast of Korea)

  • 박광재;류상옥;백영숙;김윤설;강희웅;한현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886-891
    • /
    • 2013
  • We analyzed surface sediments to explain the substrate characteristics of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habitat. The analyses included grain-size determination, water content (WC), loss on ignition (IL), chemical oxygen demand (COD), and acid volatile sulfide (AVS) content. We obtained data on sea cucumber density, weight, and length at each station in a marine farming area in the middle of Korea's Taean coast on the West (Yellow) Sea in May, 2012. The apparent density of S. japonicus was high in coarse and bimodal sediments, whereas it was low in fine and unimodal sediments. The mass of S. japonicus was greater in fine than in coarse sediments, showing a different trend from sea cucumber density. The values for WC, IL, COD, and AVS in surface sediments were higher in areas with high densities of S. japonicus than in areas with low sea cucumber densities. In particular, the concentration of AVS was much higher than the value proposed in Japanese criteria for areas with high S. japonicus density.

2종류의 건조기로 제조한 돌기해삼(Apostichopus japonicus)의 복원율과 지방산조성 비교 (Comparison of Recovery Rate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Dried Sea Cucumbers Apostichopus japonicus Dried by Hybrid Heat Pump Decompression and by Hot Air)

  • 정우철;;;최병대;정현철;이상로;강석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32-240
    • /
    • 2019
  • Approximately 80% of the world's sea cucumbers Apostichopus japonicas are processed into dried sea cucumbers. The hot air-drying method is currently used in industry, but it has many problems, such as a short drying time, severe browning, high nutrition loss, and low recovery. In this study, the moisture absorption rate, dry recovery rate, and lipid nutrient composition of sea cucumber dried by heat pump decompression and with a hybrid dryer were investigated. The moisture absorption rates for hybrid-dried sea cucumbers at 24, 48, 72, 96, and 120 h were 241.3%, 427.7%, 652.0%, 721.0%, and 742.2%, respectively. The moisture absorption rates for hot air-dried sea cucumbers were 155.8%, 240.0%, 390.3%, 655.5%, and 667.4%, respectively. Thus, moisture absorption was faster and greater with hybrid drying than with hot air drying. The dry recovery rate at 24 h was greater for hybrid-dried sea cucumber (70.7%) than for hot air-dried sea cucumber (59.8%). 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of the hybrid- and hot air-dried sea cucumbers were 30.0% and 37.5%, respectively. Moreover, greater ${\Sigma}n-3$ poly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was found in hybrid-dried sea cucumber (15.8%) than in hot air-dried sea cucumber (11.7%).

서식 환경에 따른 방류 돌기해삼(Stichopus japonicus)의 크기 및 서식밀도 변화 (Variations of Size and Density of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Released to the Habitat Conditions)

  • 이진왕;길현우;이도현;김주경;허준욱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0권2호
    • /
    • pp.69-75
    • /
    • 2018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variations on the growth and survival rate of Stichopus japonicus to determine the optimum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its growth. Literature studies and a 12 month-long diver survey were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habitat, ecology and size of the surveyed area.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e suggested optimum habitat conditions for releasing S. japonicus. Experiments on releasing S. japonicus were conducted in the breakwater of the Hwagye fishing cooperative in Hwagey-ri, Namhae-un, Gyeongsangnam-do, Korea. To implement the experiments, we divided the surveyed area into 4 sub-area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1) sand and silt zone; (2) artificial sea cucumber bank zone; (3) artificial rock bank zone; and (4) marine algae zone. The experiment lasted for 12 months. We released 32,000 sea cucumbers over $120m^2$ of each of the sand and silt zone, artificial rock bank zone and marine algae zone and released 6,000 sea cucumbers over $120m^2$ of the artificial sea cucumber bank zone. The average density of the released sea cucumbers from day 30 to day 360 after the releasing was conducted was the highest in the artificial sea cucumber bank zone ($23.7animal/m^2$), which was followed by artificial rock bank zone ($2.0animal/m^2$), marine algae zone ($1.9animal/m^2$) and sand and silt zone ($0.8animal/m^2$). The analysis on growth showed that the initial average weight of 2.3 g increased on day 360 after the releasing to 12.5 g in the artificial sea cucumber rank zone, 20.2 g in the sand and silt zone, 23.3 g in the artificial rock bank zone and 22.9 g in the marine algae zone. Results from the experiment along with the literature analysis suggest the following optimum habitat conditions: $10-15^{\circ}C$ water temperature; 28-34 psu salinity; 5-10 m water depth; 0.2-0.5 m/s velocity; rock, stone and muddy sand as substrate; and less than 20% mud in the subst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