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심지구

Search Result 18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the Analysis of Flood inundations in Urban Areas according to Topographic Conditions (지형조건에 따른 도심지 내수침수 분석에 관한 연구)

  • Yeong Hun Son;Kye Won Jun;Min Ho Kim;Chang Deok J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30-330
    • /
    • 2023
  • 이상기후로 인해 전국적으로 국지성 집중호우의 발생빈도와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건물 및 도로의 증가와 토지이용변화와 같이 도시화가 이루어진 지역에 배수체계의 용량을 초과하는 강우의 발생으로 도심지 내수침수의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물과 도로가 많은 도심지에서의 내수침수 분석을 위하여 2017년 7월과 2020년 8월에 침수 피해가 발생한 봉명지구를 연구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건물과 도로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이를 반영한 지형자료를 구축하였다. 내수침수를 분석하기 위해 XP-SWMM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피해 발생 당시의 침수심과 침수범위가 나타난 침수범람도를 바탕으로 각 지형조건에 따른 내수침수 분석 결과를 비교·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각 지형조건 중 건물과 도로를 반영한 지형에서의 침수심과 침수범위가 실제 피해와 가장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건물이 밀집되어 있는 좁은 골목에서의 수위와 흐름속도는 다른 지형조건에서 보다 높고 빠르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월류수는 도로를 따라 하류로 이동하여 하류부 침수심이 가중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중부권지역에 식재 가능한 남부수종 도입

  • Baek, Seung-Dae
    • Landscaping Tree
    • /
    • s.104
    • /
    • pp.10-13
    • /
    • 2008
  • 지구의 온난화 특히, 도심지의 동절기 기온상승 등으로 난.온대 수종들의 식재 북방한계가 올라가고 있으므로 이제는 중부권지역에서도 남부수종의 활용이 가능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인은 오래전부터 서울경기지역 조경관련 지인들에게 몇몇 남부수종의 식재를 권유해 오고 있으며 중부권에 남부수종을 식재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연구와 검토가 사전에 필요하고 세심하고 철두철미한 준비가 뒷받침 되어야 하므로 지금까지의 경험상을 토대로 남부수종에 관한 소개와 몇 가지 참고사항을 전하고자 한다.

  • PDF

하부 대류권에서 기상관측기기의 비교 관측을 위한 마산지역 기후변화 특성에 대한 고찰

  • Park, Jong-Gil;Jeong, U-Sik;Kim, Seok-Cheol;Kim, S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57-161
    • /
    • 2007
  • 최근에 설치된 마산기상대의 windprofiler의 기기보정을 위한 비교관측을 하기에 앞서 마산기상대의 기상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마산지역의 기후 변화 현황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마산지역은 최근 5년간 평년에 비하여 건조해졌으나 연강수량과 강수강도는 약한 증가현상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20^{\circ}C$의 기온빈도가 증가하여 마산지역이 상당히 따뜻해 진 것으로 나타났다. 마산연보(2006)에 의하면 마산시에는 자동차 등록 수는 매년 증가하여 2005년 현재 138,241대를 나타내어 도시화로 인한 인공열원이 증가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렇지만 인구는 1998년 435,343명을 최고치로 나타낸 이후 매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사업체수 역시 1995년 35,622개 이후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더불어 도심지 공원은 2005년 현재 91개까지 증가하였으며 공원 총면적 또한 2001년 이후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마산지역의 기온이 $1985{\sim}2005$년 평년치보다 최근 5년간 상당히 따뜻해졌지만 자동차로 인한 인공열원의 증가가 인구 및 사업체 감소, 도심지 공원수와 면적 및 해풍 빈도의 증가와 상쇄되어 도시화의 영향이 다소 약하게 나타났으나 지구온난화와 더불어 마산지역의 기온도 상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향후 지구온난화에 대한 영향을 지속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Distribution of Relative Evapotranspiration Availability using Satellite Data in Daegu Metropolitan (위성 자료를 이용한 대구광역시의 상대적 증발산 효율 분포)

  • Kim, Hae-Dong;Im, Jin-Wook;Lee, Soon-Hwa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7 no.6
    • /
    • pp.677-686
    • /
    • 2006
  • Surface evapotranspir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determine the surface energy budget, and its estimation is strongly related with the accuracy of weather forecasting. Surface evapotranspiration over Daegu Metropolitan was estimated using high resolution LANDSAT TM data. The estimation of surface evapotranspiration i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radiative temperature and vegetation index provided by a TM sensor. The distribution of NDVI (Normalized Difference of Vegetation Index) corresponds well with that of land-used in Deagu Metropolitan. The temperature of several part of downtown in Deagu metropolitan is lower in comparison with the averaged radiative temperature. This is caused by the high evapotranspiration from dense vegetation like DooRyu Park in Deagu Metropolitan. But, weak evapotranspiration availability is distinguished over the central part of downtown and the difference of evapotranspiration availability on industrial complexes and residential area is also clear.

Three-dimensional Finite-difference Time-domain Modeling of Ground-penetrating Radar Survey for Detection of Underground Cavity (지하공동 탐지를 위한 3차원 시간영역 유한차분 GPR 탐사 모델링)

  • Jang, Hannuree;Kim, Hee Joon;Nam, Myung Ji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19 no.1
    • /
    • pp.20-28
    • /
    • 2016
  • Recently many sinkholes have appeared in urban areas of Korea, threatening public safety.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sinkhole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xistence of cavity under urban roads. Ground-penetrating radar (GPR) has been recognized as an effective means for detecting underground cavity in urban areas. In order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governing physical processes associated with GPR wave propagation, and interpret underground cavity effectively, a theoretical approach using numerical modeling is required. We have developed an algorithm employing a three-dimensional (3D) staggered-grid finite-difference time-domain (FDTD) method. This approach allows us to model the full electromagnetic wavefield associated with GPR surveys. We examined the GPR response for a simple cavity model, and the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our 3D FDTD modeling algorithm is useful to assess the underground cavity under urban roads.

Estimation of future probabilistic precipitation in urban watersheds and river flooding simulation considering IPCC Sixth Assessment Report (AR6) (IPCC 6차 평가 보고서(AR6)를 고려한 도시 유역 확률 강우량 산정과 하천 침수 모의)

  • Jun Seo Yoon;Im Gook Jung;Da Hong Kim;Jae Pil C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88-88
    • /
    • 2023
  • 지난 100년 동안 전 지구의 기상 이변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기후 변화는 도시 홍수 피해에 큰 영향을 끼치는데 급속한 도시화와 이상 기후로 인한 돌발 강우 패턴의 증가는 도시 침수의 취약성을 가중시킨다. 또한 급격한 도시 발전으로 인한 도심지의 불투수율 또한 꾸준히 증가하였다. 특히 2022년 8월 8일에 강남역과 도림천 일대에 내린 기록적인 강우는 기후 변화를 실감하게 하는 사회적 이슈가 되었으며 도심지 미래 수방 대책 변화를 상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로 인한 재해 피해에 최소화하기 위해 미래 기후 변화를 고려한 도심지의 새로운 방재 목표강우량 설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전 지구 모형(GCM)의 기후 변화 시나리오는 일 단위(Daily) 상세화 자료를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단기 강우 자료를 필요로 하는 도시 홍수 모의에서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9년에 발간된 IPCC 6차 평가 보고서(AR6)가 제안하는 SSP(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공통사회경제경로) 시나리오를 기반하여 상세화된 일 단위(Daily) 강우 데이터를 비모수적 통계 기법을 사용하여 시간 단위(Hourly)로 상세화하였다. 또한 지속 시간별 연 최대치 강우를 추출하여 빈도 해석을 통해 도시 유역의 미래 확률 강우량을 제시하였으며, 서울시 상습적인 침수 취약 지역인 도림천 유역에 강우-유출 모형(XP-SWMM)을 사용하여 미래전망 기후 자료인 SSP2-4.5와 SSP5-8.5에 따른 미래 확률 강우 침수 모의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신 기후 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한 서울시 방재 성능 목표 강우량 산정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미래 강우량 침수 모의를 통해 침수 취약 구역인 도림천 일대 홍수피해의 근거 자료가 되는 것에 의의를 둔다. 또한 치수 분야에서 기후 변화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기후 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시간 단위 자료의 상세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부산남항 수변경관 현황분석 연구

  • 최혜린;강영훈;이한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307-309
    • /
    • 2022
  • 항만경관은 항만의 특징을 드러내는 매력적인 요소로서 항만재개발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되고있다. 최근에는 항만재개발사업에 있어 항만경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항만 고유의 특색을 살린 수변경관계획 수립을 통해 수변경관을 개선함으로서 사람들이 모이는 매력적인 항만으로 변모하고자 한다. 도심의 친수공간으로서 잠재력이 큰 부산남항은 다양한 수변공간계획 및 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지만 관련 기존 항만개발사업은 기능성과 경제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수변경관에 대한 고려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남항의 경관을 개선하고 매력적인 항만으로 변모하기 위한 수변경관계획 수립을 하기 위해 기초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부산남항을 7개 지구로 구분하고 각 지구의 수변경관(색채, 랜드마크, 야간경관)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조사결과를 토대로 지구별 수변경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대책을 제시하였다.

  • PDF

Erratum : A Study on the Demand Zone of Housing for New Town: Focused on Seoul Metropolitan Area (Erratum : 택지개발지구의 주택 수요권역 실증 연구: 수도권을 중심으로)

  • Kim, Jong-Lim;Cho, Han-Jin;So, Soon-Woo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6 no.4
    • /
    • pp.239-239
    • /
    • 2015
  • 최근 국내 주택시장에서의 관심은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 해소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수요권역 설정에 의한 사업지구별 수요예측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택시장권역 설정 시 선행연구에서 사용하는 가구이동자료 기준의 수요권역과 청약자 주소지에 의한 실제 수요권역의 차이를 비교분석 하였다. 수도권 3개 택지개발지구를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 청약자료에 의한 실제 수요권역은 가구이동자료 기준의 수요권역에 비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가구이동자료 기준에 의한 수요권역 설정의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사업지구와 서울 도심과의 거리, 핵심 수요권과 배후수요권의 수요구성비와 같은 입지경쟁력, 개발규모(신도시급 여부) 등의 변수가 정확한 수요권역의 설정을 위해 우선적으로 보완되어야 할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동일 사업지구에 있어서도 임대/분양과 같은 주택유형, 주택의 규모에 따라 수요권역의 차이를 보였다. 아울러 부동산경기 역시 수요권역의 범위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정확한 수요권역 분석을 위해서는 주택가격, 사업지구 입지경쟁력 등이 함께 복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Analysis of Flood Reduction in Downstream Urban Areas for the Storage in Apartment Complex (하류 도심지 침수저감 분석을 통한 공동주택 단지의 우수저류조 계획)

  • Jae-Do Choi;Hyoung-Chul Lim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9 no.3
    • /
    • pp.698-709
    • /
    • 2023
  • Purpose: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analyze the growth rate of existing urban immersion in the downstream during large-scale urban development and the degree of reduction in existing urban immersion in the downstream when small excellent storage facilities are planned in apartment complexes. Method: A large-scale sewage model was built using the SWMM model of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nd the impact of flooding in existing downtown areas downstream was analyzed through simulation. The built model included the development zone, the existing downtown area downstream, and the entire river basin that discharges rainwater. Result: As a result of calculating and simulating the minimum excellent reservoir capacity for each apartment block in the study target area, it was found that the immersion of 4,893㎥ based on one hour, 25,815㎥ based on two hours, and 55,528㎥ based on three hours in the downstream urban area. Conclusion: As in this study, large-scale flooding simulation considering the existing downtown area in the downstream shows a significant increase in flooding in the downstream, and if excellent reservoir capacity is planned for each apartment block before development and the construction of excellent reservoirs is recommended.

The Viability of Manufacturing Industrial Districts in the City Center of Metropolis: The Handmade Shoes Industry in Daegu (대도시 도심 제조업 집적지의 형성과정과 존립기반: 대구시 수제화 산업을 사례로)

  • Lee, Chul-Wo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4
    • /
    • pp.506-523
    • /
    • 2011
  • Since the 1990s, the handmade shoes industrial agglomeration district has formed in the city center, Hyangchon-dong, Jung-gu in Daegu.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formation process, to analyze the viability, and to propose policy implications of manufacturing industrial districts in a city center through studying this industrial district. The district's creation began as the result of the dissolution of local production and marketing system of handmade shoes in the 1980s, the excellent accessibility of the location and an inexpensive rent. The district's core viability lies in the external economies derived from local networks through social divisions of labor of production and marketing systems. Because of the lack of organizers of the social division of labor and 'integrated production system done by single business', the effect of external economies created by the social division of labor is limited. To get over this limitation, the district should to be restructured into a 'cultural street of leather crafts' as a part of 'making modern historical and cultural belt' programs within Daegu downtown regeneration policies. To support the restructuring, public assistant measure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a corporate services center should be strengthen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