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 지표

Search Result 1,051,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The Direction of Urban Development and the Change of Quality of Life in Integrated Yosu City (통합여수시 지역주민의 삶의 질 변화와 도시발전의 과제)

  • 이정록;이상석;추명희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 no.1_2
    • /
    • pp.123-144
    • /
    • 1999
  •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 of quality of life in the Integrated Yosu City and suggests the directions of urban development. Research into the quality of life in local and region scale is interesting both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ory and practice, and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in the social sciences since the 1960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change of the quality of hie in the Integrated Yosu City. In the overall assessment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about the quality of life during the past five years, most of the respondents have positive evaluation of the changes of quality of urban life. In particular, the quality of living facilities, urban administration and convenience services has relatively improved during the past five years. On the other hand, the quality of physical environment. art and cultural opportunities, transportation options has been backward during the past five years. Therefore, the directions of urban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Yosu Cit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establishment of a wide transportation network system, waterfront development, the activation of tourism industry and harbor works, the preparation of an urban landscape, the citizens'campaign for a community culture.

  • PDF

Analysis of Heat Island Characteristics Considering Urban Space at Nighttime (도시공간을 고려한 야간시간대의 열섬특성 분석)

  • Song, Bong-Geun;Park, Kyung-H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5 no.1
    • /
    • pp.133-14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heat island considering urban space at nighttime. We used to analyze landuse and landcover data of 1:1,000 scale, DTM, and surface temperature extracted ASTER image satellite of nighttime. According to the analytical results, heat intensity in single-family residential is higher than that in industrial area, public facility area, and commercial area because the anthropogenic heat by energy consumption is released. Likewise, the temperature difference were big in the buildings of industrial area depending on operating hours. Meanwhile, green and river area had cooling impacts mitigating the urban heat island. Therefore, we have to mitigate heat intensity through constructing green space and waterfront area. As mentioned above, we think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e data for effective spatial planning when formulating development planning to mitigate urban heat island at nighttime.

A Study on the Convergence of Renovation Measures for Urban Ecological Park Considering the Thermal Environment in Summer - With a Case of Gildong Ecological Park - (여름철 열환경을 고려한 도시생태공원 리노베이션 방안 융합 연구 - 길동생태공원을 사례로 -)

  • Kwon, Ki Uk
    • Korea Science and Art Forum
    • /
    • v.36
    • /
    • pp.11-22
    • /
    • 2018
  • This study recent changes in urban thermal environment caused by climate change generate diverse problems such as urban heat island effects, heat wave, and drought. Under this condition, with the increased perception and expectation of the quality of life, the urban citizens' desire for outdoor activities is increasing. This study conducted the thermal environment analysis focusing on the urban ecological park used by many urban citizens, and also suggested the renovation measures for urban ecological park considering the thermal environment. As the research site, the ecologically-favorable Gildong Ecological Pak with diverse space composition was selected. The measuring items were measured and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thermal environment index and thermal comfort index. In the results of analysis in each type of park space, the forest zone showed the most favorable result. Based on such results, total three kinds of renovation measures for urban ecological park considering the thermal environment were suggested. Through this, the urban ecology park renovation plans were presented in three way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a base material for creating an ecological park considering the thermal environment.

Designing a Decentralized Stormwater Management Corridor for a Flood-Prone Watershed using Surface Runoff Analysis (지표유출수 분석을 통한 상습침수유역의 분산식 우수관리통로 설계)

  • Lee, Seul;Lee, Yum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3 no.3
    • /
    • pp.13-26
    • /
    • 2015
  • Many urban areas in Korea suffer from repeated flood damage during intensive rainfall due to an increase in impervious areas caused by rapid urbanization and deteriorating sewage systems. A centralized stormwater management system has caused severe flood damage in an area that has proven unable to accommodate recent climate change and a rise in precipitation. Most flooding prevention projects that have been recently implemented focus on increasing drainage system capacity by expanding the size of sewer pipes and adding pumping stations in downstream areas. However, such measures fail to provide sustainable solutions since they cannot solve fundamental problems to reduce surface runoff caused by urbanization across the watershed. A decentralized stormwater management system is needed that can minimize surface runoff and maximize localized retention capacity,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drainage systems. This study proposes a stormwater management corridor for the flood-prone watershed in the city of Dongducheon. The corridor would connect the upstream, midstream, and downstream zones using various methods for reducing stormwater runoff. The research analyzed surface runoff patterns generated across the watershed using the Modified Rational Method considering the natural topography, land cover, and soil characteristics of each sub-watershed, as well as the urban fabric and land use. The expected effects of the design were verified by the retainable volume of stormwater runoff as based on the design applic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an open space network serve as an urban green infrastructure, potentially expanding the functional and scenic values of the landscape. This method is more sustainable and effective than an engineering-based one, and can be applied to sustainable planning and management in flood-prone urban areas.

Automatic Discharge Measurement Using the Velocity Index Method (유속지수법을 이용한 자동유량측정)

  • Kim, Chi-Young;Kim, Won;Lee, Chan-Joo;Kim, D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242-246
    • /
    • 2006
  •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유량측정 분야의 큰 변화의 방향은 자동화이다. 전자, 전기 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을 유량측정 분야에 적용하여 자동적으로 유량측정을 수행하고 실시간으로 모든 유량자료를 수집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최근에 초음파 유량계와 더불어 자동 유량측정 기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기법이 유속지수법(index velocity method)이다. 유속지수법의 원리는 매우 간단하다. 수위 기록을 통하여 수위-면적 관계로부터 흐름 단면적을 구하고, 임의의 영역에서 측정된 유속이 단면 평균 유속으로 환산될 수 있다면, 흐름 단면적과 평균 유속에 의해 연속적으로 유량을 구할 수 있다. 유속지수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전체 평균 유속을 대표할 수 있는 유속지수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유속지수법에 의한 연속 유량측정 목적으로 최근에 ADVM(Acoustic Doppler Velocity Meter)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ADVM은 수중에 초음파를 발사해서 산란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초음파의 주파수 편이, 즉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ADVM을 괴산댐 하류에 위치한 시험하천에 설치하여, 유속지수법에 의한 유량측정기법을 적용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유속지수법으로 측정된 유량을 괴산댐 방류량과 비교한 결과 평균 4.0%의 상대오차를 지니고 있어 비교적 정확한 연속 유량측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유속지수법을 하천 유량측정에 활용하면 보다 정확한 유량을 연속적으로 자동화하여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연계모형의 한계로 인하여 두 모형의 통합모형이 필요하다. 즉, 강우 혹은 월류유량으로 발생한 지표유량 중 일부분이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유입구 지점을 통과할 때 배수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고, 유입된 유량은 배수시스템 내의 흐름에 반영되도록 배수시스템과 침수해석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표면과 배수시스템에 대한 수리학적 관계를 정립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시스템 해석 모형과 도시침수해석 모형을 통합하고, 두 모형간의 유량의 전송과정을 수리학적 관계를 고려한 dual-drainage 도시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지역 배수시스템 해석 모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SWMM모형을 이용하여 지표면으로의 월류량을 산정하고 유입된 지표유량에 대해서 배수시스템에서의 흐름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침수해석을 위해서는 2차원 침수해석을 위한 DEM기반 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고, 건물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 지표류 유출 해석의 물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도시지역의 복잡한 배수시스템 해석모형과 지표범람 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로 인해 더욱 정교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범람 해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형의 개발로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 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 PDF

The Surface Temperature Environment Analysis after Cheonggye Stream Reconstruction using RS/GIS (RS/GIS를 이용한 청계천 복원에 따른 지표 열 환경 분석)

  • Jo, Myung-Hee;Kim, Sung-Jae;Jo, Youn-Won;Kim, Yeon-Hee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320-325
    • /
    • 2007
  • 인간의 보다 질 높은 생활관을 추구하기 위하여 친 환경적인 산업개발 및 환경 복원 사업에 대한 노력이 최근 들어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청계천을 대상으로 청계천 복원 전과 복원후의 지표 열 분포도를 작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청계천 복원 전${\cdot}$후의 지표 열 변화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지표온도와 현지 관측 자료인 AWS 자료와의 비교 분석을 수행하여 지표온도와 대기온도 차를 도출하였다. ASTER 영상 열적외센서(TIR) 와 GIS 를 활용하여 도시 지표면의 온도를 추출하고, AWS 기 상관측자료와의 상관성 분석 함으로써 도심의 지역적 인 지표 열 패턴과 국지적인 기후연구에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Relationship among Land Use, Vegetation and Surface Temperature in Urban Areas -The Case of Deagu City- (도시지역 지표온도와 토지이용 및 식생상태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의 경우)

  • Kim, Jae Ik;Yeo, Cha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8 no.2
    • /
    • pp.21-30
    • /
    • 2005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e a clear relationship among land use type, vegetation level and surface temperature. For this purpose, this paper presents series of spatial distribution maps of the three features obtained through the visual interpretation of digital images. The result of study tells us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vegetation level is very similar with that of surface temperature.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temperature and land use types, this study categorizes the eighteen urban land uses into 7-8 groups according to their average surface temperature. The Duncan test was conducted to categorize the land uses. The surface temperature of manufacturing related land use is the highest, semi-residential use is the next, non-residential land use is the next to the lowest, and the agricultural and forest land use is the lowest. This paper provides another strong evidence of the relationship by showing the regression result.

  • PDF

The Significance and Management of Hyporheic Zone (지표수-지하수 혼합대 의의와 관리 필요성)

  • Ko, Dongwoo;Lee, Nam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83-283
    • /
    • 2021
  • 혼합대는 지표수와 지하수의 수리적 교환이 일어나는 경계부로써 1) 수문학적 관점에서는 하도와 하상간의 물교환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다양한 물리적·화학적 작용이 발생, 2) 생지화학적인 관점에서는 하상 간극수 흐름에 의한 전이대(ecotone)를 형성하여 용존산소·영양물질·용존유기탄소의 이동뿐만이 아니라 지하수로부터 열에너지·무기염류의 공급을 유도하면서 높은 생지화학적 활동과 변환을 야기하는 산화·환원 반응구역, 3) 생태적인 관점에서는 저서생물과 지하 유기체종을 특징으로 하는 서식지이나 잠재적인 레퓨지움(refugium) 등의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다. 국내 하천환경의 생태학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지표수-지하수 혼합대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여전히 지하수의 이용 및 보전과 지하수의 안정적인 수량·수질 확보를 목표로 관리를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실질적인 지표수-지하수 혼합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현상의 이해나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상황이다. 지표수-지하수 혼합대에 관한 보고서, 논문 등을 종합하여 혼합대의 영향인자를 살펴보면 1) 수리수문 특성에는 수리전도도·하천 수위·하천 유속·하천수 수온, 2) 수질 특성에는 유기오염물질·영양염류, 3) 수생태 특성에는 대형무척추동물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지금까지 단일 연구분야의 접근방법으로 다양한 현장측정기법 및 모델링을 통한 혼합대 연구가 수행되고 있지만, 혼합대가 가지는 환경적 중요성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부족하고, 혼합대 내부에서 발생하는 복합적인 프로세스로 인해 전문가들조차 연구에 어려움을 가질 것이다. 지표수-지하수 혼합대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수리수문·수질·수생태 등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하여 학제간 융합연구를 통해 기초 데이터를 상호교환하고, 기존의 혼합대 조사에 부족한 부분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향후 하천 기저유출 및 혼합대 기초자료 구축, 혼합대 흐름 정량화, 하천복원사업에 의한 혼합대 영향 규명 등의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혼합대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 PDF

A Study on the Impacts of Changes in Road Traffic Conditions and Speed Limits on Traffic Flow and Safety (도로교통 여건과 제한속도 변화에 따른 교통소통과 안전에 관한 영향 분석 연구)

  • Nam sik Moon;Eon kyo Shin;Ju hyun Kim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3 no.2
    • /
    • pp.32-49
    • /
    • 2024
  •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impacts of road traffic conditions and speed limit changes on traffic flow and safety. Travel speed and moving speed were set as traffic flow indicators and'moving speed-travel speed',speed deviation, large speed deviation ratio, and number of conflicts were set as safety indicators, and the impacts of changes in road traffic conditions and speed limits on thes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speed limit had a significant impacts on the traffic indicators, bu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afety indicators. As a result of the statistical validity test, it was proven that the traffic flow index increases as the speed limit increases. However, although safety indicators often increase, their validity has not been proven statistically. Therefore, if the speed limit is set and operated by properly considering the traffic flow status according to various road conditions and changes in traffic volume, it can be said to match the speed at which drivers drive and improve traffic flow and safet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calculating the speed limit considering the traffic flow indicators and safety indicators presented in this paper and operating the speed limit according to changes in traffic volume will contribute to stabilizing the traffic flow on the r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