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 어메니티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Study on Selection of Restoration Model for Amenity Improvement of Urban River : Division of River Type (Ⅰ) (도시하천 어메니티 향상을 위한 복원모델 선정에 관한 연구 : (Ⅰ) 하천유형분류 기법 산정)

  • Han, Kwang-Doo;Byun, Keum-Ok;Sung, You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153-2157
    • /
    • 2009
  • 도시하천은 Eco-network의 근간이며, 하천을 통해 인간이 느낄 수 있는 정서적인 안정감, 친밀감, 쾌적함 등 어메니티의 모체로서, 최근 도심내 Open space로서의 위상을 높여가고 있다. 양재천을 위시하여 수원천, 전주천 등 지역을 대표하는 하천들이 자연형 하천으로 정비되어 하천 이용에의 관심이 고조되고, 청계천의 성공을 기점으로 하천의 친수공간으로서의 기능이 강조됨에 따라 도시하천에 대한 개발 요구도는 급속히 높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개발요구의 급속한 증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전과 이용이 상충하는 도시하천의 어메니티 향상을 위한 기준은 마련되지 않고, 일부 하천에서 이용과 관리의 효율성을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개발을 부추기게 되어, 오히려 어메니티 향상의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 특성에 적합한 어메니티 도입 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하천의 규모, 자연도, 이용지수를 기준으로 하천유형을 분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선진사례와 국내하천조사를 통해 지표요소를 분석하고, 분석된 지표요소에 따라 유형을 추출해내는 과정을 통해 하천유형과 활동유형, 도입시설간의 관계를 설정하여 도시하천 어메니티 향상을 위한 기준으로서 하천복원모델(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 Investigation of Structure and Meaning of Rural Amenity (농촌 어메니티 인식의 구조와 의미)

  • 조영국;박창석;전영옥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5 no.2
    • /
    • pp.157-174
    • /
    • 2002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perception of rural amenity which rural and urban residents have. Many Lickert scaled questions measure how much important the respondents think about the various items related to rural amenity respectively. It reveals that there is not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three upper dimensions composing the construct of rural amenity, historic-cultural dimension, natural environmental dimension and living condition dimension. This means that our respondents are not willing to pursue historic-cultural aspects and natural environmental aspects at the risk of living condition being able to enjoy comfortable and affluent opportunities. And also, this results reveals that people might have a quite different perception compared with academic discourse putting much weight on historic-cultural dimension and natural environmental dimension.

  • PDF

Exploration of Institution and Policy to improve Urban Amenity in Busking Culture (버스킹 문화의 도시 어메니티 저해 양상과 제도적 완화 방안 탐구 : 해외 정책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Lee, Jong-Hyo;Kim, Gwang-Jae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4 no.1
    • /
    • pp.1-16
    • /
    • 2020
  • Busking culture which is a element of Urban Amenities is spreading rapidly in the field of public art culture with the change of media environment. However, the lack of a proper institution and policy to manage the negative aspects of it continue to lower urban amenities and make the conflict among stakeholders. The study aims to increase the advantages from the domestic busking culture and derives suggestions to develop the institution and policy for the soft landing of the busking culture. Applied method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re an in-depth interview and overseas case analysis.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Stakeholders related to the busking culture in South Korea has presented very strongly and concretely in aspect of policy or institutional improvement.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oversea cases, the researchers have proposed three ways for settling down a proper busking culture: the busking permit system, the management system for professional buskers, and the civil complaint management system through time and noise restrictions.

An Analysis of Design Elements and Satisfaction on the Usability of City Squares - Focused on Gwanghwamun Square and Geumbit Square - (도시광장 설계요소 및 공간이용 만족도 분석 - 광화문광장과 금빛공원광장을 중심으로 -)

  • Choi, Yun Eui;Chon, Jinhyung;Lee, Jung A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2 no.6
    • /
    • pp.111-123
    • /
    • 2014
  • The city square is an important public open space for people. Being used for various activities, such as community gatherings, open markets, concerts, political rallies, and other events, many types of city squares are represented in a city. Nevertheless, most city squares are planned uniformly, lacking consideration for visitor behavior and use satisfaction. The study investigated the design factors and subcomponents influencing user satisfaction with different types of city squares. This study focused on the general city square in Seoul, including the grand public place (i.e. Gwanghwamun Square) and the neighborhood park (i.e. Geumbit Squa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linear regression and fuzzy theo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ve design factors of satisfaction with city squares are identified (Amenity, Usability, Spatial components, Culture, and Comfortableness). Second, Amenity, Comfortableness, and spatial components significantly affect user satisfaction with Gwanghwamun in that order. On the other hand, in Geumbit Square, Comfortableness, Amenity, Usability and Spatial components affect user satisfaction in a significant way, in that order. Third, cleanliness, a subcomponent of amenity, was ranked highest using the fuzzy theory function for satisfaction with Gwanghwamun Square. Otherwise, the prevalence of plants was ranked the highest on the Geumbit Square survey. The study compared design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in the public grand place and the neighborhood park. Th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designing and planning city squares to the satisfaction of their visitors.

The Role of Amenity in Determining Residential Preference of Creative Workers (도시 어메니티가 창의인력 거주지 결정에 미치는 영향)

  • Kim, Hyun-Woo;Lee, Du-Heon;Lim, Hee-S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11
    • /
    • pp.39-49
    • /
    • 2017
  • Opening of a new economic paradigm in the transition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human capital engaged in industry or occupation based on individual creativity is called creative workers. The workers of this kind regards 'quality of place', known as amenity, as an important factor in choosing a residential area. This paper analyzes how the effect of city amenity influences on residential preference of creative workers in comparison with production workers. First, as of 2014, the total number of creative workers are 5.73 million (23.2% of the total workforce), and more than half (58.6%) are concentr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Second, the excess residence rate of the creative workers (number of residents/number of jobs) is high in metropolitan areas. Third, when comparing with workers in productions sector, the selection of residence location for creative workers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certain city amenities such as education. The outcome of analysis is expect to be utilized as a preliminary work for making policies which promotes number of creative workers at the regional level.

Changes in Urban Scene Elements in the Pandemic (팬데믹 시대의 도시 씬 요소 변화)

  • Gu, Suna;Jang, Wonh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3
    • /
    • pp.262-275
    • /
    • 2020
  • Due to the pandemic caused by Corona 19, cities around the world have faced a change. As the global economic system weakens, localization is increasing in the product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In addition, consumption patterns have changed in urban where localization has been strengthened. As a result, the way physical places are consumed is also changing. Consumption of large multi-use facilities has drastically decreased, the speed of the collapse of the online and offline boundaries has been accelerated, and the consumption of amenities for sharing tastes has become more subdivided, specialized, and private. A big change also appeared in the urban scene, which is perceived as the concentration of urban amenities. Local scale and locality became important in the urban scene, and a new urban scene element called empathy emerged. Empathy aims to connect socially and emotionally to individuals consuming urban amenities. The pursuit of connectivity, taste consumption, and nostalgia. In this study, the space for cultural consumption based on empathy was named as empathetic space and the concept was explained. The importance of empathic space in the urban scene in the future post-corona situation was presented.

A Study on the Soundscape Design for the Creation of Sound Amenity in Urban Space -The role and the meaning of sound related sound environment in residential area- (도시공간의 쾌적 음환경 창조를 위한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 연구 - 지역의 음환경과의 관계에서 본 음의 의미와 역할 -)

  • Han Myung-Ho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509-514
    • /
    • 2002
  • 이 연구는 도시공간의 어메니티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운드스케이프(soundscape)에 관한 연구조사의 결과를 소개한다. 사운드스케이프 및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에 관한 개념과 사상을 고찰하고, 남원시의 사운드스케이프 조사를 예로 하여 지역에 있어서 음, 인간 및 환경과의 관계로부터 사운드 어메니티(sound amenity)를 실현하는데 있어서 음이 갖는 의미와 역할을 모색한다. 사운드스케이프 조사방법으로써 문헌조사, 필드조사 및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남원지역의 음풍경을 조사${\cdot}$분석하고, 그 시대적, 계절적, 시간적인 음풍경의 변화와 현상, 그리고 지역주민의 음에 관한 인식특성을 파악한다. 조사결과, 지역에 있어서 자연환경을 보존하고 축제등의 전통적인 생활문화를 계승하는 것은 지역의 사운드스케이프와 어메니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시공간의 사운드스케이프 연구는 이러한 일련의 조사연구활동 및 교육활동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활동과 여러 영역에서의 유기적인 교류활동이 이루어져야 쾌적한 음환경 창조가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alyzing Works from the Rural Amenity Design Competition (농촌어메니티 환경설계공모전 작품에 대한 내용 분석 연구)

  • Kim, Eun-Ja;Kang, Bang-Hun;Kim, Sang-Bum;Yoon, Hee-Jung;Lee, Jeung-Won;Lim, Chang-Su;Lee, Seu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92-92
    • /
    • 2009
  • 농촌진흥청에서는 농촌어메니티 자원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자원활용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자 2003년부터 농촌어메니티 환경설계공모전(이하 어메니티공모전)을 개최하고 있으며 2008년까지 6회의 공모전에서 166개의 입상작이 배출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수상 작품들을 통해 농촌어메니티 콘텐츠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실현가능한 농촌어메니티 환경계획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6년간의 공모전 수상작품을 중심으로 농촌공간, 생산물 및 특산물, 프로그램 등의 농촌어메니티 자원을 활용한 콘텐츠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으로 제 1회부터 6회까지의 농촌어메니티 환경설계공모전 수상작품 166점 중에서 내용이 간략하게 요약되어 있어 분석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입선작품을 제외하고 최우수상부터 특선까지 81개 수상작의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수상작들은 대부분 한 지역을 대상으로 어메니티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활용한 계획을 수립하고 있었으며, 설계의 배경 및 목적, 지역 주요자원 분석, 기본 구상, 세부계획, 프로그램 계획의 내용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 중 작품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는 설계 목적별 작품 분석결과 우선 계획의 공간적 범위에 기존 농촌의 주거지 등 마을을 포함하여 마을계획이나 생활개선의 내용을 담고 있는 작품들이 69점으로 전체 작품 중 85%를 차지하였으며, 마을과 프로그램상으로 연계는 하였으나 물리적 대상이 마을로부터 독립된 공원조성 등의 내용을 담은 작품이 12점(15%)이었다. 어메니티 환경계획의 목적과 목표는 각 작품들이 대부분 하나 이상의 목표를 설정하고 있었으며 주요 목적만을 중심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작품 패널 및 설명서의 초반에 명확하게 제시한 설계목적을 분석의 대상으로 살펴본 결과 67.9% 작품이 직접적으로 도시민 휴양 및 농촌관광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6.9%가 주민의 생활개선, 55.6%가 소득증대, 46.9%가 자연환경보전을 목적으로 설계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용된 주요 어메니티 자원을 분석한 결과 자연경관 26, 농특산물 21, 지명 14, 전통자원 13, 동식물 13점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제 농촌다움이 살아있는 농촌마을을 구현하고, 지속적인 농촌어메니티 자원의 활용체계를 수립하는데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