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시 농지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3초

도시지역내 농지소유자의 농지이용 의향 분석 - 서울특별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 (Landowner's views on their agricultural land uses in an urban area : The case of Seoul)

  • 황한철;박선용;최수명
    • 농촌계획
    • /
    • 제6권1호
    • /
    • pp.50-58
    • /
    • 2000
  • In spite of importance of the farm area in the city, the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strongly results in decrease of the farm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effective way of agricultural land uses by examining on the intention of the farmers based on the survey in Seoul area. The areas, the agricultural types, the landowner's ages, and farm land sizes, were surveyed and analyzed with respect to urban agricultural planning and land use planning. All the collected data were basically analyzed with Contingency Table and Chi-square Test using SAS statistical package. The structures of the intention of agricultural land uses were understood with the comparative analyses of the agricultural land owners, the agricultural land leaseholders, the areas, landowner's ages, farming types, and so on.

  • PDF

한반도의 다중시기 NDVI를 이용한 가뭄지수 적용성 분석 (Applicability Analysis of Drought Index using Multi-temporal NDVI in Korean Peninsula)

  • 신수현;국민정;이규성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4년도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3-208
    • /
    • 2004
  •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는 식생의 건강상태 및 농작물 생산량 추정등에 효과적인 식생지수로, 20년 이상 축적된 MOAA NDVI data의 경우, 식생의 시기적, 계절적 변화탐지가 가능해져 이를 바탕으로 한 가뭄지수들이 개발되어 가뭄 모니터링에 사용되어지고 있다 지난 2001년, 한반도는 기상관측 이래 90년만의 강수량 최저치를 기록하여 전국적인 대 가뭄의 피해를 입었으며, 특히 북한은 유엔이 선정한 가뭄에 가장 취약한 국가로 그로 인한 식량난이 더욱 악화되고 있어 가뭄에 대한 정보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94~2002년의 식물 생장기(growing season : 3~10월)동안 NDVI 10일 최대값 합성영상 (10-day maximum composite data)을 사용하여 남북한으로 나누어진 한반도를 대상으로 각각의 식생현황을 파악 및 비교하고, 산림, 농지, 도시지역별로 NDVI와 가뭄의 주원인인 강수량과의 상관관계로 그 효용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NDVI는 1~2개월 전 강수량의 영향이 가장 컸으며, 특히 농지지역에서의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 PDF

기후변화시나리오의 사회경제발전 양상을 고려한 행정구역별 도시성장 예측 (Urban Growth Prediction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Considering Social Economic Development Aspect of Climate Change Scenario)

  • 김진수;박소영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3-62
    • /
    • 2013
  • 토지이용과 피복 변화는 기후변화 영향을 증폭시키거나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와 함께 환경 변화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인자들이다. 따라서 기후변화시나리오와 일관된 토지이용 및 피복 변화 시나리오를 사용하는 것은 신뢰성 있는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IPCC의 5차 평가보고서에 제시된 RCP 시나리오의 사회경제 시나리오를 고려한 미래 도시성장을 예측 및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RCP 4.5와 8.5 시나리오의 스토리라인을 기반으로 토지이용 및 피복 변화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시나리오별 도시성장량은 지난 25년 간 1인당 도시면적과 GDP를 이용한 이중로그모델에 의해 도출되었다. 또한, 정부에서 제공된 미래 인구수 및 GDP에 의해 미래 도시 수요량이 추정되었다. 이렇게 추정된 수요량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해 작성된 도시성장확률지도에 의해 공간적으로 배분되었다. 그 결과, 도시성장확률지도의 예측 정확도는 89.3~90.3%로 높게 나타났고, RCP 4.5의 예측 정확도가 RCP 8.5 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2020년부터 2050년까지 도시지역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고, RCP 8.5 시나리오의 도시면적 증가율이 RCP 4.5 시나리오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도시지역의 면적 증가는 주로 농지면적 훼손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특히, RCP 4.5 시나리오보다 RCP 8.5 시나리오에서 농지뿐만 아니라 산지면적 훼손이 더욱 증가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농지와 산지의 면적 감소는 지방도시에 비하여 광역도시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기후 및 토지이용 및 피복 변화의 복합적인 쌍방향 영향을 정량적으로 밝힐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아산시 생태환경용량 평가를 통한 도시계획 활용방안 연구 - 생태발자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Utilization Plan and Assessment of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of Asan City - Focused on the Ecological Footprint Survey -)

  • 주용준;사공희;이상윤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23-532
    • /
    • 2017
  • 도시 및 환경문제는 인간의 과도한 활동으로 인한 귀중한 자원의 무분별한 남용과 생태계의 자생적 회복 속도보다 더 빠른 소비에서 발생한다. 이에 따라 도시 및 환경 분야에서는 생태계의 수용 능력 범위 즉 생태적 환경용량 내에서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계획과 실천 전략이 수립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산시를 대상으로 생태발자국 모델을 통해 생태적 환경용량을 산정하였다. 아산시의 2015년 생태발자국 및 생태적자는 각각 5.12(gha/인), -4.99(gha/인)로 산정되었으며, 2001년부터 2015년까지의 생태발자국 증가율은 81%이며 생태적자는 같은 기간에 190%로 급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아산시의 인구증가와 도시개발에 따른 자원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환경용량의 한계치에 영향을 주는 녹지와 농지, 습지 등의 생태적 공간의 감소는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아산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녹지와 농지, 습지 등을 보전하고 생태적 환경용량을 고려하여 도시개발 및 성장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아산시를 대상으로 환경용량 범위 안에서 도시 성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생태적자를 활용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춘천시 도시계획구역내 농지이용형태 분석 (Analysis of Land Uses at Urban Planning Area in Chuncheon-City)

  • 김기성;이병철;최예환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1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24-227
    • /
    • 2001
  • This research perfor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pattern of land-utilization of the city-planning districts in the area of Seo-myeon and Sinbuk-up, Chuncheon from 1975 to 1995. This research was peformed to suggest the efficient scheme to utilize the land and to preserve the high-quality land through analyzing the pattern of utilizing land, the natural conditions of location of land, and the present conditions of consolidation of the agricultural basis with the method, GIS.

  • PDF

대도시 주변 신개발지의 개발특성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를 사례지역으로 - (The Characteristics of Land Use Change at the Urban Fringe -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

  • 박선형;김재익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6-46
    • /
    • 2007
  • 도시의 외연적 확산은 도시 주변부의 농지나 녹지지역을 도시적 용도로 전환시킨다. 도시주변부의 개발은 도시기반시설의 설치비용 및 교통비용 등 여러 가지 사회적 비용을 수반한다. 도시의 확산과정에서 새롭게 개발되는 도시 주변부의 개발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합리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한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1990년과 2000년 사이 도시주변부의 신개발지를 대상으로 위성영상, 토지관리정보시스템, 인구 및 주택총조사 자료 등을 GIS로 구축 활용하여 토지이용전환에 영향을 주는 요인, 토지이용현황 및 공간적 분포, 개발 밀도 등을 중심으로 개발특성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대구광역시의 도시지역의 확장은 주거지 개발이 주도한 가운데 지역에 따라 산업단지 및 유통단지 등의 형태로 토지이용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도시개발의 입지, 규모, 밀도 등의 도시성장관리에 필수적인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 PDF

건물분포를 고려한 도시형태의 프랙털(Fractal) 해석 (Fractal Analysis of Urban Morphology Considering Distributed Situation of Buildings)

  • 문태헌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10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프랙털(fractal)이론을 이용하여 도시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특성을 반영하면서 도시형태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도시공간구조적 측면에서 그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프랙털이론은 단순히 사물이 공간상에서 차지하는 비율만을 대상으로 하는 밀도와 달리, 도시공간내부에 존재하는 사물들 간의 자기유사성(self-similarity )과 복잡함(complexity )을 양적으로 표현이 가능한 이론이다. 본 연구에서 도시의 형태는 프랙털차원(fractal dimension)으로 계산하여, 이론 적용의 타당성과 실제 도시형태를 비교분석해 보기 위해 도시화가 거의 완성된 북구주시(北九州市)와 지역 대부분이 농지로 구성되어 있는 신궁정(神宮町) 지역을 사례지역으로 하였다. 먼저 GIS 벡터데이터를 레스터데이터로 변환한 다음, 두 사례 지역의 프랙털차원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북구주지역은 분석면적에 따라 프랙털차원 값에서 차이가 발생하지만, 시전체가 프랙털형상이라고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신궁정 지역은 프랙털차원의 값이 작아 도시형상이 프랙털이라고 하기 어려운 결과가 도출되었다. 사례연구를 통해 프랙털이론이 도시형태를 정량적으로 측정 가능한 수단임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구성요소간의 유사성을 반영할 수 있으므로 유사한 도시개발패턴이 이루어지는 경계(예를 들면 도시와 농촌의 경계)를 찾는 데에도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국립공원 주변지역의 생태디자인 적용방안 연구 - 무등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f Ecological Design Strategies Around National Parks - A Case of Moodeungsan National Park in Korea -)

  • 정경연;변병설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9
    • /
    • 2016
  • 국립공원 주변지역은 도시확장과 개발로 인하여 야생동물들의 이동통로가 단절되고 서식지들은 작은 조각들로 파편화되었다. 서식지의 파편화는 야생동식물들의 교류감소와 근친교배로 인한 생물들의 다양성을 감소시켜왔다. 무등산국립공원 주변지역의 생태축을 파편화 시키는 주요 원인은 묘지, 산맥 절개지, 도로와 공공주차장, 농지에 의한 산지잠식, 도시기반시설, 송전탑, 도시지역 등이다. 국립공원 주변지역은 국립공원과 도시지역의 생태계가 서로 교류하며 공생할 수 있도록 생태디자인을 통해 연결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안성천 유역의 토지이용별 비점오염원 원단위 산정 (Estimating Unit Load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for Landuse Types in Anseongchun Watershed)

  • 황병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026-103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안성천 유역을 대상으로 토지지용별로 산지, 농경지, 도시지역을 표본지역으로 선정하여 비점오염원 원단위를 산정하였다. 그리고 강우시 유출수의 유출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는 유량가중평균농도를 산정하고, 유출오염부하량을 산정하였다. 유출계수가 높게 나타났던 1차 강우시가 2차 강우시보다 오염물질의 유량가중평균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토지이용별 산정결과, 농지와 산지 같은 비도시지역보다 도시 지역에서 강우 유출시 높은 농도의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OD 유출부하량은 산지, 농지, 도시 지역에서 1차 강우 시 각각 1,395kg/d, 1,623kg/d, 2,268kg/d로, 2차 강우시 각각 503kg/d, 512kg/d, 898kg/d로 산정되었다. 강우량 및 강우강도에 따라 토지이용별로 유출부하가 크게 다르게 나타났다. 토지이용별 원단위는 BOD 기준으로 도시지역이 72.7kg/ha/yr로 농경지(6.5kg/ha/yr)보다 12배 이상, 산지(9.5kg/ha/yr)보다 8배 이상 높게 나타나 도시지역이 비도시지역보다 단위면적당 비점오염부하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도시의 기존 대체농지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화성동탄 신도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ubstituted Agricultural Land in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 Focused on the Dongtan new town in Hwa-seong city -)

  • 김용수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51-5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and analyze the utilization of the substituted agricultural land in the Dongtan new town in Hwa-seong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respect of the land efficiency and utilization, the need of the agricultural land in the Dongtan has shrunk. Therefore, the land should be reconsidered and developed as other purposes. The land could be developed as the weekend farm for the city people. The weekend farm is currently gaining popularity because the citizens want to not only experience the nature but also get a healthy food. So, the land in the new town could provide them with a good place. And the Han-ok(Traditional Korean style housing) is recently in the limelight of many people because of its healthy function and the special aesthetic, so the agricultural land of Dongtan could be a great opportunity to develop the Han-ok village. Lastly, the logistics center for agricultural products could be proposed. Because the traffic condition of the new town is satisfactory, the land is idealistic as the logistics center which connect the capital with the local. These practical uses of agricultural land in the Dongtan new town will be able to provide opportunit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area and develop the land more efficie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