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 규모

Search Result 1,31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gglomeration Economies, Trade, And System of Cities : A General Equilibrium Approach

  • 권영각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6 no.2
    • /
    • pp.57-82
    • /
    • 1988
  • 본 연구는 도시규모 결정에 관해 수요 또는 공급측면만을 중시하는 재래식 접근 방 법을 통합, 개선하는 일반균형의 모형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국가 도시규모체계의 효율성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모형의 주요한 요소는 도시집적이익 및 불이익, 산업구조 그 리고 도시간 자원이동 및 무역을 통한 상호의존성 등이다. 엄밀한 이론적, 절대적 적정 도시 규모체계는 모든 도시가 완전자립 하에 단위도시 적정규모를 이루어 동일규모일 때 가능하 며 시민의 복지가 극대화된다. 그러나 실제 인적, 물적 이동성이 완벽하지 않은 현실 하에서 는 도시규모간 위계성이 생기게 되며 이는 도시간 무역을 가능케하여 상대적 도시규모의 적 정성을 대변해 준다.

  • PDF

An Investigation study on the case of large scale urban fire in japan (일본의 대규모 도시화재에 대한 사례 분석)

  • Kang, Seung-Goo;Koo, In-Hyuk;Shin, Yi-Chul;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460-465
    • /
    • 2010
  • 최근 우리나라는 고밀화, 대형화, (초)고층 도시공간에 살고 있으며, 방재도시가 확보되지 않은 곳에서 위험을 느끼며 살고 있다. 이에 따라 대규모 도시공간에서 화재리스크는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화재 발생시 도시공간내 사람은 생명의 위협감과 더불어 치명적 피해를 입게 된다. 또한 화재발생시 도시화재의 매커니즘으로 인한 대형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방재도시 구축에 대한 연구와 도시화재 매커니즘을 고려한 평가시스템이 미흡한 실정이다. 반면 가까운 나라 일본의 경우 이미 대규모 도시화재를 겪어본 바, 이에 대한 실험 및 연구를 토대로 이미 시뮬레이션과 방재도시 구축에 진행중이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일본의 대규모 도시화재에 대한 사례 분석을 하고, 우리나라 방재도시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Effects of Changes in the Optimal Population Density and Traffic Volume Impact of Urban Size (최적인구와 통행량분포가 도시규모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Yoo, Inhye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1 no.1
    • /
    • pp.21-42
    • /
    • 2015
  •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urban expansion and the 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can be achieved through new city development. The results show that regardless of the starting point (origin) or destination point, traffic increases closer to the origin for the purpose of transportation and decreases farther from the origin. However, traffic tends to increase in districts 20 to 40 km away from the origin. Hence, building a new city in this district may be effective in terms of geography and functionality.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ity Park Facility for the Korean Local Government (지자체별 도시공원 규모분석)

  • Lee, Kook-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13-11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16개 광역자치단체(시 도)별 문화시설중 도시공원에 대한 규모를 근린공원, 어린이 공원, 소공원, 묘지공원, 체육공원, 역사공원, 문화공원, 수변공원, 도시자연공원 등으로 구분하여 인구 및 기초지방자치단체 등의 규모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지역의 문화시설지수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광역지방자치단체별로 도시공원의 유형과 면적이 인구증가율과는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인구증가에 비례하여 도시공원 면적 확보율이 비례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향후 도시공원 정책 수립에 있어 인구증가율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Adopting Reinforcement Learning for Efficient Fire Disaster Response in City Fire Simulation (도시 화재 시뮬레이션에서의 효과적인 화재 대응을 위한 강화학습 적용 솔루션의 설계 및 구현)

  • Yeo, Sangho;Oh, Sa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104-106
    • /
    • 2021
  • 도시의 인구 밀집도가 증가함에 따라 도시의 단위 면적당 건물 밀집도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도시 화재는 대규모 화재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도시 내 대규모 화재로 인한 인명 및 경제적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기반의 화재 대응 방안들이 널리 연구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시뮬레이션에서 효과적인 화재 대응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강화학습 기술을 활용하는 연구들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시뮬레이션의 규모가 커지는 경우, 상태 정보 및 화재 대응을 위한 행위 공간의 크기가 증가함으로 인해 강화학습의 복잡도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학습 확장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 규모 증가 시 강화학습의 학습 확장성을 유지하기 위해, 화재 상황 정보와 재난 대응을 위한 행위 공간을 변환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기존에 강화학습 모델의 학습이 어려웠던 대규모 도시 재난시뮬레이션에서 본 기법을 적용한 강화학습 모델은 학습 수행이 가능하였으며, 화재 피해가 없는 상황의 적합도를 100%로 하고, 이것 대비 99.2%의 화재 대응 적합도를 달성했다.

Analysis of City Size Distribution and Spatial Structure - with Korean Metroplitan Statistical Areas (MSA) (한국 도시의 규모분포와 도시공간구조 분석 - 광역도시통계권을 중심으로)

  • Kim, Dong-Soo;Huh, Mun-Gu;Lee, Doo-Hee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1 no.4
    • /
    • pp.549-56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urban structure in Korea. Though there is research regarding urbanization, there is little regarding the urban structure of the Korean economy. In this paper, two issues will be discussed: the measurements of inter-city and intra-city structure in Korean Metropolitan Statistical Areas (MSAs), which is newly defined. First, the city size rank rule, widely known as Zipf’s Law, will illustrate Korean the inter-city structure. The city size rank rule gives an idea whether Korean MSAs are balanced or not. In general, Korea has a heavy concentration in the Seoul MSA in terms of population. It could be either that the Seoul MSA is too big or that the Busan MSA is too small or both. If this is the primacy problem, a decentralization policy is necessary. On the other hand, if it is a second city problem, development policies for the Busan MSA and Daegu MSA are more important. Next, the Korean intra-city structure will be discussed. The evolutions of the MSAs explain intra-city structure by analyzing population density function and the housing price function. Some large MSAs such as Seoul and Busan have experienced urban sprawl, while other MSAs have experienced urban concentration. The population density gradient by the distance from the ARC GIS shows the growth rate of a city. According to the Spatial Mismatch Index between population and employment, the Ulsan MSA, Gwangju MSA, and Suwon-Hwaseong-Osan MSA are more mismatched, while the Daejeon MSA and Incheon MSA are less mismatched. Therefore, these analyses of Korean urban structure are meaningful in developing regional policy.

  • PDF

Urbanization Economies and Urban Scale in China (중국의 도시화경제와 도시규모에 관한 연구)

  • Kim, Sang-wook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3 no.1
    • /
    • pp.145-166
    • /
    • 2009
  • This paper uses 192 urban data in 1990-2005, and Carlino model, estimate urban agglomeration economies, that is urbanization economies. The results of estimation of urban agglomeration economies suggests that the h value of 145 urban bigger than 1, and h value of 47 urban smaller than 1, that is most of urban has the positive urbanization economies. But the regional disparity is serious, Eastern region's urban agglomeration is obvious, and North-eastern region's urban agglomeration economies is not obvious, appears urban disagglomeration economies. For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urban agglomeration economies and urban scale, this paper tested the function of urban agglomeration economies. The results suggests that urban agglomeration economies and urban scale has not the inverse U-type function.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mpervious Area from Urban Watershed through Medium and Small Stream (중소하천을 통과하는 도시유역의 불투수면적 특성 연구)

  • Kim, Ik Hwan;Yang, Wan Seok;Song, Young Seok;Park, Moo 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82-582
    • /
    • 2015
  • 최근 하천에서 발생하는 침수피해는 대규모 하천보다는 중소규모의 하천이 전체의 약 50%이상 발생하고 있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량의 증가와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층의증가로 인하여 도시유역을 통과하는 중소규모 하천에서의 침수피해는 증가하고 있다. 특히, 도시를 통과하는 중소하천의 경우 강우발생시 짧은 도달시간으로 갑작스런 침수피해가 발생하며, 최근 급격한 인구의 증가, 산업화 및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도시유역의 유출특성이 변화되고 있다. 기존의 선행된 하천 연구는 주로 유역단위의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하천이 통과하는 도시유역의 경우 대부분 합류지점에 도시지역이 밀집되어 있어 하천유역을 기반으로 하는 도시지역의 구분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하천분류인 국가하천, 지방하천, 소하천에서 침수피해가 발생하는 지방하천과 소하천사이의 중소하천에 대한 구분 기준을 제시하고 중소하천의 유역의 불투수면적뿐만 아니라 하천 선을 중심으로 하천폭에 대한 불투수면적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PDF

Establishment of allowable flooding scale in urban basin in response to extreme precipitation caused by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의 극단화에 대응한 도시유역의 허용침수규모 설정)

  • Cho, Woncheol C.;Ahn, Jeonghwan 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75-75
    • /
    • 2021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현상의 극한화에 대응한 도시치수규모 설정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발생가능한 모든 강우상태를 강우지속시간과 강우량 매트릭스로 구성하고 모든 강우상태에 대한 침수규모를 사전에 산정한 후 도시침수 상태를 추정하는 2변수(강우량, 강우지속시간) 회귀식을 개발하였다. 치수규모 결정을 위해서 지금까지 사용해 오던 "발생빈도" 기준의 극치통계의 개념적, 공학적 의미를 재해석하여 물리적으로 의미가 있는 "침수 특성치" 기준으로 대전환하자는 것이다. 기술적으로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도시유역의 침수를 정량적(침수심, 침수면적)으로 모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침수상태의 기준이 될 침수특성치로는 관로첨두유출량, 최대침수면적, 침수총량, 평균침수심, 특정지점의 최대침수심, 특정지점의 침수지속시간 등 6가지를 선정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발생가능한 모든 강우상태에 대한 침수 발생 가능성을 점검하여 침수특성치를 분석하고 해당 유역의 "물리적/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사회적 합의"에 의해 "감당할 수 있는 피해의 정도"에 맞춘 도시유역 치수계획규모를 설정하는 방안을 확립하는 것이다. 또 결과로 구해지는 다음과 같은 형태의 유역별 침수특성치 산정식(2변수 회귀식)을 각 유역별로 구해 놓으면 기상예보(강우지속시간-강우량)에 따라 유역의 침수 특성치를 쉽게 추정하여 사전에 확립해둔 방재대책을 시행할 수 있게 한다.

  • PDF

A Study on the Change of Humidity by City Size in South Korea (한국의 도시 규모별 습도 변화에 관한 연구)

  • Ko, Myungchan;Lee, Seungho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8 no.1
    • /
    • pp.19-36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humidity by city size in South Korea. Using daily mean relative humidity and water vapor pressure during the period of 1954~2011 for 14 weather stations in South Korea, the change of humidity by city size was analyzed. The change of relative humidity had a continuous decreasing trend for the period of 1954~2011. The decreasing trend in large city was bigger than these of rural one. The seasonal relative humidity was significantly changed in spring and winter. The change of water vapor pressure was rarely changed significance of the results by city size. It was not shown the result to constant trend by city size.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lative humidity and mean temperature. And change of relative humidity was correlated with city size. Moreover, there was not correlation between relative humidity and water vapor pressure by city size. The decreasing trend of relative humidity was similar to increasing trend of temperature by urbanization. However, there was not shown significant result of water vapor press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