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홍수방재

Search Result 18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velopment of the Radar Precipitation Bais Correction and Precipitation Ensemble Generation Technique (레이더 강수자료 편의보정 및 강수앙상블 생산기법 개발)

  • Kim, Tae-Jeong;Kwon, Jang-Gyeong;Lee, Dong-Ryul;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7-17
    • /
    • 2017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적인 돌발성 위험기상 및 집중호우의 발생빈도가 증가로 인한 기상재해의 규모가 대형화되고 있다. 이러한 기상재해 및 위험기상의 대비를 위하여 시공간적으로 고해상도를 갖는 레이더 강수자료가 수공학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상레이더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수상체로부터 반사되는 반사도를 사용하여 강수량을 산정하므로 지상 강수자료와 시공간적 오차가 존재하며 레이더-반사도 관계식을 적용하더라도 과소추정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과소추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편의보정기법을 적용한 레이더 강수자료에는 여전히 관측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무작위 오차(random error)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소추정의 문제를 개선하고 레이더 강수자료의 시공간적 오차구조 규명이 가능한 정량적 강수량 추정기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다변량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레이더 강수자료의 시공간적 오차구조를 반영할 수 있는 무작위 오차(random error)를 확률론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레이더 강수앙상블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으로부터 생산된 레이더 강우앙상블은 통계적 효율기준 분석결과 우수한 모형성능을 확인하였으며 극치호우 및 강우시계열 패턴 분석결과 지상강우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재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시유역 및 미계측유역의 강우-유출모형에 입력 자료로 활용하여 홍수자료를 생산할 수 있는 레이더기반 홍수예보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Runoff Characteristics Change of a Basin under Urbanization (도시화 진행에 따른 유역 유출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 Son, Kwang-Ik;Kim, Min-Ch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4
    • /
    • pp.89-93
    • /
    • 2010
  • It is well known that the drastic change of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 urbanized basin causes severe runoff, sediment yield, and peak flow. High vulnerability of urban flood disasters is caused by land-use change and development of a basin. A typical site suffering urbanization was selected and the experimental site has being operated last three years. Hydrological and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urbanizing basin were examined by observation of runoff, sediment loads and precipitation with T/M. The effects of land-use change were analyzed by examination of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run-off ratio (runoff volume/rainfall volume), sediment yields. Runoff coefficient of rational equation was increased as basin was urbanized. Suspended sediment yields due to a urban development activities were raised almost 10 times compare to undisturbed condition for small runoff less than 1 cms. Meanwhile, no big change could be detected for bed loads.

A Study on the Interevent Time Definition(IETD) depending on the Population of Rainfall Data in Busan Metropolitan City (부산광역시 강우자료의 모집단 구분에 따른 무강우 지속시간(IETD) 분석 연구)

  • Baek, Jongseok;Cho, Hyoseob;Kim, Hyungsan;Kim, Jae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16-416
    • /
    • 2022
  • RCP(Representative concentrate pathways)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는 2100년까지 연강 강수량과 강우지속시간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에 도시지역의 하천 범람 및 내수 침수 예방을 위해 방재성늑목표의 상향조정과 방재 인프라의 설계년수 재조정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수재해 예방을 위한 강우설계기준에서는 무강우 지속시간의 설정을 확보할 수 있는 최대 규모의 모집단을 통해 산정하는 방식으로 제시되고 있어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특성의 변화가 반영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강우자료의 모집단을 10년, 20년, 30년으로 구분하여 자기상관계수(Autocorrelation coefficient, AC) 분석,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V) 분석, 연평균 강우사상 발생 개수(Average annual number of rainfall event, NRE)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자기상관계수 분석 방법과 변동계수 분석 방법에서는 모집단의 규모가 클수록 튀는 자료를 상쇄하여 안정적인 결과를 나타내는 반면, 연평균 강우사상 발생 개수를 확인 하였을 때는 대상기간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모집단의 규모가 클수록 무강우 지속시간이 길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어 기후변화로 인한 최근의 강우특성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모집단의 규모를 크게 잡는 것이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강우자료 분석 시 분석방법 및 모집단의 규모를 달리하여 무강우 지속시간을 산정해보고, 설계 목적에 따라 적정한 의사결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Analysis on the Effects of Disaster Mitigation Facility Using Debris Flow Numerical Model (토석류 수치모형을 이용한 재해 저감시설의 효과 분석)

  • Kang, Bae Dong;Jun, Kye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68-168
    • /
    • 2021
  • 기후변화로 인한 태풍과 국지성 집중호우의 발생 증가로 국토의 64%가 산으로 이루어진 우리나라에서 산사태와 토석류와 같은 산지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토석류는 물과 흙, 자갈, 유목 등이 계곡을 따라 이동하여 하류 지역에 위치한 주거 및 공공시설, 도로, 하천 그리고 인명에 피해를 입히는 자연재해이다. 본 연구대상 지역인 강원도 삼척시를 기준으로 2019년 10월에 발생한 태풍 '미탁'은 시간당 최대 110mm/hr, 누적강수량 487mm를 기록하였으며, 태풍으로 인한 강풍, 폭우, 홍수뿐만 아니라 산사태, 토석류와 같은 산지 재해로 사망 13명, 실종 2명, 이재민 910세대 1,442명의 인명 피해와 공공시설 1,835건, 사유시설 3,700건 등의 재산피해를 발생시켰다. 연구대상 지역에 높이 2m의 기설치된 저감시설이 있었으나 당시의 토석류 발생량을 저감하기에 규모가 작아 주택, 도로와 주민들이 있는 하류 지역에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 피해가 발생한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지역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획득한 실측 자료를 활용하여 Hyper KANAKO 모형의 입력 매개변수로 사용하였다. 실측 자료를 모형에 적용하여 최대 유동심과 유속이 발생한 지점을 분석한 후 기설치된 재해 저감시설과 동일한 제원의 재해 저감시설을 설치하였을 때와 재해 저감시설의 높이와 종류를 변경하였을 때를 비교·분석하였다.

  • PDF

Mapping and Evaluation of Flood Vulnerable Area by Logistic Approach (Logistic 접근법에 의한 홍수취약지구의 매핑 및 평가)

  • Lee, Jae Yeong;Keum, Ho Jun;Kim, Beom Jin;Kim, Hyun Il;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15-215
    • /
    • 2019
  •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에서 태풍이나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그 원인으로는 수공구조물의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강우, 도시지역 확장으로 인한 불투수지역의 확대, 배수시설의 용량부족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형도, 토양도, 토지이용도 등 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는 자료를 이용하여 홍수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기 쉬운 지역을 선별하고자 하였다. 우선 강우가 지표면에 도달하게 되면 지표면의 경사, 토양의 특성, 토지이용 등에 영향을 받아 침투되지 못하고 표면에 고이게 되는데 이를 유출생성지도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표면유출수가 지표면의 경사, 지표면의 요철(凹凸), 도로나 철도 등의 인공선형축 등에 영향을 받아 흐르기 쉬우며 이를 유출이동지도로 표현하였다. 또한, 이동된 유출수가 고이기 쉬운 저지대, 지표면의 요철 등으로 인해 누적되는 유출누적지도로 표현하였다. 유출생성지도는 이동, 누적지도의 입력자료가 되어 상류의 유출생성의 정도가 하류지역에 영향을 주도록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유출이 동지도와 누적지도가 실제 침수흔적도와 얼마나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서울시 침수흔적도와 비교하였다. 기존의 재해 지도를 얻기 위해서는 강우량을 조사하여 수치모형에 입력함으로써 1차원 또는 2차원의 침수예상도를 작성하는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지형 정보만을 가지고 취약지구를 선정하기 때문에 유역전체 또는 시, 도 단위로 광범위한 연구 영역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Spatial MCDM 등을 통해 여러 Raster 자료를 하나의 지표로 나타내기보다 유출수가 생성(또는 이동, 누적)되기 쉬운 지역을 1, 그렇지 않은 지역은 0으로 표현하는 이분법적 분석을 통해 가중치설정과 모호한 경계의 처리 때문에 사용자 및 자료에 따라 취약한 지역이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표면 유출수로 인해 침수피해가 발생하기 쉬운 지역을 홍수취약지구로 선정하여 침수재해 중점관리 우선순위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Runoff Analysis of Urban Area Using Urban Runoff Models (도시유출모형을 이용한 도시유역의 유출분석)

  • An, Sang-Jin;Kim, Jin-Geu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2 no.4
    • /
    • pp.479-488
    • /
    • 1999
  • The flood damage has being increased because of urbanization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 growth of population. Therefore, the hydrologic properties such as increasing the peak flow and decreasing the concentration time of the peak flow have been changed. Hence, the interest of an urban prevention against flood disasters has been centralized at the present da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uitable models to calculate the runoff characteristics from an urban basin. This study describes the properties of each urban hydrologic model and to determine suitable basin model using the ILLUDAS and SWMM models in the urban runoff models in the Yong-Ahm area at Chungju. The peak flow, concentration time and total runoff value of this area a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regard to calculated and real values. After obtaining values appropriated from the ILLUDAS and SWMM models using 5 rainfall events in this areas, the peak flows, concentration times and total runoff values are compared with real valu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ransport block of the SWMM is closely shown to real values.

  • PDF

Debris Flow Simulation using Predictive Rainfall Information(HQPF) (예측강우정보(HQPF)를 이용한 토석류 모의)

  • Oh, Cheong Hyeon;Kang, Dong Ho;Jeung, Se Jin;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36-336
    • /
    • 2020
  •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으로 전 세계적으로 태풍 및 국지성 집중호우가 급증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홍수피해와 2차 피해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서울 우면산, 춘천 마적산, 삼척 신남마을 등 토석류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여 많은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지역에서 강우량이 유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강우로 인해 발생하는 2차 피해인 토석류로 인한 피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9년 10월 토석류 피해가 있었던 삼척시 신남마을을 분석지역으로 설정하였으며, 분석에 이용된 강우사상은 실제로 피해를 일으켰던 태풍 '미탁' 사상과 기상청이 제공하는 정량적 예측강우(QPF)를 머신러닝의 XGBoost 기법을 적용하여 개발한 정량적 수문 예측 강우(HQPF)를 이용하였다. 강우-유출모형(S-RAT)으로 강우사상에 따른 유출량과 첨두유출량을 산정하였고, 모델 커플링 기법으로 2차원 토석류 수치모형(RAMMS)을 통해 토석류의 피해규모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An Application of Infiltration Facilities for Reducing the Runoff in the Basin (유출저감을 위한 유역내 침투시설의 적용)

  • Lee, Jae-Joon;Seol, Ji-S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3
    • /
    • pp.133-141
    • /
    • 2011
  • Urban development of basin causes increasing runoff volume and peak flowrate and shortening in time of concentration, which may cause frequent flooding downstream. An infiltration facilities are operated as a method of reducing flood discharge of urban rivers and peak flowrate. There are various types of infiltration facilities like infiltration trench and porous pavement. In this study, runoff reduction effect due to installation of infiltration facilities are performed and focused on $0.18km^2$ residential area of Ok-kye dong and $0.67km^2$ industrial area of Gong-dan dong in Gumi City. The analysis is fulfilled with comparison of total runoff volume and runoff reduction volume by using the WinSLAMM and the relation equation between area ratio of infiltration facilities and ratio of runoff reduction are derived and peak flow reduction effect for installation of infiltration facilities is analyzed.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al Risk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Using GIS (GIS를 이용한 환경 위험과 인구적 특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 Hwang, Seong-Nam;Cho, Chun-Ma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9 no.4
    • /
    • pp.1-10
    • /
    • 2011
  • This research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Scientifically Estimated Environmental Risks (SEERs) of floods, hurricanes and hazardous material releases,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most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household size, tenure at the present home) and SEERs of the two natural hazards (a flood and a hurricane). These results support Drabek's findings (1986) that people tend to underestimate or ignore natural hazards in selecting their residence regardless of age, household size, and house tenure. Educational attainment and yearly household incom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hurricane risk, but not with flood risk. By contrast, SEER of hazardous materials was correlated with al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entioned above. This result may show that those who are relatively poorer and have lower educational level tend to be limited to living in communities more vulnerable to human-made risk.

Introduction to the production procedure of representative annual maximum precipitation scenario for different durations based on climate change with statistical downscaling approaches (통계적 상세화 기법을 통한 기후변화기반 지속시간별 연최대 대표 강우시나리오 생산기법 소개)

  • Lee, Taesam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spc
    • /
    • pp.1057-1066
    • /
    • 2018
  • Climate change has been influenced on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which are major driving causes of flooding. Especially, most of extreme water-related disasters in Korea occur from floods induced by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However,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simulated with Global Circulation Models (GCMs) or Reigonal Climate Models (RCMs) are limited to the application on medium and small size rivers and urban watersheds due to coarse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s. Therefore, the current study introduces the state-of-the-art approaches and procedures of statistical downscaling techniques to resolve this limit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temporally downscaled data allows frequency analysis for the future precipitation and estimating the design precipitation for disaster pre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