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시한옥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44초

임대를 위해 변형한 도시형 한옥주거의 개조 특성 (서울 북촌 지역 튼 ㅁ자형 한옥을 대상으로) (Study of the Remodeling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Urban Housing for Lease (cases of an Open-rectangular plan in the Traditional Urban Housing Neighborhood of Bukchon))

  • 신예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906-6914
    • /
    • 2014
  • 본 연구는 전통적인 한옥의 주거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면서 동시에 현재에도 주거생활을 수용하고 있는 북촌의 도시형 한옥주거를 대상으로 하되, 한옥의 공간을 변형시켜 임대세대가 들어설 수 있도록 변형한 임대형 한옥주거의 개조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는 각 실이 구조적으로 서로 관련되어 여러 실과의 관계 속에서 그 위상이 정해지고 고유의 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전통주택의 공간변화와 현대 생활을 수용함에 따라 각 공간요소의 사회적 성격이 변화된 양상을 객관적으로 밝히기 위하여 공간구문론을 주된 분석방법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 임대형 공간으로 사용되기 위한 평면의 원형이 변형된 도시형 한옥의 경우, 수직적 증축 및 확장이 제도적으로 제한이 되어 있어, 기존의 도시형 한옥에서 수평적 변형 및 변용이 이루어졌으며, 주인과 임대인의 공간으로 구분되면서 마당과 대청의 위계변화 및 기존 주인공간의 사성이 강화됨을 확인하였다.

도시형한옥 밀집지역의 보존및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서성동을 중심으로- (Conservation of Hanok Houses and Urban Regeneration -a case study of Sosongdong in Taegu City-)

  • 황보봉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944-3949
    • /
    • 2014
  • 본 논문은 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동 일대의 도시형한옥 밀집지역을 대상으로 물리적 공간적 변화를 파악하고자 했으며, 특히 이 지역이 한옥주택들이 밀집된 지역으로서의 동질성과 연속성을 상실하고 해체되어 가는 그 과정을 살펴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도시환경을 열악하게 전환시키는 물리적인 행위 그리고 이에 연계된 행태적 변화는 기존 전통공간 구조의 파괴를 가져오고 결국 공존할 수 없는 상황이 연출되게 된다. 이 논문은 도시재생을 위한 전략으로서 한옥보존의 가치를 재고하고 구체적인 실천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법적 제도적 장치가 조성되지 않은 대구시 서성동의 사례를 중요한 학술자료로 구축하고자 했다. 역사적 환경에서 도시한옥이 지니고 있는 현대적 매력은 역사적 연속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도시재생을 위한 유효한 전략으로 판단된다.

국내 한옥마을의 도시화재 위험성 평가 - 북촌한옥마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ssessment of Fire Risk about Concentrated Area of Traditional Buildings in Korea - Focused on the Bukchon -)

  • 김봉찬;김동은;이주희;권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58-261
    • /
    • 2011
  • 본 연구는 일본의 도시화재 위험성 평가방법 중 도시방재 실무 핸드북의 재해위험도 판정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북촌한옥마을의 가회동 31번지일대 및 11번지일대를 대상으로 도시화재위험성 평가를 수행한 것으로서, 그 결과 A B구역에서는 도로폐색과 피난곤란으로 도시화재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C D구역에서는 목방건폐율 불연영역율 제외한 부분에서 낮은 위험도를 보였다.

  • PDF

청주 지역 도시한옥 거주자의 인식 조사 연구 (A Research on the Resident's Perception of Traditional Houses "Hanok" in Urban Area of Cheongju)

  • 민새롬;권순찬;김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91-98
    • /
    • 2012
  • This study is aimed to survey on the perception of residents about general contents and current status of urban traditional houses in Cheongju. A study on methods is using questionnaire which 12 items of attraction in Urban Traditional Houses and experimental study focusing on residents in Seowoon-dong and Seokgyo-dong where traditional houses are concentrated. As a result, residents of urban traditional houses were categorized 6 sectors, which 4 sectors of Seowoon dong and 2 setors of Seokgyo-dong, caused by the road construction. The urban spatial structures of these sectors are maintained, comparing with aerial photography on 1960's. And residents recognize eco-friendly attraction higher than awareness on traditionality, locality and aesthetic beauty. It is proposed to prepare political alternative about traditionality, locality and aesthetic beauty. Low awareness about traditionality and locality have influenced that residents hope the change of the traditional houses.

한국의 명소 (1) - 한옥으로 지은 관공서 '혜화동사무소'

  • 이용재
    • 건설안전기술
    • /
    • 통권44호
    • /
    • pp.32-37
    • /
    • 2008
  • 혜화동사무소는 한옥도 현대인의 생활과 업무를 담아내는 업무 시설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시도라 할 수 있다. 게다가 더욱 의미있는 것은 신축이 아닌 기존 한옥을 개조했다는데서 더 큰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혜화동사무소는 1940년대 지은 도시형 한옥을 2005년 연말 동사무소로 개조한 것이다. 선진화위원회에서 이 건물을 이달의 좋은 건물로 뽑은 이유는 "한옥이 많은 혜화동의 특성을 살려 전통문화의 얼을 잇고자 했던 지역주민들의 노력과 공무원들의 창의적인 생각이 있어 가능했다"고 평가했다.

  • PDF

1920년대 이후 돈화문로 일대 도시한옥주거지의 형성과정과 특성 - 봉익동, 권농동, 익선동, 낙원동을 중심으로 - (The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n Hanok Residential Areas around Donhwamun-ro)

  • 이경욱;김영수;송인호
    • 건축역사연구
    • /
    • 제31권1호
    • /
    • pp.61-76
    • /
    • 2022
  • Bongik-dong, Kwonnong-dong, Ikseon-dong and Nakwon-dong are areas around Donhwamun-ro in Seoul. These residential areas began to be developed collectively from the 1920s and the construction period was the fastest among hanok residences collectively formed in urban center. At that time, houses were developed with high density. In the 1920s, many medium-sized plots of less than 3,300m2 were distributed around Donhwamun-ro. Private developers such as Jeong Se-kwon(Konyangsa), Shin Tae-jong, and Yoon Heung-rim, who were active at the time, purchased medium-sized plots. Developers sold out the land directly or after constructing Hanok on the divided plot and then selling them. This method of developing hanok residences by private developers in the 1920s have influenced on hanok residences which began to be developed after the 1930s. Currently, many urban Hanoks still remain in areas around Donhwamun-ro. The initial aspects of the hanok development in the 1920s could be grasped through blocks, plot division, alleys, row house Hanok etc around Donhwamun-ro.

현대 거주공간으로서 도시한옥의 가능성 제안에 관한 연구 - 북촌 도시한옥의 재해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posal of possibility for the Tosi-hanok as contemporary residential space - Focused on the reinterpretation of the Tosi-hanok -)

  • 허혜림;임종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32-38
    • /
    • 2004
  • The value of the Tosi-Hanok have recently been appreciated and accordingly the resultant studies have actively been conducted. This is an attempt to probe our architectural type haying identity through our traditional architecture in Korean society that pursues only something new. But owing to the infusion of foreign cultures and modernization, the archetype of Korean-style house has either been damaged or indiscriminately transformed without the establishment of its proper norms. The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s has gradually increased, and accordingly effort to preserve Korean-style houses through legal regulations or systems have continually been made in terms of appearance or cityscape. For this reason, it is thought that it Is insufficient to present the direction or alternative to preservation in relation to the change or use of the interior space with the pattern of requirement for other programs other than dwelling.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original meaning of Korean-style house by highlighting the advantages of Tosi-Hanok and supplementing its disadvantage while accommodating the diverse requirement for programs as contemporary residential space. And it was intended to propose the model for Tosi-Hanok that accommodates social changes in content while maintaining its meaning by analyzing the Tosi-Hanok with a focus on interior space and preserving historical continuity on its basis.

전주 한옥마을의 도시재생사업이 지역변화에 미친 영향 (The Social and Economic Impact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Jeonju Hanok Village Area)

  • 김주영;허선영;문태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06-117
    • /
    • 2017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도시재생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며 그 중 전주 한옥마을은 지속적으로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되는 대표적인 도시재생사업지이다. 이에 전주 한옥마을의 관광객 수는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관광객 수가 급증한 만큼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상업화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체성이 상실되고 상업화가 진행되는 전주 한옥마을을 대상으로 도시재생사업이 실질적으로 도시재생에 미친 영향을 물리적, 경제적, 사회적 재생 차원에서 분석하여 전주 한옥마을의 관리 및 새로운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토지이용변화, 실거래가 변화와 SNS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 분석에서는 전주 한옥마을이 주요 도로를 중심으로 상업화가 진행되어 가고 있음을 파악했다. 급격한 상업화로 주민들의 생활공간이 관광객을 지원하는 상업공간으로 대체되고, 경제적 환경적 피해로 인한 거주 환경의 저하로 주민 이주를 초래하는 등 불합리한 현상이 속출하고 있다. 둘째, 경제적 분석에서는 2010년에는 도로에 따른 실거래가 차이가 없었으나 2016년에는 실거래가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관광객의 통행량이 많으며 주요 관광지와 인접해 있는 도로의 실거래가가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거래가 상승은 도시재생측면에서 긍정적 현상이지만 투자의 대상으로 인식될 우려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사회적 분석에서는 관광객들은 주요 역사 문화 관광지 보다 상업적인 요소를 더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관심 또한 많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한옥마을 상업화에 대한 의견도 많은 것으로 나타나 한옥마을의 정체성을 확립 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토지이용과 실거래가, SNS 자료를 중심으로 실태를 분석하여 전주 한옥마을 도시재생사업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국내 한옥마을의 화재위험성 평가 -북촌한옥마을을 중심으로- (Simulation Analysis for Fire Risk about Traditional Buildings in korea - Focused on the BukChon -)

  • 김봉찬;김동은;서동구;권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298-301
    • /
    • 2012
  • 지진의 발생과 함께 동시다발적으로 화재가 발생하여 도시화재가 발생할 경우 도시화재위험성 평가방안이 없는 우리나라는 막대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촌한옥마을을 대상으로 시가지화재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도시화재 위험성평가를 수행한 결과, A B구역 모두 60분을 기점으로 빠른 화재 전파양상을 보였으며, 120분경과 A구역의 80%, B구역의 50%의 건물이 전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