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paper provides a critical perspective in historic conservation with reference to Hanok (Korean Traditional Courtyard houses) built in central Taegu city, Korea. These Hanok houses began to emerge in the 1920s near the city castl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houses were shrewdly crafted into a small site in an urban context. Towards the end of 1980s, the demand for urban regeneration arose due to dilapidation of the timber structure and fire safety. Proposals were made to redevelop the areas, but they did not progress past this point. No attempts were made for conservation either and the urban fabric disintegrated continuously. The area is now largely unattended for conservation or redevelopment. This research intends to create an historic account of Hanok in an urban context for its enduring characteristics and historicity as charm and merit that deserve careful apprehension and conserva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conservation not only serves to gentrify the cultural disruption of the early 20th century but also contributes towards urban regeneration.
본 논문은 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동 일대의 도시형한옥 밀집지역을 대상으로 물리적 공간적 변화를 파악하고자 했으며, 특히 이 지역이 한옥주택들이 밀집된 지역으로서의 동질성과 연속성을 상실하고 해체되어 가는 그 과정을 살펴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도시환경을 열악하게 전환시키는 물리적인 행위 그리고 이에 연계된 행태적 변화는 기존 전통공간 구조의 파괴를 가져오고 결국 공존할 수 없는 상황이 연출되게 된다. 이 논문은 도시재생을 위한 전략으로서 한옥보존의 가치를 재고하고 구체적인 실천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법적 제도적 장치가 조성되지 않은 대구시 서성동의 사례를 중요한 학술자료로 구축하고자 했다. 역사적 환경에서 도시한옥이 지니고 있는 현대적 매력은 역사적 연속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도시재생을 위한 유효한 전략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