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연구

Search Result 12,16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Plan of Graffiti Utilization as Convergence Design on Urban Cultural Contents (그라피티(Graffiti)를 활용한 도시 문화콘텐츠 융합 디자인 방안)

  • Lim, Byung-W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7
    • /
    • pp.397-402
    • /
    • 2016
  • This study discusses on the city-culture contents convergence design strategy which can be linked to the identity of the city through applying the graffiti on old-town of Dongducheon. First, the background and cultural asset of Dongducheon were researched. Second, the places revealing the identities were investigated. Third, the interviews with the college students in the city were performed. As the result, we found that using graffiti gains positive reaction as the reinforcement factor for the city identification. The exotic image made up by US military presence is evaluated 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city identification. The Rock Festival is a representative cultural event derived by the cultural influence from the US military and is one of the crucial elements for the city identification. In this study, graffiti was proposed as the visual expression which can be harmonized with this culture and be reinforced for the city identity. Results of the study concludes with the strategy for the application of graffiti with the expectation for the improvement of city image of Dongducheon through the change of identity, urban regeneration, and making of pollution-free culture.

Correlates between Urban Land Use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Characteristics and Energy Consumption - A Case of Busan Metropolitan Area (토지이용 및 제조업 특성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과의 상관성 분석 - 부산광역도시권 사례를 중심으로)

  • Lee, Yun Ju;Choi, Yeo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9 no.5
    • /
    • pp.637-645
    • /
    • 2019
  • Global warming and a new energy policy request the energy saving and pollutant emission control in municipal level. Previous studies focus on transport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ich can easily meet the policy goal by reducing it. This study expands the area of urban energy planning to the industries and land use which takes up most of energy use of the city. We empirically study the Busan metropolitan area's 5 years natural gas and electricity consumption data by the industries and land use. Results show that energy usage significantly depends on not only population but also urbanizing intensity and industrial category. This paper address that the policy maker need to pay attention on energy usage pattern of each sectors during the planning.

Implications and Roles of Blockchain for Smart City (스마트도시에서 블록체인이 갖는 함의와 그 역할)

  • Cho, Jaewoo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7 no.2
    • /
    • pp.35-48
    • /
    • 2021
  • Modern cities are changing to 'smart cities' dramatically with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Among these technologies blockchain is unique because it not only embraces technological innovation but also societal revolution. Therefore, blockchain is expected to play a pivotal role for contributing comprehensive development of smart city. The current research and policy atmosphere in Korea, however, is that blockchain is just a new technology and its broader impacts are overlooked. This study argues that blockchain has significant effects on smart cities not only from technological perspectives but also from social, economic, institutional, governmental perspectives. Further, this study suggests three categories that blockchain can help the development of smart city: technology, socio-economic, and governance, with examples of existing blockchin projects. However, these projects have been builting separately without any interaction under the common hood of 'smart city'. To emhance influences of blockchain on smart cities in positive ways, private companies, policy maker, and citizend are supposed to consider and discuss about publi sector's blockchain that is commonly used in at the smart city level.

Urban Flood Modeling with Anisotropic Porous Shallow Water Model (비등방 다공성 2차원 천수모형을 적용한 도시홍수 모델링)

  • Kim, Byunghyun;Kim, Hyun Il;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14-414
    • /
    • 2020
  • 고전 천수방정식을 적용한 2차원 도시홍수 모델링에서는 지형의 정확한 반영을 위해 고해상도 격자가 요구되며 이는 많은 계산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최근에는 다공성 천수방정식을 적용한 도시홍수해석으로 많은 계산 노력이 요구되는 도시홍수모델링의 한계를 극복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도시 홍수에서 흐름이 공간적으로 변화할 때 불균일 공극이 존재하므로 격자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이러한 불균일성을 해결하고자 하는 등방성 천수모형의 적용에서 시작되었다. 하지만, 등방성 공극을 고려한 도시홍수 해석모형은 대표요소체적(REV)보다 더 큰 격자의 적용을 해야 하는 제한성을 가진다. 반면, 비등방성 공극은 대표요소체적의 적용이 필요하지 않아 불균일 공극의 크기에 관계없이 이론상으로는 동일한 해상도의 격자가 사용가능하긴 하지만, 실제 도시홍수 해석에서 중요하면서도 도전적인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홍수의 효율적 계산을 위해 비등방성 공극을 고려한 적분형 다공성 천수방정식을 기반으로 하는 2차원 도시홍수 해석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의 개발을 위해, 적용 격자내에서 도시지역의 건물이 차지하는 길이 및 면적을 산정하고 그 값을 2차원 천수방정식에 적용 가능하도록 체적공극(𝜙j)와 면적공극(𝜓k)을 2차원 고전 천수방정식에 추가하였다. 개발모형은 고전 천수방정식, 등방성 공극 고려(미분형 다공성) 천수방정식 및 비등방성 공극 고려(적분형 다공성) 천수방정식의 적용이 가능하여, 각 모형에 적합한 2차원 격자 생성, 각 모형의 매개변수를 보정 그리고 정확성, 효율성, 적용성이 비교 가능하다. 각 모형의 정확성과 효율성 비교를 위해 3가지의 오차 비교 (구조적 오차, 격자크기 오차, 공극 모형 오차), 계산시간 비교, 공간 변동성 검증을 위한 수심 종단형상 비교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ort Urban Regeneration Recording Elements (항만도시재생 기록화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 Do-Gyun Kwon;Woo-Kwon Ch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8 no.1
    • /
    • pp.441-470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documentation elements that can effectively recor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ocusing on port cities, in line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order to develop recording elements, elements that need to be recorded were derived from eight fields, including geographical information, industrial information, and legal and administrative changes, from the Urban Regeneration Act, Port-related Act, and Urban Regeneration-related research.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targeting 20 expert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to gather their opinions on elements derived from the Urban Regeneration Act, Port-related Act, and related research, and 32 final elements were derived. The recording elements for each selected area are geographical information(6), immaterial information(4), environmental maintenance(5), industrial and economic primary and secondary industries(2), and industrial and economic tertiary industries(3), changes(6), member participation(4), local legal and administrative systems(2). In addition, the applicability of urban regeneration documentation elements to local government records management experts was verified.

Hydrologic Monitoring and Complement for Urban Sub-drainages (도시하천 소배수구역 수문 모니터링 및 운영보완)

  • Han, Myoung-Sun;Kim, Chung-Soo;Kim, Hyou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714-718
    • /
    • 2008
  • 최근 다양한 기상 이변과 해수 온도 상승으로 인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국지성 집중 호우 및 돌발홍수는 각 유역 특성별 수문 기초자료의 축적 및 분석을 더욱 요구하고 있다. 또한, 수문현상은 시간과 공간에 따른 큰 변동성을 가지고 있어 규명하기 복잡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산악지역이 많은 우리나라의 지형학적 특성과 최근의 집중 호우 특성 등으로 인하여 이러한 변동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집중 호우시 인명과 재산의 피해가 더 가중되는 도시 지역은 더욱더 중요하다. 도시지역의 수문 모니터링이 부족한 실정을 고려한다면 도시하천별, 소배수구역별 수문 관측 및 자료 분석이 절실하다. 우리나라 주거지역의 토지이용 형태를 반영하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도시하천 수문 모니터링시스템 운영 및 자료 축적, 제공이 필요하다. "도시홍수재해관리기술연구사업단"에서는 도시하천 유역의 수문현상 규명을 위한 기초 정보 축적을 위해 중랑천 유역에 시험배수구역(신내1 배수구역, 군자 배수구역, 어린이대공원 배수구역)을 운영하여 수문 관측 및 자료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 시험유역의 운영 결과와 미흡한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보완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도시하천 시험유역 운영시 인식해야할 중요한 사항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도시하천 시험유역 선정 및 운영, 수문자료 분석에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iversifica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y Regional Characteristics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도시재생사업 다각화 방안)

  • Cho, Seung-Yeoun;Chun, Ji-Young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2 no.2
    • /
    • pp.137-143
    • /
    • 2011
  • This study focused o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o diversify projects methods. Since the enactment of legal redevelopment projects, they were concentrated on improving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supplying housings. In this article, 12 cities' urban regeneration policies and projects will be examined to point ou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s via documentary studies and interview investigations. They could be divided into 3 groups by population and region. Finally, this article is intended to propose diversified regeneration methods depending on the regions and to address implications on the regeneration policies.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ervice model of facility in urban (지능형 도시시설물 공간정보 모델)

  • Kim, Eu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9.04a
    • /
    • pp.315-316
    • /
    • 2009
  • 급속도로 발전하는 정보통신 기술과 함께 유비쿼터스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비쿼터스 기술은 도시정보 서비스에 대한 새로운 기능을 제시하고 있다. u-City는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서비스를 도시공간에 융합하여 도시생활의 편의 증대와 삶의 질 향상, 체계적 도시 관리에 의한 안전보장 등 도시의 제반기능을 혁신시킬 수 있는 차세대 정보화 도시이다. 성공적인 u-City 건설을 위해서는 기존 지자체GIS 서비스를 확대한 지능형 도시공간정보의 개념이 필요하며, 이를 기반으로 한 효율적인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다양한 분야에서의 도시공간정보에 대한 연계통합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도시공간정보의 효율적 활용과 상호운용성 기반의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연계통합을 위한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연계통합 모델'을 제시하도록 한다.

  • PDF

Analysis of Safety Zone through Spatial Query of Urban Spatial (공간질의를 통한 도시공간의 안전구역 분석)

  • Kim, Dong-Mo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a
    • /
    • pp.400-403
    • /
    • 2011
  • 다양한 특성의 도시공간의 확장은 경제 활동의 활성화는 물론 도시공간에서의 범죄발생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민의 생명과 재산보호, 사회질서유지 등을 위한 각종 대책과 경찰의 역할을 확대되고 있으나 효율적인 범죄예방 활동이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범죄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도시공간에서의 범죄가 발생하는 공간에 대한 패턴을 이해하고 분석하여 도시 내 안전구역을 분석하여 GIS 공간분석기법의 효용성을 나타내었다.

  • PDF

대덕에 연구학원 도시 건설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6 no.7 s.50
    • /
    • pp.5-6
    • /
    • 1973
  • 정부는 충남 대덕군 유성 탄동 구즉면 일대에 인구 5만을 수용하는 7백만평 규모의 연구학원도시를 건립키로 확정발표했다. 지난 6월 26일 과학기술처가 발표한 연구학원도시 건립계획에 의하면 이 도시는 대전 서북쪽 8km 지점에 위치하며 산업기술개발을 위한 선박연구소 주물기술센터, 정밀기계 센터, 정밀기계 설계 및 가공센터, 해양개발연구소 등 5대 연구기관을 비롯, 서울시에서 이전이 불가능한 12개 국립연구기관을 중심으로 건설될 뿐아니라 충남대학교도 옮겨 건설되는 방대한 규모로 74년부터 8년에 걸쳐 완성, 76년부터는 연구활동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 과학기술처가 발표한 연구학원도시건설계획은 다음과 같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