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성장경계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Impacts of Urban Growth Boundaries on Urban Density and Sprawl : A Comparative Approach (도시성장경계가 도시 밀도와 도시 스프롤에 미치는 영향 : 비교 연구)

  • Pettygrove, Magaret;Hwang, Chul-Su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6 no.5
    • /
    • pp.549-558
    • /
    • 2010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ve impacts of urban growth boundaries(UGBs) on metropolitan growth patterns in the United States over a period of time. Through statistical analyses, we evaluate the extent to which UGBs affect the density of residential development in metropolitan areas with UGBs. We also attempt to understand the overall impact of UGBs and the importance of UGBs relative to other determinants of urban growth patterns. Our works found that urban growth patterns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cities with UGBs and cities without. UGBs have significant causal effect on urban housing and population densities, but are relatively less important than other factors. This implies that there are factors affecting the variation for which the given data cannot account. Despite the limitations of the data, the findings of this analysis suggest that UGBs have some positive effects on curbing urban sprawl.

  • PDF

Temporal Urban Growth Monitoring using Landsat Imagery and Pycnophypactic Interpolation Method - The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 (Landsat 영상과 Pycnophylactic 보간 알고리즘에 의한 도시성장 분석 - 서울-경기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

  • 장훈;박정환;손홍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91-198
    • /
    • 2003
  • 서울은 인구 1000만이 넘는 세계적인 대도시로 발전하였다. 1970년대 이후로 급속적인 경제발전과 더불어 서울의 도시화는 급속히 이루어졌으며 이에 따른 인구집중 역시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그 주변 도시를 대상으로 인구자료와 행정구역도 그리고 Landsat 위성영상을 사용하여 인구밀도의 변화에 따른 도시의 성장형태를 분석하여 도시의 관리와 발전계획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도시성장 분석을 위한 기존의 연구방법은 행정구역에 따른 인구밀도를 통해 수행되었으나 이는 행정구역 내에 일률적인 인구데이터의 분배로 실제 경우와 다른 해석이 가능할 수 있는 오류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질적인 대부분의 인구가 도시지역에 거주한다는 가정 하에 1985년부터 2000년까지의 5년 간격의 Landsat 위성영상을 사용하여 도시지역을 추출하고 이를 기초로 행정구역 내에 포함되어 있는 도시지역에만 인구를 배분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인구밀도의 변화 추이를 나타내었다. 연구결과 기존에 방법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던 서울의 확장형태를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인구데이터의 경계현상을 Pycnophylactic 보간 알고리즘을 통해 제거함으로써 보다 실질적인 도시지역 인구밀도의 변화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인구밀도의 변화는 도시의 성장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기 때문에 이를 통해 서울 및 주변도시의 성장 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4장의 서울-경기 도시지역의 인구밀도 변화도를 제작하여 GIS를 이용한 관련 분야의 활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Housing Policy Model ing and Verification for the City Government of Cheongju Based on Urban Dynamics (Urban Dynamics이론에 기초한 청주주택정책의 모형과 검증)

  • 김성환;이만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ystem Dynamics Society
    • /
    • 2002.11a
    • /
    • pp.1-30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주시의 주택문제에 대한 특별한 해결책을 논의한다기보다는 문제를 바라보는 새로운 프로세스를 형성하여 도시내부 문제해결을 위한 UD 모형을 적용하고 검증하는 것이다. 모든 도시는 성장과 쇠퇴의 주기가 있듯이 청주라는 공간도 현재의 물리적인 경계를 유지하면서 영원히 성장할 수 없으며, 성장의 한계에 이르게 되고, 시스템 내부의 피드백구조의 역동성에 의해 동태적인 균형상태를 지향하게 된다. UD 모형을 통해서 본다면 청주의 경우도 향후 50년간은 인구, 주택, 산업 모든 측면에서 성장을 이루게 될 것으로 보인다 2055년 이후에는 그 증가율이 정차 감소하여 균형상태를 유지하게 되다가 한 시점에 이르러서는 내부 stock 변수들의 인과관계에 의해 청주의 매력도는 주변지역으로 이전되게 될 것이다. 거시적으로 보았을 때 청주의 경우도 적정수준에서 이러한 추세를 따라가기 때문에 청주시의 UD 적용의 유용성은 입증되었다고 말할 수 있겠다. 더불어 민감도 분석에서 사용한 변수들의 조정에서 나왔듯이 주택과 관련된 정책을 펼칠 때, 시스템 내부적인 변수를 조정하는 정책을 펼쳐 나갈 때 청주라는 공간은 주택분야뿐 아니라 도시전체시스템의 동태적 균형상태를 유지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건축탐방(13) - 서울(하)

  • Son, Se-Gwan
    • Korean Architects
    • /
    • no.9 s.365
    • /
    • pp.43-79
    • /
    • 1999
  • 서울은 600년이 넘는 역사와 전통을 간직한 우리 나라의 심장이자 얼굴이 되는 도시이다. 그러나 지난 30년간의 급격한 개발시대를 거쳐오면서 고도로서의 문화적 향기를 상실하였고, 매력과 특징이 없는 도시로 빠르게 변해가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이는 다가올 21세기가 서울의 정체성과 고유성을 더욱 필요로 할 것임에 비추어 더욱 그러하다고 할 수 있다. 서울은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세계에서 그 유래를 찾기 어려운 급격한 변화를 보인 도시이다. 서울의 도심부를 둘러싸고 있는 북악, 인왕, 낙산, 남산은 옛 모습을 지니고 있으나 그 내부는 과거의 모습을 찾기 어렵고, 다만 현대적인 모습만이 흘러 넘치고 있을 뿐이다. 또한 서울은 물리적으로 엄청나게 성장하여 그 경계를 찾기 어려운 도시가 되어버렸다. 따라서 서울은 밝고 번영하는 모습과 어둡고 불합리한 모습이 공존하는 이상한 도시로서 인식되고 있다. 서울을 현재의 모습과는 전혀 새로운 환경으로 개발하고 보존할 수 있는 대책과 계획이 더욱 필요한 때이다. 공공과 민간 그리고 시민이 참여하여 600년 고도의 역사성이 드러나고 걷고 싶고 인간적인 분위기를 간직하며 다양한 기능과 형태가 조화롭게 공존하는 도시로 가꾸어갈 수 있는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이번 특집에서는 서울을 대상으로 하여 그 역사적인 흔적과 오늘의 모습 그리고 미래의 대안을 회고하고 진단하며 모색하는 기회를 갖기 위해 여러 전문가들의 글을 마련하였다.

  • PDF

지역건축탐방(13) - 서울(상)

  • Son, Se-Gwan
    • Korean Architects
    • /
    • no.8 s.364
    • /
    • pp.71-100
    • /
    • 1999
  • 서울은 600년이 넘는 역사와 전통을 간직한 우리 나라의 심장이자 얼굴이 되는 도시이다. 그러나 지난 30년간의 급격한 개발시대를 거쳐오면서 고도로서의 문화적 향기를 상실하였고, 매력과 특징이 없는 도시로 빠르게 변해가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이는 다가올 21세기가 서울의 정체성과 고유성을 더욱 필요로 할 것임에 비추어 더욱 그러하다고 할 수 있다. 서울은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세계에서 그 유래를 찾기 어려운 급격한 변화를 보인 도시이다. 서울의 도심부를 둘러싸고 있는 북악, 인왕, 낙산, 남산은 옛 모습을 지니고 있으나 그 내부는 과거의 모습을 찾기 어렵고, 다만 현대적인 모습만이 흘러 넘치고 있을 뿐이다. 또한 서울은 물리적으로 엄청나게 성장하여 그 경계를 찾기 어려운 도시가 되어버렸다. 따라서 서울은 밝고 번영하는 모습과 어둡고 불합리한 모습이 공존하는 이상한 도시로서 인식되고 있다. 서울을 현재의 모습과는 전혀 새로운 환경으로 개발하고 보존할 수 있는 대책과 계획이 더욱 필요한 때이다. 공공과 민간 그리고 시민이 참여하여 600년 고도의 역사성이 드러나고 걷고 싶고 인간적인 분위기를 간직하며 다양한 기능과 형태가 조화롭게 공존하는 도시로 가꾸어갈 수 있는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이번 특집에서는 서울을 대상으로 하여 그 역사적인 흔적과 오늘의 모습 그리고 미래의 대안을 회고하고 진단하며 모색하는 기회를 갖기 위해 여러 전문가들의 글을 마련하였다.

  • PDF

Defining boundaries of urban centers and measuring the impact for diagnosing urban spatial structure (도시 공간구조 진단을 위한 도시 중심지의 경계 설정 및 영향력 측정에 관한 연구)

  • Ho-Yong Kim;Jisook Ki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7 no.1
    • /
    • pp.52-66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patial system and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center by deriving the boundaries of the urban center set in the urban basic plan for Busan Metropolitan City and diagnosing the role and status of the center. To this end, four indicators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 were select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the boundaries of the center were derived using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s with strengths in geographical boundary analysis. Then, using the indicators of center characteristics and population potential functions, we diagnosed the influence and potential of each center in the spatial structure of Busan Metropolitan City.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cale of the centers varies greatly, and the unutilized areas where commercial areas are not activated and the expansion areas that spread beyond commercial areas to residential and industrial areas are different for each urban center. The results of the potential measurement, which indicates the attractiveness of the center, also showed areas with strong and weak population potential. Therefore, systematic management and strategies based on the hierarchical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measurement results are needed to strengthen the function of urban centers. The results analyz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source for responding to various urban planning needs and policy changes in the future, along with station area development plans and spatial innovation zones for building a sustainable urban growth system, balanced development, and strengthening the function of centers.

Temporal Urban Growth Monitoring using Landsat Imagery and Pycnophypactic Interpolation Method - The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 (Landsat 영상과 Pycnophylactic 보간 알고리즘에 의한 도시성장 분석 - 서울-경기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

  • Chang, H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1 no.2 s.25
    • /
    • pp.17-28
    • /
    • 2003
  • Since 1970s, Seoul Metropolitan Area has been growing in physical and demographic aspect. A number of new urban fringes, New City, had been particularly developed from the early of 1990s. To examine the urban growth, the population density maps are generally used to the efficient urban management tool. The density maps from political boundaries, however, were traditionally used to estimate an urban concentration, there is problems to apply directly to urban management decision making due to (i) the abrupt changes between boundaries and (ii) the inclusion of green areas and forests in these areas. The mass-preserving interpolation method, the Pycnophylactic interpolation, could provide more realistic density maps. In addition, the classified urban areas from satellite images corresponding years would turn out to be more reliable results since populations were only applied to urbanized areas. Even though the Pyconophylactic method makes the density larger, it would be useful to produce a general urban growth trend at large scale. Consequently, four different density maps are compared and reviewed for this study, and the cross-sectional analysis provided to glimpse of population density around the city center.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face Space through Architecture Surface (건축 외피에 의한 인터페이스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Hwang, Sun-Ah;Kim, Jong-Gu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4D
    • /
    • pp.509-521
    • /
    • 2009
  • In modern society the architecture surface involves a lot of meaning other than having simple physical functions. The interface space generated by the surface characteristics among those becomes to have many significances in modern society, and plays a role of symbolic space of a city. The interface space is threshold space that connects two separate spaces and revitalize its states. Nowadays, people have many chances to communicate each other through the interface space and also settle urban problems caused by spacial and functional discontinuity through the interface space. However, the interface space in Korea could not be built up well due to rapid growth of cities, and a lot of different natures in space and viewpoint have been appeared accordingly, which gives rise to a problem of the discontinuity of urban spaces.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the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face space through architecture surface composing the major factor of a city; architecture integument in Nam-po Dong, Jung Gu, Busan City as the object of the study.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서 스마트시티 그리고 디지털 사이니지 테코레이션

  • Yu, Seung-Cheol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7 no.4
    • /
    • pp.79-90
    • /
    • 2022
  • '스마트 기술(smart tech)'과 '도시화(urbanization)'라는 두 메가트렌드(megatrends)를 융합해 탄생한 스마트시티(smart city)가 전 세계적인 화두다. 스마트시티의 성장 가운데서 핵심적인 요소가 바로 '도시의 다양한 요소가 미디어(媒體, media)의 기능을 하는 커뮤니케이션이 중심이 된 도시'라는 점이다. 특히 메타버스 기술이 스마트시티에 접목되고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초월'이라는 의미의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인 메타버스(Metaverse)는 1992년 닐 스티븐슨(Neal Stephenson)의 소설 《스노우 크래쉬》에서 유래한 개념이라고 알려져 있다[1]. 메타버스는 정의하는 연구자에 따라서 크게 다르지만 흔히 '가상의 것(virtual thing)'으로 한정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메타버스가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적 측면에서 오프라인의 현실과 온라인의 비현실 모두 공존할 수 있는 생활형·게임형 가상 융합 세계라는 의미로 보다 광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스마트시티의 변화를 보면 도시 운영이 고도로 지능화되고 다양한 콘텐츠가 증강되면서 <<도시 공간에서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 구분>>을 파괴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는 과거와 다름없이 물리적 도시 공간을 걷고 있지만 이제는 지형지물과 연결된 공간정보를 스마트폰으로 확인하고 또 도심의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를 통해 실시간 공공 및 상업 정보에 항시적으로 접하고 있다. 도시의 지향점으로 간주되는 스마트시티는 이제 일종의 '도시민 생활 플랫폼'으로 메타버스 기술과 융합 콘텐츠를 통해 도시민의 생활을 촘촘하게 연결한다. 본고에서는 '스마트시티가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 기능하는 현상'을 '테코레이션(Tecoration: Technology + Decoration: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통한 도시 공간구축)'이라고 명명하려고 한다. 본고는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서 스마트시티 그리고 디지털 사이니지 테코레이션'을 주제로 '디지털 사이니지가 만들어 가는 스마트시티의 소통'과 관련된 주요 이슈를 다루려고 한다.

Urbanization and Population Distribution in North Korea : A Comparison to South Korea (북한의 도시화와 인구분포 : 남한과의 비교)

  • 김두섭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8 no.2
    • /
    • pp.70-97
    • /
    • 1995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trend of urbanization and population distribution in North Korea. Although North Korean data lack comparable details,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comparison of urban system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North Korea, the pace of urbanization was most rapid just after the Korean War, from 1954 to 1960. However, the pace slowed down markedly in the early 1970s and has remained sluggish since then. North Korea is currently much less urbanized than South Korea. As specific features of urbanization in North Korea, emergence of new cities along inland borders, prominence of intermediate-sized cities, and sudden population growth of major cities due to boundary expansion are stressed. Available demographic data also indicate an overwhelming primacy of Pyongyang Municipality in the urban system, and rapid growth of satellite cities in the west-central region. It appears that, in North Korea, urbanization process has been a product of the government's development policies rather than individual's socioeconomic motivation to migrate urbanward. Finally, migration issues after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related problems are discussed in this stud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