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시경제

검색결과 1,840건 처리시간 0.025초

공공-민간합동복합도시개발본격착수

  • 김소진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198호
    • /
    • pp.24-27
    • /
    • 2006
  • 인천, 아산, 대전, 광명 일대에 도시의 향연이 시작됐다. 각 도시마다 경쟁력 제고와 도약을 위한 발판으로 복합 도시 개발이 떠오르고 있다. 대한주택공사와 토지공사,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등 공공기관이 시행을 하고 민간 건설업체와 금융사들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사업을 추진하는 형태의 민간 합동 복합 도시 개발이 본 괘도에 올랐다. 지역의 프리미엄을 높이고 도시의 기능을 재생시키는 복합 도시 개발의 현장을 살펴보았다.

  • PDF

미국 텍사스주 러벅시의 도시 구조와 지속가능한 도시 재생 (The Urban Structure and Sustainable Regeneration in Lubbock City, Texas)

  • 전경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848-863
    • /
    • 2014
  • 최근에는 도시의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조화를 주제로 하는 문화 역사 정체성 생태 중심의 지속가능한 재생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도시 재생의 기반이 되는 도시 구조는 배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 목축 지역을 배경으로 성장한 미국 텍사스주 러벅시의 도시 구조, 도시 및 재생 계획 분석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도시 재생에 접근하였다. 러벅시는 1950년대에 기존의 약 300%나 되는 시역 확장에도 불구하고, 1970년대 이후 남서부 및 서부로의 부유층 이전과 함께 도심 쇠퇴가 심화된다. 1980년대부터 주민 중심의 재개발을 위한 조직체가 구성되고, 민관기업 중심의 재생 계획 및 시행이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도시 재생 관점, 도시 전체와의 연계라는 측면에서 지속 가능한 도시 재생 전략을 도출하였다.

  • PDF

프랑스의 거버넌스형 도시재생 추진기구로서 ANRU의 특성과 시사점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ANRU as a Governance-Type Urban Regeneration Promotion Organization in France)

  • 박원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24-336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프랑스의 거버넌스형 도시재생 추진기구인 ANRU의 특성을 살펴보고, 국내 도시재생사업에 활용 가능한 정책적 시사점을 살펴 보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프랑스에서는 국가차원의 거버넌스형 도시재생 추진기구로서 ANRU가 설립, 운영되고 있으며, ANRU는 중앙주도형 도시재생 추진기구이지만, 다양한 도시재생사업의 주체들이 참여하는 거버넌스 방식의 운영을 지향한다. 둘째로, ANRU는 PNRU, NPNRU, PNRQAD 등 3개의 도시재생 프로그램을 전국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행정 및 재정지원을 통해, 사업지구 내 주거환경의 개선, 도시기능의 다양화, 경제 개발, 사회적 다양성 증대 등을 도모하고 있다. 셋째로, 국내의 도시재생사업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으로, 도시재생사업의 효과적인 추진과 가시적 성과를 위한 국가차원의 거버넌스형 도시재생 추진기구의 필요성, 자치단체 간 연대의 필요성, 다양한 차원의 민관 파트너십 활용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사무입지에 관한 도시#{\cdot}$경제지리학적 연구동향과 과제 (A Review on the Urban-Economic Geographical Research of Office Locations)

  • 안영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29-248
    • /
    • 2002
  • 사무활동은 (후기)산업사회로의 발전도정에서 도시의 주된 경제활동이자 핵심 고용원으로 등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도시권의 경관과 공간구조를 형성하고 재편하는데 중요한 동인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그 동안 도시 및 경제지리학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져온 사무활동의 입지에 관한 연구동향과 접근 방법론을 개관하는 동시에, 기존 연구의 문제점을 살펴보는데 있다. 아울러 사무입지의 주요 전개패턴과 그 변동양상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정리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최근 들어 다소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는 사무입지에 관한 연구의의를 다시 한번 환기시키며, 장래 전망을 비판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PDF

광역 도시계획 시설의 조성을 위한 국내외 도시 간 협력 방향에 관한 연구 (City-to-City Cooperation for the Megacity-Region Infrastructure and Planning)

  • 조유정;채얼;강동완;김도년
    • 국제지역연구
    • /
    • 제20권2호
    • /
    • pp.195-214
    • /
    • 2016
  •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도시 간 연계는 산업적 여건을 기반으로 한 경제적 요구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국제적 가치실현에 대한 고려와 국내외 수요와 여건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경제뿐만 아니라 환경과 사회적 측면을 포괄하는 방안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환경적인 문제는 개별 도시의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지방정부 간의 협력이 중요하다. 국내에서는 도시 간 복합적인 이해관계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도시 간 연계가 추진되고 있다. 도시 간 연계는 서로 다른 도시 간 교류에 의해 창조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촉매 작용을 하고 있으며, 그 목적과 과정 및 결과가 도시의 환경 사회 경제적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도시 간 연계의 사례를 환경 사회 경제적 가치를 추구하는 유형별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이를 통해 도시 간 연계의 중요성에 대해 환기(喚起)하고 성공적인 도시 간 연계 실현과 활성화를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사업의 유형별로 성공적 도시 간 연계를 달성하기 위한 방향 설정에 길잡이가 될 수 있다.

해외 부동산 개발형 도시재생사업의 사업구조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Project Scheme of Property-led Regeneration: Focused on Cases of London and Tokyo)

  • 조승연;주관수;김옥연;김주진
    • 토지주택연구
    • /
    • 제5권4호
    • /
    • pp.281-290
    • /
    • 2014
  • 본 연구는 영국과 일본의 부동산 개발형 도시재생사업의 사업구조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국내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연구이다. 부동산 개발형 도시재생사업은 1980년대의 신자유주의의 영향에 따라 등장한 사업수법으로 규제완화 및 공공지원과 민간주도의 거점 개발방식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효과를 도모하고자 하는 방식이다. 특히 2000년대에 진행되고 있는 부동산 개발형 도시재생사업으로 영국의 스트라트포드 및 킹스 크로스, 일본 오오테마치와 시노노메 지구의 사례를 통해 국내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사례별 도시재생사업의 추진체계, 참여 주체별 역할, 공공의 지원 등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사업방식 측면에서는 국가적 대원칙에 따른 '선택과 집중'을 통한 국가적 자원의 효율적 배분, 추진체계 측면에서 토지 소유자등 직접적인 이해당사자 외에도 공공개발기관, 민간개발업체, 지자체, 국가, 관계기관 등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거버넌스 체계의 구축, 기반시설 정비에 대한 공공의 지원이 공통적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상의 부동산 개발형 도시재생사업에서 공공의 직접적인 사업시행은 감소하였으나 규제완화를 통한 민간자본 유치, 지역의 경제적 성장, 고용창출 등의 측면에서 효과적인 수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공공시행자 및 지방정부의 역량강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코로나19 팬데믹 경기침체와 회복력의 지역적 특성: 도시 고용위기와 회복을 중심으로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OVID-19 Pandemic Recession and Resilience: Focusing on the Urban Employment Crisis and Recovery)

  • 임석회;송주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81-298
    • /
    • 2022
  • 코로나19 팬데믹은 지금까지 다른 어떤 감염병과 비교될 수 없는 큰 충격과 공포를 전 세계에 주었으며 지역경제는 그에 따른 심각한 경제적 위기를 경험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경기침체와 회복력의 지역적 특성을 전국 85개 도시의 고용 변동 상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도시 고용의 전반적 추세는 전국적 고용 지표와 동조화 하고 있는지만 개별 도시의 충격 반응과 고용 회복에는 차별성이 존재한다. 충격 반응단계의 저항력보다 백신이 개발되고 그 실체가 점차 알려져 공포가 진정된 회복단계의 복구력에서 도시 간 차별성이 더 크게 나타난다. 복구력에서 수도권 도시들이 비수도권 도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한 특징은 보인다. 인구밀도가 높은 서울 등 대도시들의 복구력이 약한 것은 감염병이라는 코로나19 팬데믹의 효과라고 할 수 있다. 도시의 경제구조와 관련해서는 서비스·판매직 종사자 비율과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비율이 복구력의 설명변수로 유효한 것으로 분석된다.

호주의 창조도시 개발사업에 관한 연구: 멜버른의 맬버농시를 사례로 (Developing Creative Cities in Australia: A Case Study on the City of Maribyrnong, Victoria)

  • 신동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30-641
    • /
    • 2016
  • 호주 멜버른지역에 소재한 맬버농은 작은 시급정부로, 시 정부 주도로 과거 군수산업용지를 정화하여 주택지구로 재개발하였고, 도시기반시설을 정비하여 경관을 개선하는 한편, 도심을 활성화하고 있다. 도심의 빈 점포를 임대하여 대학 캠퍼스를 조성하고, 도심에 Little Saigon이란 베트남 촌을 조성하는가 하면, 빅토리아 대학과 연계해서 창조산업 관련 창업보육사업을 통해 기업유치 및 기업육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사례에 기초해서 볼 때, 호주는 창조도시사업을 통해 사회 경제적, 도시경관적 여건을 개선하는데 성공하고 있으며, 그러한 과정에서 대학과 각급 정부, 그리고 시민단체의 역할이 큰 것으로 파악된다.

우리나라 광역시 인구규모의 적정성 분석 (Analyzing an Optimality of Urban Population Size for Metropolitan Area of Korea)

  • 박주형;김의준;최명섭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87-497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의 소득 및 지출함수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7대 광역시의 인구규모가 적정 수준에 있는 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효용극대화 가계와 이윤극대화 생산자 문제의 균형인구를 완전경쟁조건으로부터 도출한 결과, 최적인구 규모는 도시의 기술수준 및 공공서비스 수준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각 도시의 인구규모 수준을 살펴보면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등은 과밀한 것으로 광주, 대전, 울산 등은 과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