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서관 평가지표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7초

대출 기록에 기초한 대학 도서관 도서 개인화 추천시스템 개발 및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ersonalized Book Recommendation Systems in University Libraries Based on Individual Loan Records)

  • 홍연경;전서영;최재영;양희윤;한채은;주영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13-127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 도서관 사용 증진을 위하여 개인별 맞춤 도서 추천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사용자의 아이템에 대한 선호도가 존재하는 다수의 추천시스템과는 달리, 선호도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 도서 추천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인 도서관 이용자의 도서 대출 목록과 성향을 활용하여 평가지표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용자가 아직 읽지 않은 책에 대한 예상 선호도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도서를 추천하는 행렬 분해 방법인 Singular Value Decomposition(SVD)과 Stochastic Gradient Descent(SGD) 알고리즘을 활용한 모델을 구축했다. 더불어 유사도가 높은 이용자 그룹 내의 도서 대출 목록을 참조하여 추천하는 사용자 기반 협업 필터링 알고리즘을 활용해 모델을 구현했다. 최종적으로 평가지표를 활용한 세 가지 모델에 대하여 사용자 평가를 진행했다. 각각의 모델이 제시한 개인별 맞춤 도서 다섯 권의 목록을 해당 대출자에게 제공하고, 추천 도서에 대한 만족/불만족 여부를 이진화 점수화하여 모델에 대한 평가를 진행했다.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이론적 고찰 (An Analysis of the Impacts of School Library on Student's Learning)

  • 권은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51-469
    • /
    • 2009
  • 본 논문은 학교도서관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이론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학교도서관의 학습효과의 유형과 평가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학교도서관의 효과를 질적인 측면에서 연구한 "National Power" 연구, "스코틀랜드 연구", "오하이오 연구", "델라웨어 연구"를 분석하였다. 이들 연구는 학교도서관의 효과를 교육목표-학습경험-측정지표라는 틀을 이용하여 측정, 평가하였다. 학교도서관의 교육목표와 학습경험 영역은 기본적으로 Bloom의 교육목표분류와 Kuhlthau의 정보탐색 모형에 기초하여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으로 구분되었으며 상호작용 영역이 추가되었다. 학교도서관 평가연구의 초점은 투입과 산출에 대한 측정에서 교육적 효과와 이익으로, 제공자 중심의 평가에서 수혜자인 학생 중심의 평가로 바뀌고 있으며 도서관의 교육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조사방법으로는 사례연구, 질문지 조사법, 관찰, 면담, 핵심그룹 토론, 활동일지 분석 등이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 PDF

Web 정보서비스 평가를 위한 기존 측정지표 분석 I (Analysis of Quality Measurement & Evaluation Index in applying Web Information Service I)

  • 유사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33-156
    • /
    • 2000
  • 본 연구는 국내 Web 정보서비스 측정기준과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일차 연구로, 국내 Web 정보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를 대상으로 기존의 온라인 검색환경의 측정기준과 평가지표의 적용문제를 사례연구로 분석한 것이다. 실제 검색실험을 통해 평가내역을 조사하고 기존방식과 기준이 Web 정보 서비스 평가적용에 어떤 문제점을 갖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조사함으로써, 현재 디지털도서관의 정보서비스의 주요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Internet 정보자원의 품질과 연계 지어 국내 Web 정보서비스 평가를 위한 지표개발(이차연구)에 필요한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함을 목적으로 한다. 최종 이용자인 수요자 관점에서 디지털도서관 QIS의 조건으로 정보 자체보다 더욱 강조되고 있는 정보 서비스의 품질을, 탐색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내 환경공학 Web 사이트만을 엄선하여 진단하고 최종 이용자들을 상대로 설문 조사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 수단효율성관련 경영평가기준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riteria for the Management Evaluation Related to the Means-Efficiency of Public Library)

  • 정원주;홍현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03-221
    • /
    • 2017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지속적 발전과 공공성이라는 가치달성을 위해 공공도서관의 수단효율성과 관련하여 경영평가기준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민간기업의 경영분석에 대한 이론검토와 그로부터 도출한 분석틀을 이용하여 수단효율성 평가기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선방향은 첫째, 성과의 개념에 충실한 효율성측정의 지표가 다양하고 충분히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일정기간의 투입 대비 성과를 나타내는 동태자료가 부족하여 동태자료로 구성된 평가지표를 보다 많이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장기정태자료는 고정자산 등의 장기적으로 사용 수익되어지는 비용으로서 일정기간의 비용에는 포함 되지 않지만 투입자료로서 유용하다. 이는 완전한 회계를 통해서 반영될 수 있다.

대학도서관의 BSC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ying the BSC for University Libraries)

  • 조윤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41-262
    • /
    • 2006
  • 오늘날과 같이 급변하는 환경 하에서 대학도서관이 유기적 조직으로써 다양한 변화에 신축적으로 적응하면서 조직의 총체적인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자원을 중심으로 한 양적평가와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질적평가 이외에도 자원 활용의 효율성이나 효과성, 서비스의 제공 능력이나 조직구성원의 잠재능력 등 경영전반에 걸친 균형적인 성과측정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Kaplan과 Norton이 개발한 BSC 모형을 비영리조직인 대학도서관에 적합하게 수정하여 고객, 자원, 내부 프로세스, 학습 성장의 네 관점으로 그 모형을 개발하고, 각 관점별 전략에 대한 전략지도와 측정지표를 개발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에 전략적 계획과 균형성과표를 연계하여 적용함으로써 대학도서관 조직의 전략적 계획에서 성과까지의 전체적이고 포괄적인 그림을 제시하는 전략적 통합 경영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학도서관의 역할변화에 관한 사서의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Librarians' Perception about the Changing Role of University Libraries)

  • 노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27-25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이 급격한 환경변화 속에 있는 대학의 환경을 반영하고, 정보기술의 발전을 반영함으로써 대학을 리드하는 기관으로서 우뚝 서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대학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 사서는 대학도서관과 관련된 빅이슈가 "대학도서관진흥법", 대학도서관 평가 및 평가지표, 대학에서의 대학도서관의 가치, 대학도서관의 공간구성 및 기능변화라고 하였고, 대학의 환경변화, 정부의 대학에 대한 정책, 각종 국책사업, 각종 구조개혁이 대학도서관에 영향을 상당히 미친다고 하였다. 둘째, 대학도서관 사서는 도서관의 역할 변화로 학생의 정보자원 및 기술의 활용능력 향상, 학생의 독서능력 향상, 대학구성원의 연구능력 향상, 대학구성원 학습역량 향상 등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하였다. 셋째, 대학도서관 사서는 이용자가 대학도서관에 가장 높게 요구하는 서비스를 전자책 및 정보자원의 확대 등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대학의 학술논문 연구업적평가기준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Universities' Journal Publication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Standards)

  • 이혜경;양기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95-322
    • /
    • 2017
  • 본 연구는 보다 효율적이고 균일하게 교원의 연구업적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현재 국내 대학의 교원업적평가 기준과 한국연구재단의 연구업적평가기준, 그리고 여러 계량서지학 지표를 비교하여 국내의 교원연구업적평가 방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국내 대학 27곳의 교원업적평가기준과 한국연구재단 연구업적평가기준을 수집하였으며, 183명의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수의 2001년부터 2015년 사이 발표된 학술논문 3,863편과 16,978건의 인용을 수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우선 현재 시행중인 국내 대학의 연구업적평가지표들을 비교 한 후, 대학지표들과 저자기여도 산정식을 가중한 계량서지학적 지표들을 수집한 데이터에 적용하여 산출한 저자와 대학별 순위들을 분석하였다. 국내 대학의 연구업적평가지표는 연구업적의 생산성과 영향성을 고루 평가하고자 하였으나, h-index처럼 이와 유사한 계량서 지학 지표와 다른 평가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평가지표가 평가결과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정보공유공간의 품질 측정지표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Developing a Measurement Tool for the Quality of Information Commons)

  • 박지홍;기선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5-25
    • /
    • 2012
  • 본 연구는 정보공유공간의 품질 측정지표 개발을 위한 설문항목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정보공유공간은 도서관 이용자들이 다양한 교육, 연구, 문화 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물리적, 기술적, 지적 공간으로, 최근 도서관 이용자간의 지식 공유와 상호관계를 장려하기 위하여 인기를 얻고 있다. 또한 정보공유공간은 협업활동, 학습, 휴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장점과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명확히 정보공유공간의 품질에 대한 측정도구가 없다. 여기에서는 도서관 이용자의 정보공유공간에 관한 인식과 정보공유공간에 대한 인지된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추출하기 위하여 심층면담, 선행연구 대조 및 사전조사를 수행하였다. 선행연구와 설문 초기 아이템은 분류와 클러스터링을 통하여 데이터 내의 주요 개념이 도출되었다. 그 후 사전조사를 통하여 예비 설문문항의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연구의 의의는 도서관 서비스 품질평가에 대한 연구의 영역을 확장시키고 이용의도를 고려한 새로운 평가 체계를 제시한 점이다.

U-도서관 적정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 대전 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ite Selection of U-Library: Focused on Daejeon Area)

  • 김영주;권선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21-14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 지역의 U-도서관 적정입지를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및 국내의 U-도서관 현황 분석을 통해 적정입지선정을 위한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의 위치, 제안위치와의 반경, 지하철역별 수송실적, 관공서·교통시설·편의시설, 주요시설의 현황, 지역구별 거주인주수 등을 분석, 적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이를 종합하여, 대전 지역의 5개 자치구인 대덕구 2개, 동구 2개, 서구 4개, 유성구 6개, 중구 2개 총 16개의 U-도서관 위치를 제안하였다.

사서직무만족도 평가요인의 변화추이 분석 (An Analysis of Changes and Trends in Evaluation Criteria for Librarians' Job Satisfaction)

  • 도혜진;김현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29-252
    • /
    • 2017
  • 국내에서 사서직무만족도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직무만족 평가지표 자체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대부분의 직무만족도 평가는 오래전에 개발된 국외의 지표를 사용하고 있기에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사서 직무만족도에 대한 68편의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최근으로부터 10년씩 기간을 구분하고 평가요인의 시대별 흐름과 관종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대별 흐름에는 평가요인의 변화가 있었으며 도서관 유형 간의 차이는 미미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나아가 요인, 문항, 현재 모두 반영될 수 있는 세 가지 기준을 적용하여 12개의 평가요인과 39개의 설문문항으로 구성된 사서직무만족에 대한 표준평가지표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