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서관수

Search Result 2,66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30년전 우리는(6) - 1974년 6월

  • Lee, Yong-Hun
    • KLA journal
    • /
    • v.45 no.6 s.349
    • /
    • pp.57-61
    • /
    • 2004
  • 지어놓은 도서관이 제구실을 할 수 없을 바에야 차라리 짓지 않는 것만 못하다. 오히려 제구실을 못하는 도서관 때문에 지역사회주민들에게 도서관에 대한 이미지가 흐려지고 있다.

  • PDF

전국 도서관 사서들이 밝히는 이용자의 동서경향

  • Kim, Yeon-Su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44
    • /
    • pp.14-15
    • /
    • 1998
  • 도서관을 찾는 사람은 늘고 있으나, 읽는 책은 베스트셀러에 한정됐다. <출판저널>이 '독서의 달'을 맞아 전국 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도서관 이용자의 독서경향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교육환경의 개선과 IMF여파로 이용자 수는 증가했으나, 도서구입예산과 독서 프로그램 부족으로 도서관에서 이뤄지는 독서는 문학 등 특정 분야에 편중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학생들의 대출 건수는 꾸준히 늘어 강화군립도서관만 하더라도 전체 대출의 55%가 학생이다. 다른 도서관도 사정은 같아 학생들이 하교하는 오후 시간대에 가장 이용률이 높다. 최근에는 실직인구가 늘면서 성인 남자의 이용률도 높아졌다. 오미순 사서(해운대도서관)는 "IMF 여파로 취업.창업 관련서의 이용률이 늘고 있으며 그 이용자 대부분은 성인"이라고 밝혔고 성은정 사서(부여도서관) 역시 "IMF사태 이후, 성인 남자들의 이용률이 높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문제는 도서관이 보유한 책이 베스트셀러에 국한돼 다양한 독서가 이뤄지지 않는다는 점. 조사결과, 이용자들은 <아리랑>, <하늘이여 땅이여>, <남자의 향기>, <토지> 등을 많이 찾는 것으로 집계됐다. 심지어는 로맨스소설이나 무협소설이 청소년들의 읽을거리로 제공되는 실정. 사정은 특수도서관도 마찬가지다. 어린이도서관의 경우, 어린이.성인 모두 문학류를 많이 찾고 점자도서관의 경우, 전체대출 중 80%가 소설류다. 구본일 사서(강화도서관)는 "예산이 부족해 이용자들이 많이 찾는 베스트셀러를 중심으로 구입할 수밖에 없다"고 밝히고 "다양한 책을 갖출 수 있도록 도서구입비 확충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또 알맞은 독서 프로그램이 없는 점도 이용자들의 베스트셀러 편중현상에 한몫을 담당했다. 진재호 사서(광주도서관)는 "과거보다 독서생활화가 고조됐지만, 양서를 읽는 독서문화의 부족"을, 김선연 사서(어린이도서관)는 "유아시절부터 성인까지 자연스레 고전을 읽게 하는 제도적 장치의 확충"을 지적했다. 한편 월평균 대출권수는 대도시 지역의 경우 11,000-45,000권, 그 외 지역은 1,600-6,000권, 특수도서관은 어린이도서관이 55,000권, 전화나 우편으로 대출하는 점자도서관이 650권이다. 관내열람만 허용되는 사회과학도서관은 월평균 이용자가 7,676명으로 대학생.대학원생.교수 등이 전체의 68%를 차지한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in Academic Libraries (대학도서관 개발에 관한 연구)

  • Cho Yoon-Hee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6 no.4
    • /
    • pp.211-231
    • /
    • 2005
  • Academic libraries have been facing threats and opportunities at the same time because of a successful combin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the internet. This study presented the need for library development in academic libraries, to assist with increasing costs and declining budgets and fulfilling users' expectations of additional information services. It suggested as a guide for library development of academic libraries in Korea through providing examples of various methods and cases for library development. As a result of research, this study provided the basic ideas of academic library development, which includes forming a community of friends of library and developing fundraising and fee-based information services.

  • PDF

Problems and Solutions for Public Libraries in Korea (한국 공공도서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송정숙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4 no.1
    • /
    • pp.399-421
    • /
    • 2003
  • The author explored the survival and prosperity strategies for Korean public libraries in the age of information technology. She reviewed that public libraries can perform these strategies or not. On the basis of the review, she identified 5 problems of public libraries : shortage of libraries and collections, staff inefficiency, inadequate services, inefficient design of library facilities. And then she proposed solutions to improve the present state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campaigning for constructing libraries, increasing the materials budget, turning nonprofessional work to professional work of staff, and constructing libraries for safety and preservation.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eeds Assessment Tool for School Library Facilities (학교도서관 시설개선을 위한 요구조사 도구개발에 관한 연구)

  • Kim, Sung-J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9 no.4
    • /
    • pp.53-73
    • /
    • 2015
  •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standardized needs assessment tool for school library facilities. To find common properties of school library facilities, this study explored KLA's Standards for Korean Libraries, IFLA's The School Library Guidelines and AASL's Empowering Learners. Through these standards 10 common properties are selected to include in the assessment tool. As the result, this study proposed needs assessment tool for school library facilities in form of survey and several ways to apply it according to each library situation.

도서관분야 NGO를 찾아서

  • Kim Jong-Pil
    • KLA journal
    • /
    • v.45 no.2 s.345
    • /
    • pp.66-70
    • /
    • 2004
  • 우선 지면으로 도서관 발전에 노고를 아끼지 않는 여러 독자를 만날 수 있음을 반갑게 생각합니다. 저는 이 글을 통하여 국‧공립대학도서관협의회 조직의 구성과 협의회 활동내역을 소개하고 그동안 추진해온 중점사임을 간략하게 소개해 보고자 합니다.

  • PDF

도서관의 변화와 혁신으로 열린 미래를

  • Lee, Jin-Yeong
    • KLA journal
    • /
    • v.46 no.6 s.361
    • /
    • pp.26-28
    • /
    • 2005
  • 《도서관문화》6월호 특집란에서는 각 급 도서관 현장 사서 및 다양한 분야의 오피니언리더들의 '도서관 마케팅 및 도서관 PR'에 대한 생각을 들어보는 지면을 마련하였다. 아직도 일부에서는 도서관은 열심히 일하는 데 알아주지 않는다는 불만의 소리가 높은데 이는 우리 스스로 도서관을 알리는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한 것이 아닐까도 싶다. 도서관의 외부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생존전략의 하나로서 '도서관 마케팅 및 도서관 PR'을 생각해보는 시간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며, 편집실의 자문에 도움을 준 '한국도서관마케팅연구소'에 감사드린다.

  • PDF

전자책과 전자책도서관이란 무엇인가

  • Kim, Seung-Gwan
    • KLA journal
    • /
    • v.46 no.4 s.359
    • /
    • pp.18-21
    • /
    • 2005
  • <도서관문화> 4월호 특집란에서는 지난 몇 년간 도서관의 디지털화 과정에서 전자책 도서관 구축이 꾸준히 확산되고 있는 현 상황과 관련하여, '전자책'의 생산자, '전자책도서관'의 운영자와 이용자 등 각각의 입장을 통하여 '전자책' '전자책도서관'의 현황과 향후 과제를 알아보는 지면을 마련하였다. 현장 사서들에게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기를 바라며, 편집실의 자문에 도움을 준 '북토피아'(www.booktopia.com)에 감사드린다.

  • PDF

인터뷰: '포럼 문화와 도서관'을 만나다

  • Song, Gyeong-Jin
    • KLA journal
    • /
    • v.51 no.7
    • /
    • pp.53-57
    • /
    • 2010
  • 지난 6월 2일에는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있었다. 새롭게 구성되는 지방자치단체가 어떠한 도서관 정책을 추진할 것인지는 도서관계의 큰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이와 관련하여'포럼 문화와 도서관'은 선거일 즈음하여 도서관 관련 공약을 조사 분석하여 그 내용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도서관문화>> 편집팀은'포럼 문화와 도서관'에 이번 선거 공약의 조사 분석 결과와 그 활용 측면에 대해 서면인터뷰를 진행하였다.

  • PDF

A Study on Identification of Library Resources for Evaluating Efficiency of Academic Libraries (대학도서관의 효율성 평가 자원요소 규명에 관한 연구)

  • Noh, 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1 no.1
    • /
    • pp.71-88
    • /
    • 2010
  •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era, even thought the configuration and the importance of library resources have changed, still only traditional library resources of the past have been us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university libraries. To overcome these limits, this study purposed to redefine the library resources factors for the evaluation of the library effectiveness as appropriate standards in digital library era. The survey method was used, the result follows. Budget, librarians, space, books, periodicals, e-journals, non-book materials, Web DB, e-book, computers are selected as input resources elements, while loan books, users, website visits, web DB uses are selected as output resoures elements. It could be noticeable that the elements related to the electronic resources was reidentified quiet a l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