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메인 네임 시스템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6초

안전한 도메인 네임 시스템에서의 인증기능을 가진 메시지 처리기 구현 (An Implementation of Message Processing System for Authenticating in Secure DNS)

  • 이만희;임찬순;석우진;함영환;변옥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3)
    • /
    • pp.357-359
    • /
    • 1999
  • 안전한 도메인 네임 시스템은 인터넷에서 호스트의 주소와 이름을 매핑해주는 분산 시스템인 도메인 네임 시스템에 보안 기능을 강화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체를 이용하여 도메인 네임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동시에 이 메시지에 첨부되어 있는 인증 정보를 인증할 수 있는 메시지 처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 메시지 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안전한 도메인 네임 시스템의 구현이 쉬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안전한 도메인 네임 시스템 관리를 위한 관리 정보 개체 정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fining Management Information Base for Domain Name System Security Extensions)

  • 이만희;장행진;박형우;변옥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3)
    • /
    • pp.323-325
    • /
    • 1998
  • 인터넷에서 호스트의 인터넷 주소와 이름을 상호 매핑해주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은 호스트수가 급증함에 따라 그 중요성 또한 증대되고 있다. 최근 인증 기능을 제공하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이 제안됨에 따라 이를 이용하여 진보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한편 도메인 네임 서버를 기존 네트워크 관리 체계 내에서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개체는 이미 정의되어 있었다. 하지만 인증 기능을 제공하는 도메인 네임 서버 관리 정보 개체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증 기능을 제공하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를 정의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안전한 도메인 네임 서버관리모델을 제시한다.

  • PDF

한국어순을 따르는 인터넷 한글 도메인 네임 시스템 (A Korean Domain Name System for Korean)

  • 이재용;이균하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7호
    • /
    • pp.1855-1862
    • /
    • 1998
  • 인터넷 사용자는 호스트 접속을 위하여 DNS로부터 IP주소를 획득한다. 그러나 국내의 사용자는 익숙하지 않은 영문어순의 도메인을 사용하여야 한다. 기존 시스템의 어순은 한국어와는 반대이므로 인터넷 보편화에 장애가 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사용자에게 적합한 한글 도메인 네임 시스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의 한글 도메인 시스템에서는 기존의 도메인 네임 시스템과 함께 운영하기 위하여, 영문으로의 변환 규칙과 한글 도메인 네임의 작성 규칙을 세웠다. 또 한글어순의 처리를 위하여 STROP을 설계하였다. STROP은 SLDF가 국문 SLD을 영문 SLD로 변환하며, 이를 NFDNG가 영문 어순으로 만들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한글 도메인 네임 시스템을 사용한다면 도메인 명의 함축된 의미를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고, 영문 전자로 인하여 발생하는 도메인 등록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그 결과 인터넷 보편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한중일 한자-한국어 변환 키워드 도메인 이름 시스템 (CJK Chinese Character-Korean Character Conversion Keyword Domain Name System in Software Defined Network)

  • 이승훈;조승철;薛園園;路凯;向天歌;한선영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9년도 제3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39-342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한중일 한자-한국어 변환 키워드 도메인 이름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한자 체계를 주로 사용하는 한국, 중국, 일본에서 세 나라의 한자 수량이 너무 많기 때문에 우선 한국, 중국, 일본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한자 체계인 CJK808을 가지고 연구하였다. 연구를 통해 CJK808 한자 체계에서 각 나라의 한자 특징도 많이 발견하였고, 그 중에서 표준자와 이체자의 다양성이 더욱 두드러졌다. SDN을 이용함으로써 관리 측면에서 다양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제안하는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들은 한국, 중국, 일본 한자를 입력하면 SDN에서 관리하는 도메인 네임 서버를 통해 IP 주소를 얻을 수 있다.

  • PDF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네임 서비스 시스템의 구조 및 실험 (An Architecture and Experimentation for Efficient and Reliable Name Service Systems)

  • 심영철;박준철;강호석;이준원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3B호
    • /
    • pp.375-390
    • /
    • 2004
  • 네임 서비스 시스템은 도메인 네임을 인터넷 주소로 또는 역으로 인터넷 주소를 도메인 네임으로 변화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웹, 이메일, 파일전송 등의 모든 인터넷 응용이 가장 먼저 사용하는 인터넷에서 가장 중요한 서비스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상위 레벨의 대규모 도메인을 가정하여, 이 도메인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임서버를 중심으로 성능 향상 및 신뢰성 제고의 방안을 제시하고, 테스트베드 구축 띤 성능 실험을 통해 이의 실현 가능성을 검증한다. 제안한 구조는 이중화된 네임서버를 가정하여 부하 분담 및 고신뢰성 달성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이루고자 하였다. 또한 매스터 네임서버의 데이터 갱신을 위해 동적 갱신 방식을 사용하였고, 슬레이브 네임서버고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IXFR(Incremental Zone Transfer)을 사용하여 서버의 부담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테스트 베드의 실험 결과를 실제 구축될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향후 서버에의 부하 증가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다운이나 오동자의 경우에도 연속적인 서비스 수행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DNS 서비스 제공자의 보안접속 악용 사례와 대응 (Response to SSL communication abuse cases by DNS service providers)

  • 고남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5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1호
    • /
    • pp.107-108
    • /
    • 2022
  • 오늘날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서비스는 단순히 IP 주소를 .com, .net 등의 도메인으로 변환해주는 기능을 넘어 컨텐츠 가속(CDN) 서비스, 고가용성(HA) 서비스, 분산 서비스 거부공격(DDoS) 방어 서비스, 통신 구간 암호화 서비스로서 그 용도를 넓혀가고 있다. 이용자들은 이러한 업체가 외부 기관에 정보를 넘기지 않고, 모든 통신 구간은 서비스 업체도 그 내용을 들여다보지 못할 정도로 철저히 암호화한다는 도덕적인 영업과 운영을 할 것으로 기대하지만, 실제 사례를 살펴보면 그렇지 못하다는 점이 드러난다. 본 논문에서는 2021년 기준으로 최소 7년간 이어져온 것으로 추정되는 유명 DNS 서비스 업체의 보안접속 악용 사례를 중심으로 이러한 악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이것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표준화 기술은 이 문제에 효용성이 있는지를 DNS 업체와 동일한 실제 환경 구성을 통해 검증하였다.

  • PDF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도메인 네임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lockchain Network Based on Domain Name System)

  • 허재욱;김정호;전문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6-46
    • /
    • 2019
  • 인터넷에 연결된 호스트의 개수가 대폭 증가해 1984년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 이하 DNS)이 도입되었다. DNS는 웹 사이트를 검색할 때, 일련의 숫자로 이루어진 복잡한 IP 주소를 외우지 않고 편리성이 높은 문자 형태의 주소를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현재 인터넷을 이용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중요한 핵심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DNS의 중요성에 비해 권한 할당 문제, 공인 등록 관련 분쟁, DNS 캐시 포이즈닝(DNS Cache Poisoning), DNS 스푸핑(DNS Spoofing), 중간자 공격(Man-in-the-Middle Attack), DNS 증폭 공격(DNS Amplification Attack)과 같은 각종 보안 취약점, 초연결 네트워크 시대의 더 많은 도메인 네임의 필요성 등 많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DNS가 가지는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자 분산원장기술인 블록체인을 이용해 DNS를 구현하는 법을 제안하고, 이더리움 기반의 플랫폼을 이용해 구현하였다. 추가적으로 기존의 도메인 네임 등록 및 도메인 네임 서버의 정성적 성능 비교 평가를 하고, 제안하는 시스템이 기존 DNS의 보안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지 보안 평가를 하였다. 결론적으로 블록체인을 이용해 더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DN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IPv6 기반 다국어 도메인 네임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rnationalized Domain Name System based on IPv6)

  • 최지원;김기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중)
    • /
    • pp.1305-1308
    • /
    • 2003
  • 인터넷의 급격한 발달로 인하여 인터넷 영역과 사용자 수가 전 세계적으로 급격히 확산 및 증가하고 있다. 국내의 사정만을 보더라도 광대역(초고속) 인터넷망과 PC 보급률의 증가로 2 천만 명을 넘는 인구가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와 같은 폭발적인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로 인하여 현재의 인터넷상에 많은 문제점들이 제시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도메인 네임 시스템과 관련된 문제들은 인터넷의 핵심 기반 기술 중의 하나로서 많은 부분에서의 보완과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표준화로 될 것으로 예상되는 IDNA-punycode 기반으로 mBIND를 설계하였다.

  • PDF

다국어 도메인을 위한 DNS 프로토콜 : mlDNS (A New DNS Protocol for Multilingual Domain Names)

  • 신혜원;이승익;이동만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3)
    • /
    • pp.328-330
    • /
    • 2000
  • DNS(Domain Name Service)는 인터넷 호스트의 주소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써 기존의 시스템은 영어 알파벳 이외의 다른 언어들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은 처리하지 못한다. 최근, 인터넷의 국제화에 따른 다국어 도메인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됨에 따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다국어 도메인 이름을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DNS 프로토콜인 mlDNS(Multilingual Domain Name Service)를 제안한다. 기존의 DNS와의 호환성 및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고 특정 언어에 종속되지 않는 시스템을 디자인하기 위해 mlDNS에서는 Unicode 문자 집합을 기반으로 모든 DNS 질의를 UTF-8 인코딩 방식으로 처리하고 이러한 새로운 mlDNS 질의와 기존의 DNS 질의를 구분하기 위해 DNS 질의 헤더에 'IN'이라는 새로운 비트 영역을 지정하여 사용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