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로사면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7초

무인 헬리콥터 사진촬영시스템을 이용한 도로 절개지 붕괴사면 3차원 입체 지형 추출 (3D Stereoscopic Terrain Extraction of Road Cut Failure Slope Using Unmanned Helicopter Photography System)

  • 장호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85-491
    • /
    • 2010
  • 붕괴된 사면의 정보는 제2차 피해의 발생우려가 있기 때문에 신속 정확하게 지형자료를 획득할 수 있어야 하고, 필요에 따라서 접근하지 않고 간접적인 측량방식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도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인 헬리콥터 사진촬영시스템을 이용하여 붕괴된 도로 절개지 사면에 근접하여 상공에서 정지비행으로 대상지역의 영상을 촬영하였다. 그리고, 무타켓 Total Station에 의해 관측된 점과 영상해석에 의해 분석된 좌표점 10개와 비교한 결과 절대치 평균값은 X축 방향으로 평균 0.056m, Y축 방향으로 0.082m, Z축 방향으로 0.066m으로 나타났다. 또한, 검사점 10점에 대한 오차의 RMSE는 X축 방향으로 0.015636m, Y축 방향으로 0.021319m, Z축 방향으로 0.018734m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절개지 붕괴사면의 지형에 대하여 관계형 영상정합방법에 의해 접근하지 못하는 위험지역에서의 사면 범위와 각사면의 종 횡단면을 나타낼 수가 있었다.

Q-slope의 소개와 노천채탄장에서의 적용 사례 (Introduction of Q-slope and its Application Case in a Open Pit Coal Mine)

  • 선우춘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9권5호
    • /
    • pp.305-317
    • /
    • 2019
  • 노출 암반과 시추 코어를 특성화하고, 터널, 공동 및 광산 갱도에서 지보 및 보강 대책을 추정하기 위해 RMR 및 Q 분류법이 기술자들에 의해 널리 사용되어왔다. 사면에서의 암반분류는 SMR이 많이 사용되었지만 Q-Slope가 2015년부터 사면에 도입되었다. 지난 10년간, Q-slope라 불리는 수정된 Q시스템이 노천광산의 벤치, 도로사면 사면에 적용하기 위해 많은 저자들에 의해 시험되었다. 이 시험들을 통하여 Q-slope 값과 장기 안정 및 무지보 사면 경사각 사이에 간단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내어 왔다. 터널이나 지하공간에서 RMR과 Q를 병용하면서 비교를 통해 상호보완 해왔던 것과 마찬가지로 사면에서도 SMR과 병행하여 Q-Slope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에서 발표사례가 없는 Q-Slope의 사용방법과 인도네시아 Pasir 노천석탄광의 적용 예를 소개하고자 한다.

Free-Net 광속조정법을 이용한 사면의 변형측정 (Deformation Measurement of the Slope Using Free-Net Bundle Adjustment)

  • 이진덕;이호찬;소재경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55-160
    • /
    • 2004
  • 근거리 디지털 영상을 이용하여 도로 사면의 3차원 변형을 효율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광속조정법(bundle adjustment)에 근거한 사진삼각측량 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종래의 표준적인 기법과 Free-net 기법으로 각각 처리하여 사면의 약 1/35000의 정확도로 3차원 측정과 변형량을 도출하였으며, 토털스테이션에 의해 측정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Free-net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복잡한 산업현장에서 기존의 측지학적 기준점측량을 행하지 않고도 신속하고 정확한 측정을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도로 절토사면 산마루측구 배수성능에 따른 사면안정성 평가 (Evaluation for Installation and Drain Performance of Mountain Side Ditch in Road Cut Slopes)

  • 황영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73-79
    • /
    • 2004
  • 도로주변 절토사면 상부에 설치되는 산마루측구는 강우시 상부로부터 흘러내려오는 지표수를 원활히 배수시켜, 절토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다. 그러나, 산마루측구 설치시 시공여건상 품질관리가 어려워, 절토면 배면으로부터의 지표수를 원활히 배수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탈면 상부에 설치된 산마루측구의 기능을 지반 및 지형조건, 강우조건에 따라 비탈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함으로써, 현재 설계 시공되고 있는 산마루측구의 설치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산마루측구는 평균적으로 강우시 약 3%의 안전율 증대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 PDF

압성토 및 억지말뚝으로 보강된 도로의 확장공사로 인한 추가 보강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Extra Reinforcement by Road Extension work on Existing Cut Slope Reinforced with Counterweight Fill and Stabilizing Piles)

  • 박정용;김우성;김제경;양태선;나경준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67-7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도로확장공사 현장의 절토사면 안정검토를 위해서 몇가지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압성토 및 억지말뚝으로 보강된 절토사면의 추가 보강사례를 그 연구대상으로 하며, 절토사면에 보강된 안정화파일의 효과를 분석하기위한 시험장비 또한 설계 및 설치하였다. 결론적으로, 추가보강방법으로써 억지말뚝공법과 Earth Anchor공법을 검토한 결과, 억지말뚝공법과 Earth Anchor공법 모두 안정성은 확보하였으나 기존 보강공법의 연계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억지말뚝공법을 추가보강공법으로 선정하였다.

  • PDF

암반사면 안정성 평가 및 보강설계 (Stability Evaluation and Reinforcement Design Method of the Rock Slope)

  • 안윤성;김연중
    • 지질공학
    • /
    • 제4권3호
    • /
    • pp.343-356
    • /
    • 1994
  • 대형구조물 및 발전소 또는 도로, 철도 등 모든 산업 및 사회간접시설물을 건설할 때, 새롭게 영구사면들이 조성되며 이러한 사면에서 지질재해인 암반의 사면붕괴가 종종 발생한다. 붕괴된 사면은 붕괴원인 및 붕괴형태 그리고 안정성 평가를 위한 현장조사 및 실내시험을 통하여 붕괴모델링(Failure Modelling)을 설정하게 되며, 이에 따른 사면의 안전율을 구하고 설계 기준에 맞도록 사면을 보강하게 된다. 사면의 보강은 현장여건이 최대한 반영된 최적의 붕괴모델링이 요구되며, 이에 따른 보강공법으로는 사면 경사각을 낮추거나 사면을 보강 처리하므로서 안전율을 증가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 PDF

DB구축을 통한 강원지역 사면재해 유발강우특성 분석 (Analysis of Slope Hazard-Triggering Rainfall Characteristics in Gangwon Province by Database Construction)

  • 윤찬영;전경재;김경석;김기홍;이승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10호
    • /
    • pp.27-38
    • /
    • 2010
  • 산지가 약 83%의 면적을 차지하는 강원지역에서는 매년 하절기에 장마, 태풍, 집중호우에 기인한 산사태 및 토석류와 같은 사면재해로 인해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지역의 사면재해를 유발하는 강우의 특성 분석을 위해 사면재해자료, 강우자료, 산불발생자료를 수집하여 DATABASE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자료에 대한 분석결과, 사면재해는 강우가 거의 없는 시점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사변재해를 유발하는 강우는 재해발생일의 강우보다 선행강우가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불발생지역에서는 산불미발생생지역에 비하여 더 작은 강우에서도 사면재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산불발생지역에서는 2년이하의 재현강우에서 재해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