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덕적인 자율성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Liberalism and Perfectionism (자유주의와 완전주의)

  • Kim, Young-kee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44
    • /
    • pp.83-111
    • /
    • 2017
  • The purport of this essay is to examine the possible compatibility of liberalism and perfectionism. Liberalism is typically considered as anti-perfectionism. So communitarian critique of liberalism focused on the effects of its anti-perfectionism. But liberalism could be interpreted as compatible with perfectionism. Joseph Raz attempts to develop and defend "perfectionist" liberalism. He rejects anti-perfectionist "neutrality" and claims that the goal of political action is to encourage pursuit of what is truly good and discourage pursuit of what is morally unworthy. Despite this strong perfectionist claim, Raz's political philosophy gives pride of place to individual liberty, or autonomy, which he considers to be intrinsically valuable. One exercises autonomy in choosing among a plurality of human goods. Nonetheless, Raz forthrightly denies the value of autonomy used to choose what is morally bad and says that society has no reason to protect worthless, much less morally evil, options. Raz is more conventionally liberal, however, in espousing a version of J. S. Mill's "harm principle", arguing that a due regard for autonomy rules out government use of coercive means to discourage "victimless" immoralities. However, there are some serious questions about whether Raz's strong perfectionism can support his principled rejection of "morals legislation". I think that if his strong perfectionism could be a little "weakened" and his autonomy c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only formal value rather than having intrinsic value, then his perfectionism could be compatible with liberalism.

Eine Verstaendnis fuer die Si Dan(四端) in dem Mengtzu unter dem Gesichtspunkt der Bedeutung des Abbruchs der Selbstliebe in der Kriktik der praktischen Vernunft (『실천이성비판』의 자기 사랑의 단절 의미로 읽어본 『맹자』의 사단(四端))

  • Hwang, Soon-u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16
    • /
    • pp.465-484
    • /
    • 2010
  • In diesem Aufsatz werden die Si Dan(四端) in dem Mengtzu durch die Bedeutung des Abbruchs der Selbstliebe in der Kriktik der praktischen Vernunft projiziert und gelesen. Fuer Kant ist die Befriedigung der Neigungen die subjektiven Bestimmungsgruenden seiner Willkuer. Nach ihnen macht sich selbst das allgemeine Prinzip der Selbstliebe die eigene Glueckseligkeit "zum objektiven Bestimmungsgrund." Das moralische Gesetz schlaegt jenes subjektive Prinzip der Selbstliebe nieder, und das bedeutet die Si Dan(四端) in dem Mentzu. Die Si Dan sind die Bestimmungsgruende der menschlichen Wesen. Das Subjekt des moralischen Gesetzes bricht deswegen seine Selbstliebe ab und richtet sich an sozialen Gemeinschaft, weil die Selbstlibe fuer den Individualismus.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gressive Behaviors of Humanity and Moral Anger in Korean Culture ('사람됨' 준거 위반과 도덕적 정서로서의 화(火)의 관계 분석)

  • Kibum Kim ;Hyojin Im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11 no.3
    • /
    • pp.1-21
    • /
    • 2005
  • Many researches have argued the most important dimension of perception or evaluation of person is morality and competence in Korean cultur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riteria of personhood.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riteria used to evaluate person by qualitative approach and the differences of evaluation of wrongdoer who violates interpersonal norm or individual autonomy by experimental method. In addition, anger as emotional response to wrongdoer is conceptualized in terms of moral and self-conscious emotion. Expression of anger is less an outpouring of emotion and more a culturally regulated and normative mode of managing and putting into practice our society's system of rights and obligations - its moral code. According to results of qualitative data by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the most important criteria used to evaluate personhood was interpersonal concern, esp, expectation and norm. The results of experiment revealed that violation of interpersonal norm domain evoked angrier towards violator than autonomy domain. The subjects ascribed more blame and responsibility to interpersonal norm violator than autonomy keeper. Also function of behavior inhibition of anger was higher in interpersonal norm domain than autonomy domain.

MBO 총장이어야 한다

  • Jeong, Hae-Ryong
    • 대학교육
    • /
    • s.143
    • /
    • pp.50-54
    • /
    • 2006
  • 대학의 총장은 도덕적 덕망과 학자로서의 소양을 지닌 진정한 교육자야 하며 탁월한 행정 능력의 소유자여야 함과 동시에 대학의 자율성 확보를 위해‘할 말은 할 줄 아는’총장이어야 한다. 아울러 대학 조직의 구심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장기적인 대학발전을 위해 교육경영자로서의 역할을 잊지 않고 합리적인 목표를 세우며 효율적으로 추진해 나갈 수 있는 MBO 총장이어야 한다.

  • PDF

Mou's 'Intellectual Intuition' and Kant's The Aesthetic (모종삼의 '지적 직관'과 칸트의 심미성)

  • Kim, young-kun
    • (The)Study of the Eastern Classic
    • /
    • no.34
    • /
    • pp.363-385
    • /
    • 2009
  • I criticize Mou's moral metaphysics and propose the alternative depending on Kant's analysis on the sublime. (1) Mou's moral metaphysics conflicts with the scientific world view. (2) Kant's 'aesthetic space' does not conflict with the scientific world view. Futhermore, Kant's 'aesthetic space' satisfies the conditions which Mou's moral metaphysics requires. (3) Mencius's autonomous morality is not sufficient for justifying the moral law or categorical imperative. (4) At this point, the sublime plays the important role in bridging between nature and morality. (5) In Kant's context, the possibility of the autonomous moral action is achieved on the basis of the educated feeling of the sublime.

Neuroethics and Christian Education (신경윤리와 기독교교육)

  • Yu, Jae Deog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
    • v.64
    • /
    • pp.145-171
    • /
    • 2020
  • Christian communities have long sought to find what type of moral judgment is appropriate and what the Christian behavior is, by taking the church's ethical norms and behavior patterns as objects of reflection. In the same context, Christian education also tried to base the psychological rationalism of J. Piaget and L. Kohlberg, but the reason-centered structural development theory was not the answer. In fact, the structural development theory, which emphasized autonomy while excluding emotions from the moral judgment process, over-emphasizing cognition or reason, eventually led to moral relativism, unlike what was intended. In addition, it was criticized for not being able to adequately elucidate the gap between human moral reasoning and behavior, and for attempting to interpret morality excessively within the context of social culture. Recently, these limitations of structural developmental theory have been reinterpreted by neuroethics, especially moral psychology theories, which claim that moral judgment ability is physically wired in the brain and relies heavily on networks between cortical and limbic syste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some of the newly emerged research themes of neuroethics, and then to discuss two main theories that explain morality in the perspective of neuroethics and the implications that Christian education should pay attention to.

장여헌과 이토 진사이의 도·도덕론 비교

  • Eom, Seok-In
    • (The)Study of the Eastern Classic
    • /
    • no.50
    • /
    • pp.139-178
    • /
    • 2013
  • 본 논문은 조선시대의 장여헌(張旅軒)과 일본 에도(江戶) 시대의 이토 진사이(伊藤仁齋)의 사상, 특히 도(道)에 관한 견해를 중심으로 인간론과 도덕론을 고찰하여 그 둘의 사상적 특징을 밝히고자 하는 시도이다. 논의의 진행은 먼저 도(道)에 관한 여헌과 진사이의 이해를 주자학적 논의와의 원근 거리와 천도(天道) 인도(人道)와의 관계에서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인간관에 있어서는 자기와 타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인간에 관한 이해를 논하였으며, 다음으로 마음과 경(敬), 서(恕)에 관한 두 사상가의 상반된 이해를 소개하면서 도덕론을 논하였다. 이하 요점을 추려보면 다음과 같다. 진사이는 도를 천지의 도와 단절된 인륜일용의 인간의 도로 한정하였고 인간에 대해서도 개적 존재를 사상시킨 관계적 존재에 초점을 두고 파악하였다. 그런 관점 위에서 개인 수양의 출발점이 되는 마음이나 경에 대해서도 큰 비중을 두지 않았고, 그것은 개인의 자율성보다는 외적인 규범에 보다 많은 신뢰를 두고 그것에 자신을 맞추어 가는 일종의 타율적인 관계(집단) 속의 도덕론의 전개로 나타나고 있음을 논하였다. 여헌은 도(道)를 천지만물과 사람 모두가 의거하는 총체적인 개념으로 파악하였고, 더 나아가 사람의 도가 능동적으로 천도와 지도를 구현하는 중심이라고 하였다. 이런 관점 위에서 여헌은 인간은 몸(형기(形氣))을 가진 개적 존재이지만 동시에 그 몸의 일부인 천지만물과 통하는 마음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보편적인 존재라고 정의하며, 그 마음을 다스리는 경(敬)공부를 개인 수양의 기본임과 동시에 천지만물의 보편적 이치를 체득하는 근본적인 실천공부로 중시하였다. 이러한 여헌의 도와 인간에 대한 이해는 도덕의 실현에 있어서 자신이 중심이 되어 그것의 확장으로 모두가 하나가 되는 동심원적 파동의 도덕론으로 전개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A Study on the Moral Responsibility of Lethal Autonomous Weapon Systems (LAWS): Focused on Robert Sparrow's "Responsibility Gap" Theory (치명적 자율무기체계의 도덕적 책임 문제 연구 : 로버트 스패로우의 '책임간극' 이론에 대한 고찰)

  • Hyunyoung Moon;Sangsu Kim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4
    • /
    • pp.375-381
    • /
    • 2023
  • In an increasingly hyperconnected battlefield, the reliance on battlefield networks and AI-based autonomous weapons systems creates uncertainty and raises ethical concerns. This article explores the responsibility gap in operating autonomous weapons systems, using Robert Sparrow's theory. By analyzing Sparrow's arguments, we propose overcoming the responsibility gap in lethal autonomous weapon systems (LAWS). Our objective is to establish a framework of responsibility that aligns with the evolving battlefield, promoting the development and use of responsible weapon systems.

A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n Educating Sport Ethics (스포츠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Park, Sung-Joo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v.55 no.1
    • /
    • pp.37-47
    • /
    • 2016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of sport ethics which would enhance moral autonomy on the part of athletes. First, based on James Rest's Four Component Model of moral behavior, this study has analyzed prior studies and built educational contents. Then, it used dilemma discussions among peers for disequilibrium of cognitive structure. Last, this program has been tested and proven by college students who were thoroughly interviewed afterwards. After joining the program, the student-athletes showed a positive change of thought and action in relation to sport ethics. I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nlarging the field of sport ethics education.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Individual Traits On Work Stress And Ethical Decision Making (간호사의 환경적 요소와 개인적 특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윤리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 Kim, Sang Mi L.;Shake ketefia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23 no.3
    • /
    • pp.417-430
    • /
    • 1993
  • 이 연구는 환경적 요소(간호사의 자율성, 조직의 표준화)와 개인의 특성(통제위, 나이, 경험. 간호역할개념, 도덕성), 직무 스트레스, 윤리적 의사결정 사이의 관계를 이론적 틀을 구성하여 테스트함으로써 그 인과관계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개발된 모형은 1) Katz와 Kahn의 조직에 대한 개방체계 이론(open systems theory of organization) ; 2) Kahn. Wolfe, Quinn, Snoek의 스트레스 이론 (theory of stress) : 3) Kohlberg의 도덕발달 이론(theory of moral develop-ment): 그리고 4) 여러 문헌고찰을 기초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은 2가지의 주요 종속변수(직무 스트레스, 윤리적 간호행위), 2가지 매개변수(간호 역할개념, 도덕성 발달정도) 그리고 여러 독립변수들(조직의 표준화, 자율성, 통제위, 교육, 나이, 경험 등)로 구성되었다. 간단히 말해,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윤리적 간호행위 를 개인 자신과 환경이라는 두 요소의 결과로 간주한 것이다. 미국(2개주)의 여러 건강관리기관에 근무하는 224명의 정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하여 1)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Linear Structural Relationships(LISREL)기법과 2) 나이, 경험, 교육이 변수간의 관계에 미치는 중간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LISREL결과를 보면 제시된 모델이 각 내재 변수에 상당한 설명력을 가지면서 자료에 잘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가장 뚜렷한 점으로 나타난 것은 개인의 특성보다 환경적 요소로서의 자율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윤리적 의사결정을 예견하는데 훨씬 중요한 변수로 부각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간호사의 전문적 역할개념과 봉사적 역할개념이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을 예견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중간영향(moderation effect)을 보면, 젊고 경험이 적은 간호사일수록 나이가 많고 경험있는 간호사보다 환경적 요소(자율성)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4년제 대학 이상을 졸업한 간호사의 윤리 적 간호행 위 는 2, 3년제 를 졸업 한 간호사 보다 환경적 요소에 의해 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율성의 부족은 2, 3년제 졸업 간호사보다 4년제 졸업 간호사에게 더 심한 스트레스가 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적어도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실제적인 제언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이 연구는 환경적요소로서의 자율성이 다른 어떤 개인적인 요소보다 직무 스트레스를 예견하는 데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간호행정가들에게,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선 “자율성”이 아주 중요히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가 그 개인의 복지에 큰 해가 되고 환자를 간호하는 데 직접적으로 관계된다면, 간호행정가는 그 조직의 직무체계를 다시 평가해서 일에 대한 새로운 설계가 필요한지를 파악해야 한다. 또한 이 연구는 직무를 다시 설계할 경우, 누구에게 먼저 촛점을 두고 시작해야 하는지를 밝혀주고 있다. 즉, 젊고 경험이 미숙한 간호사들에게 촛점을 두고 시작해야 하며, 작업환경의 가장 중요한 차원중의 하나인 사회적 지원(social support)을 조심스럽게 고려해 보아야 한다. 둘째, 간호사의 윤리적 간호행위를 높히기 위해 전문적 역할개념과 봉사적 역할개념이 재강조될 필요가 있다. 이 두 역할개념 들을 교육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 두 개념들이 간호사의 바람직한 간호행 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경험이 많을수록 일에 싫증을 느껴 바람직한 윤리적 간호행위가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건강관리체제 (health care system) 안에서의 간호사의 역할이-전문직으로서의, 그리고 환자를 위한 옹호자로서의-학교와 임상에서 효과적으로 교육되어져야 한다고 본다. 간호사들의 역할에 대한 계속적인 교육이 학생은 물론 임상 간호사들에게도 실시되어져야 할 것이다. 미래연구의 방향을 제시해 보면 첫째로 연구의 일반화를 높히기 위해 더 많은 대상자를 포함시켜야 한다. 이는 여러 종류의 표본을 반드시 한번에 전부 포함시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특정한 여러 표본들을 연속적으로 연구함으로서 이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둘째는 여러 construct들(윤리적 간호행위, 직무 스트레스, 간호 역할개념 등)에 대한 적절한 측정도구를 개발해야 한다.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풍부하고 세세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질적인 정보를 얻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윤리적 간호행위와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를 증진시키기 위해 실험설계 및 종단적 연구(expel-imental, longitudinal design)가 시도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윤리적 간호행위와 직무 스트레스를 예견할 수 있는 이론적 탐구(theoretical exploration), 즉 이론정립을 위하여, 환경적 요소와 개인의 특성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질적 연구들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