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데이터경제

검색결과 2,271건 처리시간 0.039초

Multi-lingual Emergency Alert Service by Terrestrial Broadcasting Network (지상파 방송을 활용한 다국어 재난경보 서비스)

  • Suh, Young-Woo;Kwak, Chunsub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495-496
    • /
    • 2020
  • 재난상황에서 통신망의 불통상황에 대비하여 지상파 방송망을 통한 재난경보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사회안전망의 구축을 위해 매우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특히, 사회가 국제화 되고 다양한 국가의 사람들과의 경제 교류를 통해 국내 서비스라고 할지라도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재난경보 메시지도 제공 되어야 재난 상황에서 인명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지상파 방송 시스템은 비디오 등 정규 프로그램 편성 외에 데이터 채널을 활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송출할 수 있으며, ATSC 3.0 방송 시스템은 IP 방식의 데이터 송출을 통해 특정 대상을 타겟으로 정보를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지상파 방송망을 통한 IP 데이터 송출의 장점을 잘 활용하면 재난 상황에서 적은 데이터를 가지고도 효율적으로 다양한 언어로 국민들에게 안전 정보를 보낼 수 있다. 이를 통해 국내 거주 외국인들이 재난에 대비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방송망을 통해 다국어 재난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 PDF

Study on Potential Topics of the MyData and Data Transactions Using LDA Topic Modeling (국내 마이데이터 태동과 데이터 거래에 관한 잠재적 주제 분석)

  • Cho, Ji Yeon;Lee, Bong Gyo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제20권3호
    • /
    • pp.221-229
    • /
    • 2022
  • With the recent full-fledged MyData service, interest in the use of personal data is increasing. However, studies on MyData are still in the early stages, focusing on legal and institutional discussions, and studies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at finding the potential topics formed by social discussions by analyzing news data from 2018 to the present. News data analysis using LDA topic modeling were conducted and 6 potential topics including digital transformation in finance, scope of Mydata business license, amendments and data-related laws, safe use of big data, data economy promotion policy and strategy of the financial industry were derive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omprehensively viewed the issues that emerged with the MyData and deriving gaps in previous discussion. Future research is expected to identify changes after the launch of MyData service and provide specific implications through research by specific industries.

A Study on Book Metadata Creation and Distribution on Supply Chain (공급사슬상의 도서메타데이터 생성.유통에 관한 고찰)

  • Cho, Jan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제44권3호
    • /
    • pp.61-80
    • /
    • 2010
  • Recently, the publishing community now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metadata in customers' buying decisions. As a result, they are more interested in effective metadata creation and quality maintenance, as well as standardization of exchanging system in the supply chain. As the library community also investigates the economic effectiveness of creating metadata, they try to find the best model for simplifying metadata creation by using sources close to the original. This study analyzes metadata work flow which had same source but be used in different fields by their own type and standard. It also discusses the same issues about each section and possibility about interoperation. Finally this paper tries to find an effective creation and distribution model of book metadata which can be used in domestic publishing and the library community.

Pizza Sales Prediction by Using Big Data Analysis.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피자 판매량 예측)

  • Lee, Daebum;Kim, Kyoungsup;Lee, Youngsoo;Kim, Hanahan;Byun, Dongsam;Park, Sungchul;Jeon, Hwaseong;Kim, Juntae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90-893
    • /
    • 2014
  • IT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빅데이터 분석이 주요한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이를 통해 피자 판매량을 예측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판매량 예측을 위하여 과거 판매 데이터와 함께 공휴일, 날씨, 뉴스기사, 경제지표, 트렌드, 스포츠 이벤트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용하였으며, 판매량 예측 방법으로는 회기분석과 인공신경망 학습 등을 사용하여 빅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빅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예측 오차율이 5%이상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KoCED: English-Korean Critical Error Detection Dataset (KoCED: 윤리 및 사회적 문제를 초래하는 기계번역 오류 탐지를 위한 학습 데이터셋)

  • Sugyeong Eo;Suwon Choi;Seonmin Koo;Dahyun Jung;Chanjun Park;Jaehyung Seo;Hyeonseok Moon;Jeongbae Park;Heuiseok L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2년도 제3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25-231
    • /
    • 2022
  • 최근 기계번역 분야는 괄목할만한 발전을 보였으나, 번역 결과의 오류가 불완전한 의미의 왜곡으로 이어지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한 반응을 야기하거나 사회적 파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특히나 오역에 의해 변질된 의미로 인한 경제적 손실 및 위법 가능성, 안전에 대한 잘못된 정보 제공의 위험, 종교나 인종 또는 성차별적 발언에 의한 파장은 실생활과 문제가 직결된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기계번역 품질 예측 분야에서는 치명적 오류 감지(Critical Error Detection, CED)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에 관련해서는 연구가 존재하지 않으며, 관련 데이터셋 또한 공개된 바가 없다. AI 기술 수준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사회, 윤리적 요소들을 고려하는 것은 필수이며, 한국어에서도 왜곡된 번역의 무분별한 증식을 낮출 수 있도록 CED 기술이 반드시 도입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영어-한국어 기계번역 분야에서의 치명적 오류를 감지하는 KoCED(English-Korean Critical Error Detection) 데이터셋을 구축 및 공개하고자 한다. 또한 구축한 KoCED 데이터셋에 대한 면밀한 통계 분석 및 다국어 언어모델을 활용한 데이터셋의 타당성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제안하는 데이터셋의 효용성을 면밀하게 검증한다.

  • PDF

A Study on the Data Basic Law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Issue (데이터 기본법과 개인정보보호 이슈에 관한 고찰)

  • Kim, Jong-Won;Park, Ji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11
    • /
    • 2022
  • In order to sustain and revitaliz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ata economy, the world's first 'data basic law' has been enacted and implemented in Korea.,However, the law prioritizes the activation of data industry and the activation of data production, distribution and use that deals with the protection of data assets, so it can be applied and interpreted more tha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or the Copyright Act.,In this paper, the main contents of the data basic law are examined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issue is considered.

  • PDF

Analyzing Relationships Between Floating Population and Card Consuming Data in Seoul Before and After COVID-19 (코로나-19 전후에 따른 서울시 유동인구, 카드소비 데이터 관계분석)

  • Na, HyungSun;Kim, JinWoo;Ahn, Jinhyun;Jun, Daesung;Im, Dong-Hyuk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01-304
    • /
    • 2021
  • COVID-19 가 장기간 지속됨에 따라 시민들의 생활패턴, 생계 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의 유동인구 및 카드 소비데이터를 이용하여 COVID-19 가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려 한다.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대용량 데이터인 2019 년 1 월 ~6 월 그리고 2020 년 1 월 ~ 6월 서울시 유동인구 및 카드 소비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서울시를 각 행정구로 나누어 이에 관련한 유동인구의 변화, 유동인구의 증감의 변화를 추정하고 마찬가지로 카드소비데이터의 증감의 변화를 추정하여 서울시 여러 행정구의 유동인구, 카드데이터 두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를 다방면으로 분석하여 엄밀한 인구 밀집도 분석으로 COVID-19 가 서울 지역경제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Delineation of Functional Economic Areas in Korea based on Inter-firm Transaction Networks (기업 간 거래망에 기초한 기능적 경제권의 설정)

  • Park, Sohyun;Kwon, Kyusang;Park, Soyoung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제23권1호
    • /
    • pp.1-17
    • /
    • 2020
  • The study aims to identify economic interdependencies between regions and define functional economic areas of Korea by analyzing inter-firm transaction networks. Previous research has relied on pre-given administrative boundaries or cultural homogeneity and used data such as commuting, population movement, and cargo flows which could not fully explain economic activiti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his study applies a community detection method to inter-firm transaction networks derived from the CRETOP+ database of Korean corporate data. The novel dataset and the network analysis enables us to identify Korea's functional economic areas based on actual inter-firm linkages. Th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six to seven economic blocs in the networks as of 2018. In particular, one huge economic bloc is formed integrating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hungcheong, and Gangwon provinces. Meanwhile, North Jeolla and South Jeolla provinces form two economic blocs separately rather than being tied up in one bloc due to the low frequency of transactions between each other. The two big economic blocs of Daegu-Gyeongbuk and Busan-Gyeongnam exist, and interestingly, Ulsan, Gyeongju, and Pohang form a separate middle-sized bloc across the administrative boundarie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futur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based on functional economic areas derived from empirical data.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blic Open Data (공공개방데이터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 Park, Go-Eun;Kim, Chang-Ja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제13권10호
    • /
    • pp.135-146
    • /
    • 2015
  • Public data open is one of the important tasks of Korea Government 3.0. By making open data available to the private sector, the goal is to create jobs, increase innovation and improve quality of life. Public data open is a policy that emphasized its importance worldwide. Open data should have adequate quality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ublic. However, there are open data's quality problems due to the lack of data quality management and standard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data characteristics of public open data from existing researches. In addition, the model was modified and verified through a survey targeting the experts on public open data. The study indicates that public open data's quality characteristics as publicity, usability, reliability, suitabil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quality characteristics to improve the data quality and promote utilization of the open data.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DCAT-based Metadata Transformation Tool for Interoperability in Open Data Platforms (오픈데이터 플랫폼의 상호운용성을 위한 DCAT 기반 메타데이터 변환도구 설계 및 구현)

  • Park, Kyounghyun;Wonk, Hee Sun;Ryu, Keun Ho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제19권1호
    • /
    • pp.59-65
    • /
    • 2018
  • As open data(public data) began to be recognized as a source of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many countries began to build public data portals and provide open data to the private sector.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open source communities have begun to develop open data platform such as CKAN and enable to share dataset among open data platforms by applying metadata standard technology. However, many governments and local governments are still making it difficult to share data between data portals because they build their own platforms. In this paper, we propose a DCAT-based metadata transformation tool to solve these problems, and show how to transform a dataset into DC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