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화 참여 모델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블록체인 연구 동향 분석: 합의 알고리즘을 중심으로

  • Lee, Daehwa Rayer;Kim, Hyoungshick
    • Review of KIISC
    • /
    • v.28 no.3
    • /
    • pp.5-10
    • /
    • 2018
  • 블록체인의 특징인 신뢰성, 보안성, 투명성, 탈중앙성을 지지하는 합의 알고리즘을 환경과 목표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합의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참여 대상에 따라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나누어 설명하였고 체인 유지 방식에 따라 경쟁 방식 합의 알고리즘과 비경쟁 방식 합의 알고리즘으로 나누어 설명하였으며, 이를 위해 다섯가지 합의 알고리즘의 원리와 장단점 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참여 대상과 체인 유지 방식간의 관계와 신뢰모델과 중앙화, 속도, 보안성간의 관계를 도출해내었다. 향후에는 현재의 여러 합의 알고리즘 원리와 장단점을 발전 및 보완하여 환경과 목적에 따라 속도가 빠르고 보안적으로 안전하며 일관된 블록체인을 유지하는 합의 알고리즘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n the Issues of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Research Process in Korea (장애연구에의 지적장애인의 참여를 둘러싼 쟁점에 대한 고찰)

  • Kim, Jin-Woo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0 no.3
    • /
    • pp.83-10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an play a role as 'meaningful informants' in research process in Korea, by challenging the existing paradigm which consists of suspicion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ruthlessness of their statements, which results in ignorance on the covered life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is research, lessons which could learn through reinterpretation of my research experience are as follows. Firstly, the deficits of communication ability can be supplemented with restructuring interview instruments such as research questions, visual aids etc and adopting conversation analysis methods. Secondly, Suspicion on the truthlessness of their statements can be restructured by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reinterpretation on the representation of social reality. Thirdly, the mechanism of exclusion and oppression according to the ignorance can be substituted by 'uncovering the life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ich can be basis of reconstructing the contents of programmes in the disability service centers and disability policies in the government. With these research results it could be argued that there needs to includ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meaningful informants in the research projects funded by the government and also to provid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 diverse roles in the research process by virtue of the development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the near future.

  • PDF

Trend of Distributed Hash Tables-Based P2P (분산 해시 테이블 기반 P2P 기술 동향)

  • Kim, B.O.;Lee, I.W.;Park, H.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1 no.6 s.102
    • /
    • pp.179-189
    • /
    • 2006
  • 정보의 바다라고 널리 알려진 인터넷은 클라이언트-서버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패킷의 송/수신자가 정해져 있는 단방향 통신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사람들 사이의 맨투맨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송신과 수신이 정해져 있는 경우보다 대화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이 송/수신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양방향의 형태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불일치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가능성을 제한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단말이 송신과 수신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P2P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고안되었고, 현재, 이러한 P2P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 모델이 제안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P2P 네트워크의 구현 기술 중 하나인 분산 해시 테이블을 바탕으로 한 연구의 동향과 그 응용 현황에 대해서 살펴 보고자 한다.

Design of M-learning Tutoring System Using AFFIRIP model (AEFIRIP 모델을 이용한 M-learning 튜터링 시스템 설계)

  • Lee, Nam-Ju;Jun, Woo-Ch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8a
    • /
    • pp.307-312
    • /
    • 2006
  • M-learning (Mobile learning)을 기반으로 한 코스웨어나 모듈 설계 시 학습자의 적극적 참여와 의미 있는 상호작용의 기회 제공과 실제적 환경에서의 교육활동을 지원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M-learning을 기반으로 실제적 상황에서의 학습을 위한 지능적 튜터링 모델인 AEFIRIP (Activation, Externalization, Focusing, Interpretations, Reflection, Information Processing)모델을 활용하여 독서교육 튜터링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AEFIRIP 모델은 모바일 학습에 초점을 맞추어 실제적 상황에서 다양한 모바일 장비를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CSCL(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학습의 일환으로 활용 가능하다. AEFIRIP 모델은 6단계의 구조화된 모바일 튜터링을 통하여 학습 활동을 위한 반자동화된 튜터링을 제공하며, 개별화 학습을 가능케 한다. 본 시스템은 M-learning에서 학습자의 독서 단계에 따라 개별화된 튜터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자극 에이전트, 도움 에이전트, 요청 튜터링 에이전트, 튜터링 대화 에이전트, 개인 튜터링 에이전트, 튜터링 포인터 에이전트의 6단계의 튜터링 에이전트를 구안하였다. 본 시스템의 활용을 통하여 학습자는 실제적 환경에서 모바일 장비를 통하여 독서 활동과 관련한 튜터링을 제공받으며, 학습자와 교사 간 다양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 PDF

Software Process Management in Service Computing Using Grammar-Based Dialog Models (서비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문법기반의 대화모델을 통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관리)

  • Kim, Woongsup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393-1396
    • /
    • 2011
  • 서비스기반 아키텍쳐 (SOA)는 웹기반의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및 데이터 교환을 통하여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유연성있는 비즈니스 시스템의 통합이 간편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현재 많은 IT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SOA 는 call-and-return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어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과 같이 시스템 또는 시스템 참여자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이 수반되는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개발 프로세스에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복잡한 상호작용을 구현할 수 있는 SOA 기반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우리는 이 논문에서 복잡한 상호작용을 지원할 수 있는 SOA 기반 프레임워크를 소개한다. SOA 기반 프레임워크에서 다양한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하여 우리는 semantic web 과 dialog act 이론을 사용하였으며 개발프로세스에 적용할 수 있는 ontology 를 개발, 사용함에 의하여 SOA 환경에서 다양한 메시지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마지막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사례연구를 통하여 우리의 접근방법의 타당성을 보인다.

Investigation of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Communication Competence Considering Grammatical Features of Language in Science Learning (과학 학습 언어의 문법적 특성을 고려한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고찰)

  • Maeng, Seungho;Lee, Kwanhee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1 no.1
    • /
    • pp.30-43
    • /
    • 2022
  • In this study, elementary students' sci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grammatical features expressed in their language-use in classroom discourse and science writings. The classes were designed to integrate the evidence-based reasoning framework and traditional learning cycle and were conducted on fif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Eight elementary students' discourse data and writings were analyzed using lexico-grammatical resource analysis, which examined the discourse text's content and logical relation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tudent language used in analyzing data, interpreting evidence, or constructing explanations did not precisely conform to the grammatical features in science language use. However, they provided examples of grammatical metaphors by nominalizing observed events in the classroom discourses and those of causal relations in their writings. Thus, elementary students can use science language grammatically from science language-use experiences through listening to a teacher's instructional discourses or recognizing the grammatical structures of science texts in workbooks. The opportunities in which elementary students experience the language-use model in science learning need to be offered to understand the appropriate language use in the epistemic context of evidence-based reasoning and learn literacy skills in science.

'Collective intelligence Structure' Analysis (지식 생산 방식에 따른 집단지성 구조 분석 -네이버 지식IN과 위키피디아를 중심으로-)

  • Han, Chang-Ji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363-1373
    • /
    • 2009
  • 본 연구는 두 집단지성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인 네이버 지식iN과 위키피디아의 구조적, 경험적 차이를 바탕으로 생산의 차원에서 생산 주기, 생산 참여자, 생산물의 모델을 설정하고, 새롭게 탄생하는 지식을 중심으로 검증함으로써 최종 지식 소비 행위를 반영한 각각의 종합모델을 도출하였다. 우리는 웹에서 집단지성의 일상화를 확인할 수 있다. 지식 획득 매체가 매스미디어에서 인터넷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등장한 포털 및 검색사이트는 지식의 생산이 전문가패러다임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재편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그리고 이러한 생산 방식의 변화는 '지식'의 개념 역시 변화시키고 있다. 즉, 집단지성이라는 새로운 웹2.0의 현상이 지식생산방식을 변화시키고 변화된 지식생산방식은 '지식'자체를 변화시킨다는 이론적 가설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새로운 현상들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보다 엄밀하게 집단지성의 개념을 규정할 필요성에 출발하였다. 현재 집단지성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면서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위키 방식의 인터넷 서비스와 지식검색 방식의 인터넷 서비스를 비교함으로써 보다 정교한 집단지성의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위키형 집단지성과 지식검색형 집단지성의 차이점은 경험적으로도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험적 차이와 기존의 문헌에서 밝혀진 사실들을 바탕으로 두 서비스의 지식생산 방식을 생산플로우, 생산참여자 성향, 생산물(지식)의 성향과 같이 세 영역으로 나누어 각각의 가설 모델을 설정하고 이 모델을 선정된 질의어를 바탕으로 검증한 뒤에 최종적인 모델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지식검색형 집단지성은 '질문-답변-채택'의 구조이고, 그 구조 속에서 '질문기-답변기-순서화기'를 거쳐 하나의 지식 덩어리인 'K-let'을 생산한다. 생산된 'K-let'들은 지식검색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고, 이는 공통된 질의어를 기준으로 소비자들에 의해서 검색되어 소비된다. 하나의 질문에 대해 여러 개의 답변들이 존재하고, 답변자의 성향은 크게 전문성과 체계성을 바탕으로 한 전문가형 답변자와 경험적이고 의견지향적인 대화형 답변자로 나눠진다. 다수의 네티즌들의 참여에 의해서 지식의 생산이 진행되므로 질문의 성향 역시 사실, 의견, 경험 등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는 모델로 설정하였다. 반면에 위키형 집단지성은 개방형 플랫폼을 바탕으로 한 백과사전의 형식이며, 이러한 형식 속에서 최초의 개념어 등록과 다수의 편집활동을 거치면서 완성되지 않는 하나의 아티클인 'W-let'을 생산한다. 이러한 'W-let'은 생성 초기에 소수에 의한 활발한 내용 입력 활동으로 어느 정도의 안정화를 거친 후에는 꾸준한 다수의 수정활동을 통해서 'W-let'의 생명력을 유지함으로써 지식의 실제적인 변화를 반영한다. 생산된 'W-let'들은 위키형 집단지성 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고, 이것들은 내부링크를 통해서 모두 연결되어 있다. 백과사전 형식으로 하나의 개념어를 설명하는 하나의 아티클은 오로지 사실적인 지식들로만 구성되나 내부링크와 외부링크를 통해서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는 모델로 설정하였다. 위와 같이 설정된 모델을 바탕으로 공통된 질의어 및 개념어를 선정하여 각각의 서비스에 노출시켰다. 이를 통해서 얻어진 각 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모든 데이터들 중에서 일정한 기간을 기준으로 각각의 모델 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지식검색형 집단지성에서는 '질문-답변-채택'의 생산 구조 속에 다수가 참여하여 질문-채택답변-기타답변으로 배열되어 있는 완성된 형태의 K-let들을 지속적으로 생산하며 비슷한 성향을 가진 K-let들이 반복적으로 생산되어 지식검색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된다. 지식 소비자들은 질의어 검색을 통해서 다양한 K-let들을 선택하여 비교, 검토한 후에 선택된 K-let들의 배열은 해체되어 소비자들에 의해서 재배열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지식검색형 집단지성이란 다수의 의해서 생산되고 누적된 지식들이 소비자의 검색과 선택에 의해 해체되어 재배열되는 지식의 맞춤화 과정이라고 정의내릴 수 있었다. 반면에 위키형 집단지성에서는 '내용입력-미세수정' 구조 속에서 생명력 있는 W-let을 생성한다. W-let은 백과사전처럼 정리되어 내부링크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고, 외부링크를 통해 확장되고, 지식소비자들은 검색을 통해 최초의 W-let에 도달한 후에 링크를 선택함으로써 지식을 확장시킴을 검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위키형 집단지성이란 다수의 의해서 생산되고 정리된 지식들이 소비자의 검색과 링크에 의해 무한히 확장되는 지식의 확대 재생산되는 과정이라고 정의 내릴 수 있다. 결국, 현재의 집단지성이란 지식이 다수의 참여로 생산됨으로써 개인에게 맞춤화되고, 끊임없이 확대 재생산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집단지성의 방식은 지식이라는 현재의 차원을 넘어서 정치, 경제를 비롯한 사회의 전 영역으로 점차적으로 확대되어갈 것이다. 앞으로 연구들은 두 가지 모델이 혼재되어 있는 현재의 집단지성이 어떠한 새로운 모델을 만들면서 다른 영역으로 확장되어갈 것인지에 대해서 초점을 맞춰 나가야할 것이다.

  • PDF

A Design of Role Based Access Control Manager in Distributed Virtual Environment (분산 가상 환경에서 역할 기반 접근 제어 관리자 설계)

  • Jung, Heon-Man;Tak, Jin-Hyun;Lee, Sei-Hoon;Wang, Chang-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75-180
    • /
    • 2000
  • 분산 가상 환경은 고속 통신망과 컴퓨팅 환경의 고급화로 응용 분야를 넓혀 가고 있으며, 보다 현실감 있는 상호작용으로 인해 만남과 대화, 협력 작업, 상거래, 오락 등의 인간의 사회적 활동을 지원하는 새로운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가상 도시와 같은 대규모의 가상 환경에는 공원이나 거리, 건물의 로비 등과 같은 개방적인 공간과 사무실과 같은 업무 공간, 그리고 쇼핑몰과 같은 상거래 공간들이 공존하게 되므로 접근 제어와 보안이 보다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분산 가상 환경내의 모든 사물들을 객체로 인식하고, 객체에 대한 역할을 기반으로 하는 접근 제어 모델을 제안하고, 제안한 모델을 기반으로 접근 제어 관리자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접근 제어 관리자는 가상 환경내 공간의 객체 뿐만 아니라 공간 자체도 하나의 객체로 인식하여 접근 제어를 하였다. 또한, 대규모 공간에서의 중요한 특징인 관리의 용이성과 동적인 변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역할을 기반으로 참여자와 객체를 연결하고, 객체가 갖고 있는 행위까지를 제어할 수 있었다.

  • PDF

Strategy of CSR Storytelling with the application of Greimas Actantial Model -focusing on Hyundai Motor Company's CSR website (그레마스 행위소 모델을 통해 본 기업의 CSR스토리텔링 전략-현대자동차 CSR홈페이지를 중심으로)

  • HONG, Sook-Ye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10
    • /
    • pp.119-128
    • /
    • 2016
  • This study is designed with an intention to understand CSR story strategies that the corporates use, focusing on analyzing the method of composition of Hyundai Motor Company's CSR website stories. When analyzing based on interactivity, ease of use, newest, and informativity, interactive dialogue feature was mostly lacking. It is not the most up-to-date data and lacks the newest. However, as sharing information feature was presented, information spread quickly. When applying Greimas' Actantial Model into the 'CSR News' that conveys the news about corporate philanthropic activities, it turned out that the CSR strategies were authenticity, consistency and flexibility. When doing CSR storytelling, a corporate should not only use pre-existing executives and staff members but should use new icons including civic organizations and the youth if possible, and perform its role as a supporter. At the same time, a corporate must build strategical storytelling to the new values and engage in systematic corporate philanthropic activities that meets the need of the time period.

Pre-service Teachers'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 Identity via Planning, Enacting and Reflecting Inquiry-based Biology Instruction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사 정체성 형성 -생명과학 탐구 수업 시연 및 반성 과정을 중심으로-)

  • An, Jieun;Kim, Heui-Bai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1 no.6
    • /
    • pp.519-531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cience teacher identity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STs) in the context of a teaching practice course. Twenty-two PSTs who took the 'Biological Science Lab. for Inquiry Learning' course at the College of Educa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rtifacts created during the course were collected, and the teaching practices and reflection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In addition,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PSTs, recorded, and transcribed. We found the science teacher identity was not well revealed at the beginning of the course. Authoritative discourse appeared in the early oral reflections of PSTs, indicating that the PSTs perceived oral reflection activities as 'evaluation activities for teaching practice'. This perception shows that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 in teaching practice courses as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performing tasks and receiving evaluations from instructors. After the middle of the course, discourses showing the science teacher identity of the PSTs were observed. In the oral reflection after the middle part, dialogic discourses often arose, showing that the PSTs perceive the oral reflection activities as a 'learning activity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addition, in the second half, discourse appeared to connect and interpret one's experience with the teacher's activity, indicating that the PSTs perceive themselves as teachers at this stage.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experimental classes was expanded through the course. During the course, the practice of equalizing the authority of the participants, providing a role model for reflection, and experiencing various positions from multiple viewpoints in the clas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and continuation of the teacher identity.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on the teacher education process for teacher identity formation in P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