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한생명

검색결과 7,901건 처리시간 0.043초

통계학적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수소정제용 UiO-66 흡착제 개발 (Development of Adsorption Process with UiO-66 Particles for Hydrogen Purification Using Statistical Design of Experiment)

  • 이현식;김다솜;박지원;유계상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6호
    • /
    • pp.784-791
    • /
    • 2018
  • 다양한 합성조건에서 UiO-66 입자를 합성하여 수소정제용 이산화탄소 흡착량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통계학적 실험계획법을 이용하여 실험계획을 세우고 도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합성시간, 온도 및 아세트산의 용량이 증가할 수록 UiO-66입자의 결정도가 증가하였다. 특히 아세트산의 용량이 입자의 결정도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인자로 확인되었다. 질소흡착법으로 측정한 입자의 비표면적의 경우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실험계획법 중 일반요인분석을 이용하여 주요 인자에 대한 주효과도 및 교호작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비선형 회귀법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흡착량을 예측하였고, 모든 범위에서 대하여 흡착성능을 표면도와 등고선도를 통해 제시하였다.

비자 유박 추출물이 최종당화산물과 콜라겐 교차결합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efatted Torreya nucifera Seed Extract on the Cross-linking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to Collagen)

  • 손다희;김민경;박덕훈;정은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9-25
    • /
    • 2019
  • 최종당화산물은 환원당과 단백질, 지질 또는 핵산 사이의 당화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물질로 이물질은 피부 노화 과정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활성, 최종당화산물 생성 저해, 콜라겐과 최종당화산물의 교차결합 저해 및 억제,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효능 시험을 통해서 비자나무 유박 추출물의 항노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시험 결과, 비자나무 유박 추출물은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으며, DPPH와 ABTS 자유라디칼을 50% 소거할 수 있는 농도는 각각 $16.4{\mu}g$ (Dried materials, DM)/mL과 $16.7{\mu}g\;DM/mL$ 로 관찰되었다. 또한, 비자나무 유박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최종당화산물 생성과 엘라스타제 활성을 저해하였고, 콜라겐과 최종당화산물의 교차결합을 저해 및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자나무 유박 추출물은 항노화 효능이 있는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환경부지정 한반도 미유입 환경위해우려식물종에 대한 분류학적 특성, 환경위해성 및 잡초위험평가 자료 보고 (I) (A Report on the Taxonomic Characters, Ecological Risk and Weed Risk Assessment of Un-introduced Plants which are Designated in Law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as Environmentally Harmful Species (I))

  • 윤창영;박광우;정준형;현종영;김주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43-558
    • /
    • 2019
  • 2016년 환경부가 한반도 미유입 환경위해우려종으로 고시한 41분류군을 대상으로, 분류학적 특징을 이용하여 종을 동정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또한 자생지의 분포 및 환경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외의 여러 표본관에 소장된 건조표본을 확인하였으며, 미국 서부지역인 캘리포니아주, 오레곤주 및 워싱턴주의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우선, 조사 결과의 일부로 미국 서부 농업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Carduus acanthoides L. (국화과), Carduus tenuiflorus W. Curtis (국화과), Onopordum acanthium L. (국화과), Chromolaena odorata (L.) R.M. King & H. Rob. (국화과), Hydrocotyle ranunculoides L.f. (산형과), Oenanthe pimpinelloides L. (산형과), Ehrharta erecta Lam. (벼과), Paspalum conjugatum P.J. Bergius (벼과)의 8종에 대하여 위해성 검토, 잡초위험평가, 분류학적 특징 및 국내외 유사종과의 비교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식물 RNA 바이러스의 진화와 병저항성 극복 기작 (Evolution of Plant RNA Viruses and Mechanisms in Overcoming Plant Resistance)

  • 김명휘;권선정;서장균
    • 식물병연구
    • /
    • 제27권4호
    • /
    • pp.137-148
    • /
    • 2021
  • 식물 RNA 바이러스는 전세계적으로 작물 생산량에 큰 손실을 일으키는 주요 병원체 중 하나로, RNA 바이러스가 갖는 특징인 짧은 복제 주기, 게놈 복제 중의 높은 변이 발생률 등으로 인해 높은 유전적 다양성과 적응성을 가지며 진화해 왔다. 식물 RNA 바이러스는 유전적 다양성을 갖는 유사종 군집으로 존재하며, 환경 변화에 따른 선택압으로 새로운 적합성을 갖는 군집으로의 변천이 빠르게 일어날 수 있다. 식물의 저항성은 일종의 선택압으로 작용하여 바이러스의 적합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기주의 저항성을 극복하는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식물 RNA 바이러스에 대한 진화적 관점 및 진화의 원동력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식물 저항성을 극복하는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 기작을 다루고자 한다. 또한 바이러스병에 대한 저항성 전개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전략에 대해 논하였다.

인도네시아와 태국의 Bandicota indica 폐장조직에서 분리된 한타바이러스의 분자생물학적 특징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Hantavirus Isolates from Bandicota indica Captured in Indonesia and Thailand)

  • 주용규;;송대용;우영대;;;이호왕
    • 대한바이러스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03-210
    • /
    • 2000
  • Hantaviruses are etiologic agents of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HFRS) and hantavirus pulmonary syndrome (HPS) in the world. Various hantaviruses were isolated from HFRS patients and several different rodent species in the world. Four hantavirus isolates from Indonesia and three isolates from Thailand among 89 Bandicotas captured in Yogyakarta, east region of Sumatra island, Indonesia and at Chiang Mai in Thailand during 1996 were made through several passages in Vero E6 cells. Viral genome M segment from two Indonesian isolates and three Thailand isolates were amplified using hantavirus generic primers of the M segment and cloned into pCRII vector. The genetic differences were analyzed by comparison of partial sequence of the M segment and antigenic differences were made by IFA. Nucleotide sequence homology of two isolates BC 8, BC 34 from Indonesia and two isolates thai 1322, thai 1330 to Seoul virus was 99% and 96%, respectively, but Thai 1164 was 80%Thai 1164 strain has shown 95% homology to Thai 749 virus. In conclusion it is indicated that two different serotype hantaviruses, Seoul and Thailand, are cocirculating among Bandicota in Thailand, in contrast Seoul serotype virus is circulating in Indonesia.

  • PDF

저탄소 벼 논물관리를 위한 농업인 교육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Agricultural Education for Paddy Rice Water Management for Low Carbon Emission)

  • 이슬기;골든 오데이;감호준;강요셉;전진렬;박은정;이인중;최경숙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341-341
    • /
    • 2023
  •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기후변화로 최근 극한의 가뭄이나 홍수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경제·사회적으로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기후변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원인 중 하나인 온실가스에 대한 관심 높은 실정이며, 전 지구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탄소중립을 위한 정책이나 실천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50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을 수립하였으며, 농축산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배출량인 24.7백만톤 대비하여 2030년까지 27.1%인 약 6.7백만톤 감축을 목표로 하며 그 중 벼 논물관리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은 540천톤으로 농업인의 참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탄소 논물관리를 위한 농업인 대상으로 총 3회의 교육을 실시하였다. 저탄소 논물관리 참여의식 고츼 및 탄소 중립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한 교육을 실시하였고 교육 전·후 참여 농업인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저탄소 논물관리의 핵심인 중간 물떼기와 관련된 설문 결과, 교육 전 2주 미만 논물을 건조한다고 응답한 농업인은 51%였으나 교육 3회 실시 후 설문에서는 2주일 이상 논물을 건조한다고 응답한 농업인이 78%로 증가하였다. 또한, 출수기부터 완전 물떼기 전까지의 논물관리 방식인 걸러대기는 교육전 49%였지만 교육 실시 후 74%로 증가하여 걸러대기를 실천하는 농업인 비율이 높아졌다. 이처럼 농업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한 정책이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실천되기 위해서는 농업인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와 같이 농업인 대상의 교육이나 컨설팅 등이 함께 이루어진다면 더욱 높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반지련(半枝蓮)과 항암제 병용 투여에 의한 암세포 성장 저해에 관한 연구 (Increasing Effects of Apoptosis When Co-treated Scutellaria barbata D. Don. with Anti-cancer Drugs)

  • 남주영;성정석;전현익;이정원;권수경;김동일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5-139
    • /
    • 2009
  • Purpose: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find out increasing effects of S. barbata. co-treatment with anti-cancer drugs at cancer cell's growth inhibition effect. Methods: Divergent observational study of the S. barbata. co-treatment with Cisplatin treatment on HeLa cell. Cell viability using MTT assay, Cell Culture and Cytotoxicity Studies, Cell Cycle Analysis, Annexin V-FITC/PI assay, Cell morphological assessment, PARP cleavage using Western blotting analysis when HeLa cell were co-treated with Cisplatin and Scutellaria Barbata extracts. Results: When HeLa cell were co-treated with Cisplatin and Scutellaria Barbata extracts, we found out viability of HeLa cell, changing in the distribution of cell cycle, Annexin V-FITC staining, DAPI staining, PARP clavage protein assay by Western-blot. So Scutellaria Barbata extracts have increased apoptosis Conclusion: When co-treated Scutellaria Barbata extracts with anti-cancer drugs, the anti-cancer effects were increased. We still not sure which constituent apoptosis at cancer cells and activates anti-cancer effects suppressing, but we believe that it'll be revealed here after with following experiments.

제주도 야생버섯 hyphosphere 토양에서 분리된 국내 미기록 진균 11종 보고 (Eleven previously unrecorded fungal species isolated from hyphosphere soil supporting wild mushrooms in Jeju Island)

  • 노형진;김예인;이동형;고평열;박혜성;이강효;김성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28-240
    • /
    • 2023
  • 야생버섯의 결실에 미치는 미생물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제주도 곶자왈 지역에서 발견된 야생버섯, 끈적버섯 (Cortinarius violaceus), 달걀버섯 (Amanita hemibapha), 색시졸각버섯 (Laccaria vinacelavellanea), 흰알광대버섯 (Amanita verna)의 근권토양 균류를 조사하였다. 형태학적 특성 조사와 ITS, LSU rDNA, β-tubulin 유전자 서열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동정하는 과정에서 국내 미기록 진균 11종을 분리하였다. 이들 진균은 Arthrinium kogelbergensis, Kalmusia longisporum, Keithomyces carneum, Neopyrenochaeta cercidis, Penicillium ranomafanaense, Phomatodes nebulosa, Pyrenochaeta nobilis, Tollypocladium album, Talaromyces kendrickii, Talaromyces qii, Umbelopsis gibberispora이다. 이들 11종에 진균에 대한 형태적 특성과 계통발생학적 위치를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