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청도

Search Result 55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Storage Reallocation for Daechung Multipurpose Reservoir (대청댐 용량 재할당에 대한 연구)

  • Yi, Jae-Eung;Kwon, D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304-30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의 대청다목적댐을 대상으로 대청댐의 제한수위를 변화시켜 가며 대청댐의 홍수조절과 용수공급능력을 판단하였다. 이를 위하여 홍수기 저수지 모의운영 방법 중 Rigid ROM 기법을 수정$\cdot$보완하여 개발한 모의기법을 이용하여 빈도별 홍수유입량에 대해 홍수기 저수지 운영을 실시하였다. 모의운영에 의해 얻은 방류량을 대청댐으로부터 공주지점까지 홍수추적함으로써 공주지점의 최대홍수량을 산정하였다. 산출된 공주지점 최대홍수량을 토대로 대청댐 제한수위의 변화와 빈도별 유입 홍수량의 함수로써 공주지점의 최대홍수량 관계식을 유도하고, 이 관계식을 이용하여 합리적인 대청댐 재할당 수위 및 대청댐 홍수조절 능력을 산정하였다. 또한 대청댐의 상시만수위를 변화시키면서 신뢰도 $95\%$를 만족시키는 용수공급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홍수조절 측면에서 대청댐의 상시만수위를 78m로 재할당시에 24시간 지속기간을 갖는 300년 빈도 홍수에도 홍수조절이 가능하므로 대청댐의 용량 재할당량은 78m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78m로 재할당 했을 시 이수측면에서 신뢰도 $95\%$를 만족시키는 용수공급량은 기존의 상시만수위 76.5m로 운영했을 시와 비교하여 약 $3\%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An Analysis of River-Bed Changes in the Daecheong Dam Downstream (대청댐 하류구간에 대한 하상변동 분석)

  • Jeong, Sang-Man;Choi, Kyu-Ho;Kim, Do-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596-1600
    • /
    • 2006
  • 자연적인 하천은 하도 상황의 변경, 유역 토지이용의 변화, 댐과 저수지, 하천 골재채취의 영향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하상변동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 대청댐 하류구간의 실측자료를 토대로 장기하상변동 모의를 하여 예측된 결과와 실측단면을 비교하였으며, 실측단면이 장기하상변동 모의결과보다 상당히 저하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금강의 측량자료를 수집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금강의 하상이 지속적으로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청댐 하류의 하상고는 대청댐 상류보다 저하폭이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원인분석 결과 대청댐 건설로 인한 유사차단으로 인하여 대청댐 하류의 하상고는 지속적으로 저하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주요원인으로 금강의 골재채취가 금강하류 하상변동에서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Modeling of Water Circulation and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in Lake Daecheong (대청호내 흐름 및 유입 부유사 확산 모델링)

  • Jung Tae Sung;Hwang Jung Hw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6 no.4
    • /
    • pp.67-82
    • /
    • 2003
  • A 2-dimensional hydrodynamic model has been applied to understand water circulation pattern in Lake Deacheong. The simulation results have been used in sediment transport modeling. A sediment transport model using a particle tracking method has been developed to simulate sediment transport in the ocean, river and reservoir. The model was applied to estimate transport track of particulate pollutants in the lake. The hydrodynamic model was verified for water level variations and showed good agreements. Through the results we found out that water velocity is less than 5 cnysec for mean yearly flow and more than 120 cnysec at some points for the simulated flood flow. The incoming sediment particles in flood season reached into the Daecheong Dam. But the incoming sediment particles in the mean flow were settled down at riverbed and didn't move into the dam. These results can be used in setting up water quality management plan in the lake.

  • PDF

A Study on Insect Diversity in the Island of Daecheong-do and Socheong-do, Korea (대청도와 소청도에 서식하는 곤충다양성에 관한 연구)

  • Lim, Heon-Myoung;Kim, Do-Seong;Choi, Min-Joo;Cha, Jin-Yeol;Park, Seong-Jo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8 no.6
    • /
    • pp.664-696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sect diversity in the islands of Daecheong-do and Socheong-do, Incheon,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six times throughout the day and night from June to October 2011. As a result, a total of 336 species, belonging to 78 families of 9 orders of insects were collected: 286 species, of 75 families in 9 orders from Daecheong-do and 106 species, 42 families and 8 orders from Socheong-do. 744 species, belonging to 103 families of 10 orders were identified in total including previous reference. Lepidoptera was the most commonly identified order with 439 species of 29 families (59%), and the next most commonly identified order was Coleoptera with 124 species of 27 families (16%). Among them, Copris tripartitus and Fabriciana nerippe, endangered species of wildlife fauna in Korea, were found in this study. Also, 2 species (Coenonympha oedippus, Lycaena dispar) belonging to IUCN Red List, 25 species belonging to Management of Exportable species, 5 species belonging to Endemic species, 6 species belonging to Korean Red List, 77 species belonging to Designated species and 2 species belonging to Climate-sensitive Indicator species were recorded. In this study, 147 species of 58 families and 43 species of 24 families were newly added in Daecheong-do and Socheong-do, respectively.

Water Quality Modelling of Daechung Lake - Effect of Yongdam Dam (용담댐의 영향분석을 위한 대청호 수질모델링)

  • Seo, Dong-Il;Lee, Eun-Hyo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6
    • /
    • pp.737-751
    • /
    • 2002
  • Water quality in Daechung Lake was predicted for various discharge conditions of Yongdam dam. The same scenarios were applied as in the previous paper by the authors for Keum River water quality modeling. Effects in water quality due to changes in discharge conditions from Yongdam Dam were less distinct to the Daechung Lake than to the inflowing Keum River due to sink processes in the lake. For the minimum flow year, it is appropriate to maintain Yongdam dam discharge rate to 8.9 $m^3$/sec considering the current field conditions and future predictions of TN and TP concentrations of Yongdam dam. Effect of Yongdam dam discharge conditions to the Daechung Lake water quality were stronger for drier year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ffects were dependent upon the water quality of Yongdam discharge at the same time. Therefore, water quality management effort should be emphasized before the discussion over the discharge volume of Yongdam dam. The input data sets for simulations in this study were formulated using the available data and assumptions based on authors experiences for the fields. Therefore, continued data collection effort will ensure the validity of this study.

Waste Assimilative Capacity and Total Emission Control of Daechong Reservoir in Korea (대청호의 환경용량과 총량규제)

  • Lee, Jong-H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1 no.1
    • /
    • pp.1-12
    • /
    • 2002
  • 중부지방 3백만 주민의 상수원으로 이용되는 대청호는 부영양화가 심화되어 적절한 수질관리가 없으면 상수원수의 최저등급인 3급수를 만족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고 있다. 그래서 2002년 1월에 금강수계 물관리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는 바, 오염총량제와 수변구역의 지정을 통한 수질보전 등을 주요한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다. 오염총량제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대청호의 환경용량을 추정하는 것이 필수 불가결하다. 환경용량의 추정은 장래 대청호 수질영향권역에서 개발사업이 이뤄질 때 환경영향평가 특히 누적영향평가를 위해 필요하다. 대청호의 환경용량을 추정하기 위해 오염부하량과 유량의 변화가 대청호의 총질소와 총인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WASF5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총질소 부하량이 50%증가한다고 가정했을때 갈수기. 명수기, 홍수기에 각각 0.14-0.29 mg/l, 0.12-0.16 mg/l and 0.03-0.05 mg/l 정도의 농도 변화가 예측되었다. 총질소 부하량이 지금의 반이하로 감소하더라도 총질소농도 5급수기준 (1.0-1.5 mg/l)을 달성할 수가 없다. 대청호의 환경용량을 상수원수 3급수기준으로 산정한다면, 그것은 현재의 총질소 부하량의 반보다 훨씬 적다고 추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총질소 부하량은 지금의 반이하로 줄어들어야 할 것이다. 총인 부하량이 50%증가한다고 가정했을 때 갈수기, 평수기, 홍수기에 각각 0.005-0.011 mg/l, 0.004-0.006 mg/l and 0.001-0.002 mg/l 정도의 농도 변화가 예측되었다. 총인 부하량이 지금의 반이하로 감소하더라도 총인 농도 4급수기준 (0.05-0.1 mg/l)을 간신히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대청호의 환경용량은 지금의 총인 부하량의 반정도로 추정할 수 있으며 총인 부하량은 지금의 반이하로 줄어들어야 할 것이다. 오염부하량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정오염원과 비정오염원으로 나눠 제시하였고 오염총량제 실현방안을 제시하였다.

Structural Geometry of a Regional-scale Overturned Fold in the Daecheong Island, Central-western Korean Peninsula (한반도 중서부 대청도에 발달하는 광역규모 과습곡의 구조기하학적 특징)

  • Jeong-Yeong Park;Deung-Lyong Cho;Seung Hwan Lee;Yujung Kwak;Seung-Ik Park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7 no.1
    • /
    • pp.41-50
    • /
    • 2024
  • This study reports the structural geometry and folding mechanism of a regional-scale overturned fold in the Daecheong Island, central-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low-hemisphere stereographic and down-plunge projections using data from a detailed field survey, we classify the regional-scale fold as an open overturned fold shallowly plunging toward NE. The asymmetric and symmetric parasitic folds in the limb and hinge zones indicate layer-parallel shortening prior to flexural-flow folding. Fold dating must be required to decipher the orogenic process causing the regional-scale overturned fold in the Daecheong Island.

The first record of Thyrocarpus glochidiatus (Boraginaceae) in Korea (한반도 미기록속 식물: 대청지치(지치과))

  • Yang, Jong-Cheol;Lee, You-Mi;Park, Soo-Hyun;Ha, Sang-Gyo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0 no.1
    • /
    • pp.71-73
    • /
    • 2010
  • We report for the first time a taxon of the genus Thyrocarpus (Boraginaceae) from Daecheongdo, Ongin-gun, Incheon-si in Korea. This taxon appears to be Thyrocarpus glochidiatus Maxim., previously known from China. The new Korean name, 'Dae-Cheong-Ji-Chi', was given considering the name of discovered location. A description, an illustration and a photograph were given.

Rainfall-Runoff Character Using Rainfall-Runoff Forecasting Model (RRFS) on Daecheong Dam Basin (RRFS에 의한 대청댐 유역의 강우-유출 특성)

  • Maeng, Seung-Jin;Hwang, Man-Ha;Ko, Ick-Hwan;Lee, Hyeo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82-178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1983년부터 2004년까지의 대청댐 유입량과 RRFS에 의한 모의 유출량 분석을 실시하여 해당 월의 강우 특성에 대응하는 유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청댐의 강수량대비 유출율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대청댐 유입량의 유출률은 약 $20%{\sim}80%$의 큰 편차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원인은 연강수량의 편차가 크기 때문이다. 연강수량과 유출율 관계에 대한 상관분석결과 결정계수가 0.7261로서 5% 수준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강우량 대비 분기별/월별 유출률 변화를 살펴보면 대청댐 유입량의 경우 홍수기인 3/4분기에 강우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출률이 증가하여 나타났으나 이외의 시기에서는 커다란 산포도를 보이며 뚜렷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와 같은 특성은 월별 유출률 변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후속으로는 유역유출의 주요인자인 강우량뿐만 아니라 용수이용량, 회귀량 등과 같은 여러 유출인자에 대해 유출량과의 물리적/통계학적인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소유역 및 주요지점별로 유출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개발된 유출 지표는 RRFS 모의 운영상의 중요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