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처 방안

Search Result 1,66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strateg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burnout and school adjustment in Korean adolescents (청소년의 학업소진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 Kim, Jung-Hyun;Yoon, Yeo-Jin;Jung, In-Kyung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8 no.1
    • /
    • pp.71-8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strateg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burnout and school adjustment in Korea adolescent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convenience sample drawn from 1,232 students from junior high schools in Kunggi Provinc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ackage program.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44.6% of students are dissatisfied with their own academic grade. Antipathy and cynicism showed the most impact on academic burnout. In addition, academic burnout was negatively related with school adjustment. Especially academic burnout exerted inverse relationship with school adjustment, whereas problem oriented and seeking social support coping positively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Problem oriented and seeking social support cop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burnout and school adjust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improvement of active stress coping is important to prevent the symptoms of academic burnout and to increase the school adjustment.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Resilience on Stress Coping Strategies for Health-care Promo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치위생과 학생의 헬스케어 증진을 위한 감성지능과 회복탄력성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 Oh, Han-Na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5 no.4
    • /
    • pp.317-324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arrange a plan available for efficiently alleviating stress through confirming factors of affecting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in dental hygiene students. As for data collec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98 dental hygiene students at the university where is located in Jeonbuk area. The analytical processing was made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IBM SPSS Statistics 19.0. As a result, the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significant relevance with resilience(r=.757, p<.001) and stress coping strategies(r=.563, p<.001). Resilience reflect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 stress coping strategies(r=.456, p<.001). Also, emotional intelligence(β=.344, p<.001) and resilience(β=.148, p<.032) were identified to have influence upon a stress coping strategies. Based on the outcome of this study, the basic data was suggested in preparing a plan available for increasing a stress coping strategies in dental hygiene students. The necessity of a follow-up research was proposed.

A Study on Applicability of Augmented Reality for Water Hazard Information Service (수재해 정보 서비스를 위한 증강현실 적용성 연구)

  • KIM, Dong-Young;Myung, Yu-Ri;HWANG, Eui-Ho;CHAE, Hyo-S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81-481
    • /
    • 2017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국내 기상특성이 변화하고 그에 따라 홍수, 가뭄(건천화) 및 폭염 등 물 관련 재해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규모 또한 점점 커지고 있다. 또한, 세계적으로 태풍 및 가뭄발생 빈도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정확한 예측 및 즉각적 대처능력 확보를 위한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아울러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빈번한 내수범람 및 유역차원의 홍수범람 등으로 인해 재난발생 시 그 피해가 극대화로 직결되고 있어 재난 시 발생할 수 있는 피해 현황을 정확하게 예 경보하기 위한 실시간 수재해 정보 서비스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통합 관리 기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현실에서 실시간으로 수재해 관련 부가정보를 영상으로 표출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서비스할 수 있는 증강현실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홍수, 가뭄(건천화) 및 태풍 등 물 관련 재해 현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예측하여 대처 할 수 있는 정보 생산과 서비스 및 모니터링 등의 통합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손쉽게 소통할 수 있는 수재해 정보 서비스 구현을 위한 맞춤형 기술을 개발하고자 빅데이터 기반의 수재해 정보 증강현실(AR) 적용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재해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관리자 및 사용자를 고려한 GUI 설계 및 수재해 정보의 Global 위성지도 기반 3D 시각화 적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향후 스마트폰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재해 대처 방안 및 행동 요령을 효과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재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App)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 개발된 증강현실 모니터링 시스템은 수재해 정보 서비스를 향상시키고 효율적인 예방 및 대처를 실현함으로써 국가 물 관련 재해를 혁신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는 소중한 토대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