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중교통 정보 서비스

Search Result 12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Public Transportation Integrated Pedestrian Path Information Service (보행자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연구)

  • Kim, Jae-Kwon;Bae, Eun-Shil;Byun, Woo-Sub;Park, Sang-Bong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3-9
    • /
    • 2005
  • 무선통신 기술과 정보 기술을 이용해서 사용자 무선 단말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텔레매틱스 서비스는 차량 운전자, 탑승자 및 보행자 등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다. 또한 무선통신망의 발전으로 인해 광대역 통신의 대용량 텔레매틱스 서비스로의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텔레매틱스 서비스 중에서 대중교통의 편리한 사용을 위한 보행자 위주의 길안내 서비스에 대해 논한다. 보행자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를 위한 요구 사항을 기반으로 서비스 기능을 정의하고 서비스를 분류함으로써 보행자의 도보 및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를 제안한다. 보행자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는 보행자 도보 길안내 기능, 출발지와 목적지 기반의 One-Stop 대중교통 안내 기능, 대중교통 정보 제공 기능, 경로 예약 기능, 개인화 기능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기능의 정의 및 구성 요건들을 제안한다.

  • PDF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TAGO(Transport Advice on GOing anywhere)system (실시간 대중교통 종합 환승정보(TAGO) 구축 및 발전방향)

  • Moon, Hak-Yong;Byun, Sang-Chol;Ryu, Eun-Su;Han, Dae-Cho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046-1047
    • /
    • 2008
  • 실시간 대중교통 종합 환승정보(TAGO)시스템은 대중교통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제공을 목적으로 교통 수단간 환승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TAGO는 항공, 철도, 버스(시외/시내/고속), 지하철 등 대중교통 뿐 아니라 자가용, 자전거 이용자의 환승을 고려한 정적/동적 운행정보, 소통 정보를 연계하여 통합하고, 네비게이션 서비스, 지역정보 서비스, 돌발 상황, 날씨 정보, 통계 정보를 인터넷 TAGO 홈페이지(www.tago.go,kr)와 환승 지점에서의 현장안내장비(Kiosk, PDP)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현재 TAGO는 3차 사업이 진행 중이며 전국 단위 장거리 교통수단과 지역내 단거리 교통수단의 교통정보를 연계하여 효율적인 환승정보를 제공하여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미래의 TAGO 시스템은 유비쿼터스 시대의 신개념 교통정보 제공을 위한 확장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범위를 확대하며,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전국 어느곳에서든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교통수단의 선택, 경로안내, 환승정보, 지역정보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 PDF

A Contextual Study of Public Transport Information Service Use Behavior in Daily Activity (일상 활동에서의 상황변수를 고려한 대중교통 정보서비스 이용 유형 연구)

  • Jo, Chang-Hyeon;Lee, Baek-Jin;Bin, Mi-Ye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8 no.4
    • /
    • pp.19-30
    • /
    • 2010
  • It has become important to have some proper guidelines of how to provide public transport information services in response to the rapid IT developments and the wide spread of public information services. The current study takes a contextual approach to the analysis of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use under a dynamic decision situation, complementing the conventional cross-sectional approaches. Using the CHAID of decision tree induction based on decision table formalism applied to the survey data of activity travel and information use, the study found that the information type and medium choices are strongly affected by the decision contexts in addition to the individual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uggest an important implication to the market segmentation of information services for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Evaluation Models from Transit Users' Perspectives (대중교통 이용자 관점의 서비스 평가 모형 개발)

  • Kim, Won-Gil;Roh, Chang-Gyun;Son, Bong-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0 no.1
    • /
    • pp.149-159
    • /
    • 2012
  • The evaluation of public transit service quality is more complicated than evaluating other aspects of transportation service. Although various measures of effectiveness [MOEs] for transit service have been studied and applied, a more comprehensive and accurate MOE is still required. In the past, either data from user surveys or the experience of bus agency administrators and/or engineers used to measure the quality of service. However, recently, with reliable and accurate real time data from BMS(Bus Management System) and BIS(Bus Information System), more reliable and accurate MOEs are available. This study develops a service evaluation model from users' perspectives, which is based on user' cost models that consider passenger access time, riding time, waiting time, and discomfort due to in-vehicle overcrowding, violation of traffic laws, and accident rate. For validating proposed model, data from the BMS and transit-fare cards (T-Money Card) for Seoul's No. 472 main bus line were used. Models developed in this study provided reliable result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ransit-Poors in Urban Areas (대중교통서비스 취약계층의 공간적 분포 특성)

  • Kim, Jae-Ik;Kang, Seung-Kyu;Kwon, Jin-Hw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1 no.2
    • /
    • pp.1-12
    • /
    • 2008
  • This paper identifies public transit-poors and derives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oors' distribution in an urban area by utilizing buffering analysi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nd remote sensing techniques in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Since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elderlies, this study assigns three hundred meter buffer from bus/subway station as service boundary for elderl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tell us that 1) the transit-poors are concentrated on suburban and rural regions, 2) high proportions of the transit poors are elderlies with spatial variations in many regions, 3) the main housing type of the transit-poors is single detached house. We expect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build an effective policy-making by showing essential technical processes and methods in identifying policy-need group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 PDF

Implementation of a Busline Guidance System on Internet (인터넷에서의 버스 노선 안내 서비스 시스템의 구현)

  • 유승원;차상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105-107
    • /
    • 1999
  • 최근 자동차 수의 급속한 증가와 대중 교통의 발달로 인하여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과 같은 지리/교통 안내 시스템의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로 대중 교통의 관리와 안내 서비스가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많은 사람들이 대중 교통을 이용하고 있고, 대중 교통이 대도시 교통체증의 중요 해결책으로 인식되므로 이러한 기능이 더욱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버스 노선 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한 경험을 소개한다. 버스 노선 안내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가 접근하기 용이해야 하며 실용적인 서비스 결과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추후 개발되는 여러 ITS 구성 요소들과 유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상호 운용성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 객체 미들웨어의 표준인 CORBA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한 접근이 용이하고 상호 운용성이 뛰어난 시스템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 시스템의 구조와 스키마는 추후 다른 대중 교통 안내 서비스 시스템과의 연계 혹은 다른 ITS 구성 요소와의 연계에 쉽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Conceptual Model for Location Based Public Transit Transfer Information Service (사용자 위치기반 환승정보서비스 개념모델)

  • Lim, Jung-Sil;Moon, Young-Jun;Oh, Young-Tae;Lee, Choul-Ki;Bae, Myoung-H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7 no.4
    • /
    • pp.1-12
    • /
    • 2008
  • The issues of developing the value added services for public transport connectivity and transfer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s been discussed in terms of incorporating system facilities with public transit modes to increase the ridership of public transit. This paper demonstrates a conceptual model for providing the location based public transit transfer information service on demand with respect to system requirements, subsystems, and logical architecture based on the national ITS architecture. The subsystems in this study which include transfer information center, parking concierge, user route guidance an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re also investigated in detail in order for information service and/or contents provider to develop business models on public transit connectivity and transfer. This model is expected to be utilized in providing the variety of service models with the different types of public transit connectivity and transfer systems according to the system scale and the public transit modes.

  • PDF

A Study on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 (대중교통 정보 시스템에 관한 연구)

  • Lee, Jeongyeop;Lee, Jongkook;Song, Eunj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932-934
    • /
    • 2016
  • 우리나라는 수도권지역에 인구 밀집도가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나라이다. 상황이 이러한 만큼 수도권지역의 사람들은 대중교통을 이용한 출퇴근이나 등교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돕고자 대중교통에 관련된 많은 어플리케이션이 출시되어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대중교통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정적인 시간표를 알려주는 어플리케이션이고, 좀 더 나아가 발전한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도 사용자의 수동적인 환경에서만 알림이나 실시간 등의 기능을 제공해주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그러한 기능이 있는지조차 모르고 사용 중인 이용자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 시간상황에 맞는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해주고, 알림기능으로 사용자에게 능동적인 계획을 구성해주는 것은 물론 지하철과 버스 그리고 대중교통이 아닌 도보의 상황까지 판단하여 종합적인 정보제공을 해주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Introducing Autonomous Public Transportation On-demand Service in Real Time Using Delphi Method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실시간 수요대응 자율주행 대중교통서비스 도입 방안 연구)

  • Joung, Junyoung;Shim, Sangwoo;Kim, Minseo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1 no.5
    • /
    • pp.183-196
    • /
    • 2022
  • Public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has been evaluated through minimum level of service for public transportation. However it is evaluated based operators rather than users. This study analyzed the users' accessibility(first-mile, last-mile) to public transportation using altteul transport card data. As a result of user's accessibility of public transportation, rural areas was lower than that in the urban areas. This study calssified type 1 and 2 based average approach time, and average approach time of Type 1 and 2 were more than average approach time of total area. We propsed an efficient introduction of autonomous public transportation on-demand service using delphi survey. As a result of delphi survey, experts agreed on 9 items regarding function, service item, route operation, approach distance, route mileage, punctuality.

The Method to Converge of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in Domestic and Foreign (국내외 대중교통정보 융합·연계방안)

  • Sohn, Woo-Yong;An, Tae-Ki;Lee, Won-Go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3
    • /
    • pp.41-48
    • /
    • 2017
  • The TAGO and TOPIS systems have limitations in providing not only information collection problems but also customized information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users in providing information.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integrated link information for various means. In addition, there is a limitation in using public transportation because all the users can not conveniently use public transportation because of lack of user - customized information and traffic - related information. In this paper,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public transport information systems and services, Through this, we expect to be able to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tailored to the requirements of users by providing integrated linking information for various me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