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여 의류

검색결과 452건 처리시간 0.033초

사용자간 의류를 공유할 수 있는 의류대여 플랫폼 (Clothing rental platform that can share clothing among users)

  • 김다빈;김아연;김태형;김현지;박혜진;최지은;김병완;이병권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279-281
    • /
    • 2021
  • 현재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상황이 지속되면서 온라인 쇼핑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불필요한 의류자원 낭비 증가와 온라인 거래에서의 배송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위치기반 서비스 기술을 활용한 의류를 공유할 수 있는 의류대여 서비스를 제안하고, 시스템을 구축해 봄으로써 앞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의류대여 플랫폼을 제공하고 이용자와 대여자가 직접만나 직거래를 한다. 이로써 새로운 거래문화 형성 및 사회적 자원낭비 감소효과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의류대여 플랫폼을 제안한다.

  • PDF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수요 경향 -패션 라이프 스타일과 디지털 라이프 스타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stomer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Smart Clothiong based on the customer's Lifestyle)

  • 조하경;이주현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114-1121
    • /
    • 2009
  • 1990 년대 후반 이후 스마트 의류 연구는 기능성 및 인간 친화적인 측면으로의 접근 필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기능 및 사용자 중심의 연구로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스마트 의류의 발달은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세분화되어 개발되고 있다다변하는 의류 시장에서 스마트 의류 상품기획은 기존의 의류 상품기획과 같이 소비자 트렌드 중심의 경향과 함께 소비자의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그 중요성은 날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스마트 의류의 연구는 기능성, 사용성 기반의 연구자 중심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어, 소비자 중심, 마켓 중심의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의류 기획에 있어 가장 밀접한 관련이 예상되는 의복 및 의복행동 라이프 스타일과 디지털 라이프 스타일을 중심으로 라이프 스타일의 유형을 분석하고,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 수용도와 인지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추후 스마트 의류의 수요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20 대, 30 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수용도와 인지 여부 및 스마트 의류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그 결과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은 유행추구형, 감각적 정보추구형, 실용적 기능추구형의 세 유형으로 도출되었으며, 유행추구형 집단이 스마트 의류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행추구형은 엔터테인먼트 의류군을 선호하였으며, 스마트 의류 속성 중 외관을 다른 집단에 비해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감각적 정보추구형은 감성교감의류 및 생체 신호 측정의류의 선호도 및 필요성을 높게 인지하고 있었으며, 실용적 기능 추구형은 생체 신호 측정의류 및 환경과의 상호작용 하는 의류에 대해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스마트 의류의 필요성을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 의류의 인식 및 선호도 등 상품화에 실질적인 평가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추후 스마트 의류의 상용화에 있어 시장 가능성 및 상품화를 위한 스마트 의류 기획 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 PDF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 기반의 스마트 의류 기획을 위한 요인 연구 (A Study of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Smart Clothing Based on the Consumer's Lifestyle)

  • 조하경;김진선;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13권1호
    • /
    • pp.11-20
    • /
    • 2010
  • 웰빙 트렌드의 도입,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IT 컨버전스에 대한 수요의 증가에 따라 최근 스마트 의류는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세분화되어 개발, 연구되고 있으며, 스마트 의류의 시장 또한 세분화되어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소비자 측면의 세분화에 따른 스마트 의류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의류 기획에 있어 가장 밀접한 관련이 예상되는 의복 및 의복행동 라이프스타일과 디지털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라이프스타일의 유형을 분석하고,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니즈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상품 기획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추후 스마트 의류의 수요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20대, 30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의복 및 디지털 기반의 라이프 스타일은 유행 추구형, 실용적 기능 추구형, 감각적 정보 추구형의 세 가지 타입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토대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소비자 니즈를 통한 스마트 의류의 기획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20대 여성정장의류의 편익과 상표이미지에 관한 연구(제2보) -편익 세분화에 따른 20대 여성정장의류의 상표이미지 포지셔닝 전략 연구를 중심으로- (The Brand Image and the Benefit of 20’s Female Apparel Market(PartII) -Positioning Strategy of Brand Image in 20’s Female Apparel Market according to Benefit Segmentation-)

  • 박혜원;임숙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953-963
    • /
    • 2000
  • This study intended to analyse the factors of brand image and brand image positioning of domestic 20’s female apparel(formal wear) among the consumer groups segmented by benefits sought in apparel and to provide marketing strategy of brand image.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605 working women in their 20’s living in seoul, and the model sampling was done by convenienced sampling method based on the subjects age and occupation. Survey based on references and former studies was used. and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mean, factor analysis, preference regression were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factor structures of brand image were classified into symbolism/aesthetics, and practicality. 2. Perception, ideal preference vector, and brand preference of brand image were prove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four segmented consumer groups.

  • PDF

고령자를 위한 허리 보호대 디자인 개발 -선호도 및 만족도 평가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Waist Protector Designs for the Elderly -Focusing on Evaluations of Preference and Satisfaction-)

  • 박수진;박교리;한여;구수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99-218
    • /
    • 2022
  • Considering increasing demand for improved waist protectors for the elderly, in this study we sought to design a waist protector that reflects the body characteristics, preferences, and satisfactions of the elderly. A survey conducted to investigate elderly satisfaction with existing waist protectors, as well as their preferences in product function, design, and characteristics, found that consumers are not satisfied with current waist protector offerings and would prefer protectors that allow greater freedom to perform physical activities and that are more easily accessible. Based on the survey, we developed a guideline on function, design, and characteristics, resulting in four new waist protector designs: A and B for men, and C and D for women. Significant preferenc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were reflected in the designs. For example, designs for female waist protectors focused much more on improving tightness, size, freedom of movement, and easy attachment or detachment than designs for male waist protectors did.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new designs suggests that new designs meet the satisfaction criteria of elderly consumers, who express willingness to purchase and use them.

의류매장 매니저와 20대 소비자의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도입 결정요인 (Determinants of Mass Customization Adoption in the Apparel Industry: Retail Managers' and Young Consumers' Point of View)

  • 김수연;;고애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68-979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류산업 리테일 매니저의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도입 의향과 의류소비자의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제품 구입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4가지 특성적 요인을 분석함에 있다.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도입 의향을 결정하는 4가지 특성적 요인으로, 기업, 개인, 기술, 환경적 특성이 제시되었다. 66명의 매니저와 274명의 2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제시된 가설 중 7개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도입 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의류매장 및 매니저의 기술, 환경적 특성, 그리고 의류소비자의 개인, 기술, 환경적 특성으로 나타났다.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기술적 특성이었는데, 개인 주문생산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 소비자와 원활한 상호작용이 가능한 기술 환경적 시스템 구축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3D Body Scanning, QR, IT 기술들의 필요성 인지도 및 도입 의향과, 매스커스터마이제이션 도입 의향과는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또 한가지 결실은, CRM 도입에 대한 매니저 및 소비자의 높은 관심도였다. 의류소비자 개개인의 니즈에 맞춘 생산 설계를 통한 유연생산시스템과 함께, 고객과 직접 교류하는 소비자 중심의 경영은 메스커스터마이제이션 도입의 발판이 될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의 한국 의류 착의실태 (Korean Apparel Wearing Behavior of Foreigners)

  • 시르저나 머허러전;허창범;윤경서;김예선;유향기;차수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345-346
    • /
    • 2023
  • 본 연구는 한국 거주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 의류의 착용실태 및 착용 시 불편사항, 선호도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소비자를 흡수할 수 있는 의류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지법으로 진행되었으며, 분석에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의류 구매장소는 온라인 쇼핑이 가장 많았고, 구매 아이템은 티셔츠, 재킷이 많았다. 가격대는 3만원에서 5만원 사이가 가장 많았다. 구매 이유는 심미적 요인이 높았다. 한국 의류는 어깨부위, 다리길이가 가장 불편하였고, 바지가 가장 맞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스타일은 캐주얼과 모던 스타일이 많았고, 심플하고 편안한 이미지의 의복을 선호하며, 천연소재를 선호하였다. 조금 여유있는 실루엣의 의복을 선호하고 재킷, 티셔츠 등의 아이템을 선호하였다. 향후 국적, 체형 등에 따른 착의실태 및 선호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PET 직물 제조 공정특성이 의류 감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Characteristics of PET Fabrics on the Clothing Sensiblity)

  • 홍성대;김승진;박경순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2-87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PET 직물의 물성개선과 품질의 향상을 위해 직물 제조 공정 중 제직준비공정인 1TY, P/W, 2-FOR-1공정에서 여러 가지 공정인자의 변화를 주어 염색·가공 공정을 거친 최종 11가지 직물의 역학적 특성치 및 각 공정별 시료의 물성을 측정하여 의류의 감성특성은 Handle, 의복성능 및 봉제성을 평가하여 직물 제조 공정특성이 의류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1TY, P/W, 2-for-1공정에서 균일하고, 안정된 장력으로 제조한 직물은 신축성 및 drape성이 장력이 과다하게 주어진 직물보다 우수하고, 의류봉제시 신장성이 양호한 봉제 범위를 가져 의복 착용시 감성면에서 부드럽고 쾌적한 성능을 가진다. 그리고 공정에서 고장력, 고속의 spindle 회전은 사물성 및 직물의 물성변화를 야기시키고 교략강도의 불안정성으로 최종 직물에서 유연성과 탄력성 및 volume감이 떨어지는 의류촉감을 가지며 또 stiff한 의류 감성을 나타냄으로서 의류용 소재로는 부적당함을 확인하였다.

  • PDF

감성 의류용 PET 사의 물성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ri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the PET Filament Yarn for Sensitive Clothes)

  • 김승진;홍성대;서봉기;심승범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1-365
    • /
    • 2002
  • 최근 고감성 PET 사를 이용하여 생산한 PET 직물은 고감성 의류용 직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감성 의류용 PET 직물은 다양한 공정을 거치면서 장력이나 열 등의 영향을 받으므로서 사의 물성의 변화를 초래하여 감성 의류용도의 PET 직물에 많은 결점을 유발 시키므로서 직물 생산 시 공정조건 설정 등의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고감성 의류에 치명적인 문제를 유발하는 문제점에 관한 감성사 제조 시의 공정조건 변화와 관련된 연구 논문은 많이 발표가 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7개 원사 Maker의 Denier 별 PET 사의 물성을 균일한 길이의 Layer를 설정하여 분석, 조사하고 Layer 별 물성 차이와 습ㆍ건열 열처리 온도에 따른 사의 수축률 등을 비교하므로서 감성 의류용 직물 생산에 필요한 기초 물성 Data를 제공하고 PET 사의 품질향상을 도모하므로서 최종 감성 의류용 직물 소재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