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동작기능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6초

뇌성마비 아동의 기능적 수준 분류 체계의 유용성 (Utility of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박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709-5714
    • /
    • 2011
  • 이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기능적 수준 분류 체계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08년 9월부터 2010년 8월까지의 기간 동안 뇌성마비 아동 217명을 대상으로 대동작 기능 분류체계(GMFCS), 손 기능 분류 체계(MACS), 일상생활 활동을 측정하고 도구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대동작 기능 분류체계와 일상 생활 활동은 모든 하위 영역 및 총점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손 기능 분류체계와 일상생활 활동은 이상운동형 아동에서 일상생활 하위 영역 중 의사소통과 상관이 유의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모든 하위 영역 및 총점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GMFCS와 MACS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낸 것은 GMFCS의 경우 1수준(20.3%)과 5수준(40.6%)이었고, MACS의 경우는 2수준(48.8%)과 5수준(16.6%)이었다. 결론적으로, 뇌성마비 아동의 기능적 수준 분류 체계인 GMFCS와 MACS는 임상적으로 유용한 평가 체계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경직형 뇌성마비아동의 대동작기능과 하지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 사례연구 (Effects of Aquatic Exercise Program on Gross Motor Function and Lower Limb Control of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 A Case Study)

  • 김병욱;이효정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59-68
    • /
    • 2014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quatic exercise program on Gross motor function and lower limb control of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Method :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2 patients who agreed with this research, were picked up. Subjects received aquatic exercise training for 6 weeks, which consists of 2 times per week, 30 min of working pattern with floating device for each session. Gross motor function and lower limb control for walking were measured GMFM and SCALE. The intervention were compared by measuring before and after. Result : In GMFM and SCALE of both subjects, the intervention has been improved after the experiment compared to their original status before the intervention. Conclusion : Therefore, the Aquatic exercise is effective in improvement of to improve the gross motor function and lower limb control in chi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그룹운동프로그램에 의한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 기능,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의 변화 : 사례연구 (Changes in the Gross Motor Function, Self-esteem and Social Ability of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from Group Exercise : Case Study)

  • 이은정;송주민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645-654
    • /
    • 2010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gross motor function, self-esteem and social ability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from group exercise program for physical and emotional interaction. Methods : Five cerebral palsy children who live in U city were recruited this study. Exercise sessions were held for 1 hour per session, once per week, for 12 consecutive weeks. At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subject were tested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self-esteem and social ability. Results : After 12 weeks of paticipation in the group exercise program for physical and emotional interaction, there were improvements for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self-esteem and social ability. Conclusion : Group exercise program for physical and emotional interaction can improve gross motor function, self-esteem and social ability.

대동작 기능 평가도구(GMFM)의 Rasch분석 (Application of Rasch Analysis to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A Preliminary Study)

  • 이충휘;박소연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1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GMFM) using Rasch analysis. The data was obtained from the assessments of 59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 Korea and were applied to Rasch's rating scale model to estimate the difficulty and goodness-of-fit of each item. Rasch modeling helped us to identify 76 items from the original 88-item GMFM that form an unidimensional hierarchical scale to rearrange 76 items in order of difficulty. Reliability coefficients of the 88-item and 76-item GMFM were .99 and .99, respectively. In this preliminary report, the Korean version of GMFM seems to have significant validity and reliability. These results may be useful in assessment of gross motor function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PDF

집중치료가 뇌성 마비아의 대동작 기능 점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nsive Therapy on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Score in Cerebral Palsy)

  • 오정림;김중선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01-106
    • /
    • 2009
  •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 of intensive therapy on gross motor function measure(GMFM) score in cerebral palsy. Methods:Twenty eight cerebral palsy children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Gross motor Function Measure(GMFM) score and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GMFCS) were used to evaluate as functional change and functional level. Intensive therapy period for cerebral palsy children was 3, 4, and 5 weeks.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paired T test and one way ANOVA to know change between pre and post therapy was used. Results:GMFM Score of pre- and post- intensive therapy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tensive therapy period indicat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MFM score. GMFCS level did not reveal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MFM score. Conclusion:Intensive therapy was effective on gross motor function measure(GMFM) score in cerebral palsy.

  • PDF

뇌성마비아동의 실제생활에서의 기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Function about Real Lif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고유정;오명화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763-1770
    • /
    • 2013
  • 본 연구는 뇌성마비아동의 신체적 기능과 기능적인 능력에 관한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아동의 사회적 능력, 의사소통 능력, 일상생활활동, 대근육활동 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뇌성마비 진단을 받은 아동 43명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한 결과 사회적 기능, 일상생활활동, 의사소통능력, 대동작활동과의 상관관계에서 네영역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사회적 기능과 일상생활활동과 하부항목 간의 상관관계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사회적 능력의 하부항목들과 의사소통능력과의 상관관계가 높은 반면 대근육활동과의 상관관계에서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재활영역에서 뇌성마비 아동들의 실제 생활에서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기능의 사회적인 측면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실태 조사: 서울 경기 지역 소아 청소년 재활병원을 중심으로 (Survey About Current Status of Pediatric and Adolescent Physical Therapy: Focus on Pediatric and Adolescent Rehabilitation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 김정수;민경철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4호
    • /
    • pp.67-80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장애 소아 청소년을 치료 중인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실태, 만족도, 수가 체계, 대상, 시행, 평가 활용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 서울 경기 지역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사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하여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실태, 대상자, 만족도, 치료 시행 및 평가 활용 등을 조사하였다. 실태, 대상자, 만족도 등은 빈도 및 기초 통계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물리치료 참여도-난이도,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주요 요소의 중요도-본인의 능력, 주요 치료 목표-사용 빈도 차이는 대응 표본 T 검정을 통하여 그 차이를 확인하였다. 결과 :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실태는 대부분 독립된 공간(95.0%)에서 하루 11~15건(66.7%), 1대 1 치료(95.0%)로 진행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상자의 주요 연령은 학령기, 학령전기, 진단은 뇌병변, 발달지연이 많았으며 20대 이상까지 치료하였다.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만족도는 높았으나(70.0%) 업무강도 역시 높았다(71.7%). 주요 치료법으로는 신경발달치료, 보행치료, 목표지향적 재활이 있으며, 평가는 대동작기능검사 88과 66, 대동작기능분류검사 사용이 많았다. 현 수가 체계는 부적합하다고 하였으며(66.1%), 적정 수가 체계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와 관련된 광범위한 내용과 요소를 확인하였다. 현 실태조사연구를 바탕으로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사의 전문성 및 지속성 향상, 최신 치료법 적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장애아동의 학교준비도 프로그램(School Readiness Program)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School Readiness Program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김은지;곽보경;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3호
    • /
    • pp.7-18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학교준비도 프로그램을 다룬 문헌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대상자, 프로그램의 제공자, 기간, 요소 및 결과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PubMed, Embase, Web of Science,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를 사용하여 문헌을 수집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School readiness" AND ("Occupational Therapy" OR "Rehabilitation"), "학교준비도" AND ("작업치료" OR "재활")을 사용하였다.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을 통하여 최종 8편의 연구가 선정되었다. 결과 : 학교준비도 프로그램 유형에는 복합적 기능 훈련, 운동 기술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프로그램들이 있었고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유형은 복합적 기능 훈련이었다. 프로그램의 제공자는 작업치료사, 심리학자, 물리치료사, 언어치료사, 사회복지사, 교육자가 있었고 심리학자가 가장 많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학업 기능, 운동 기능, 사회적 기능, 부모교육, 기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학업 기능과 사회적 기능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다기능적 기술, 문해력, 양육 기술, 대동작·소동작 기능의 향상을 나타냈다. 결론 :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학교준비도 프로그램 유형, 제공자, 중재 요소, 결과 등을 분석하여 학교 기반 작업치료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최근 학교준비도 프로그램에 관한 관심과 연구는 증가하고 있으며 작업치료사들도 학교 관련 재활 분야에서 역할을 정립하여 다양한 학교 기반 작업치료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현수보조장치를 이용한 과제 지향적 훈련이 경직형 양하지 뇌성마비아동의 체간 안정성과 대동작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ask Oriented Training with Suspension Device on Trunk Stability and Gross Motor Function of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Cerebral Palsy)

  • 이미선;최종덕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637-645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using a suspension device for arm reaching activity on trunk stability and gross motor function of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cerebral palsy. METHODS: The subject in this study consisted of 11, GMFCS(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III~IV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cerebral palsy, all of whom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ll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a suspension device, and the control group using no suspension device. For each group, a thirty-minute intervention was done twice per week during 8 week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each test was measured using TIS(Trunk Impairment Scale), GMFM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and PRT(Pediatric Reaching Test) to change trunk stability, gross motor function and arm reaching activit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RESULT: All two groups had a meaningful increase in GMFM-Sit data measur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 increase from an average of 78.83 to an average of 84.83 in GMFM-Crawling. For both groups, there was a substantial increase in the change in sitting position and arm reaching.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rm reaching activity using suspension device had an effect on trunk stability and gross motor function and it changed arm reaching activity.

다양한 지지면에서 균형운동이 경직성 뇌성마비 양하지마비 아동의 대동작기능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Balance Exercise on Various Support Surfaces on the Gross Motor Function and Balance Ability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이은정;송주민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57-365
    • /
    • 2012
  • Purpose : The present study has been performed to find the effects on gross motor function and balance ability of applying a balance exercise program consisting of motions able to stimulate balance-related sensory systems on various support surfaces along with goal-oriented upper extremity tasks to enhance the balance ability. Methods : 10children diagnosed as having spastic diplegia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for this study, of whom 5children were randomly assigned to a control group (CG) and the remainder to a balance exercise group (BEG) to perform the upper extremity task on various support surfaces. Each intervention was executed 30minutes per session with 2sessions a week for 12weeks. To make comparison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standing; demention D(GMFM;D), walking/running/jumping ;demention E (GMFM;E) and pediatric balance scale (PBS) were evaluated. Results : The C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GMFM;E. BE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GMFM;D as well as GMFM;E and in PB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BEG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p<.05) in GMFM;D and the PBS compared with the CG whereas it did not indicat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MFM;E.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has been shown that a balance exercise accompanied by upper extremity task on various support surfaces had an effect on improvement in the gross motor function and the balance ability of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