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단위 강의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Undrained Shear Strength Characteristic of Pusan Clay (부산 점토의 비배수전단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 Ryu, Woongryul;Byun, Yoseph;Chun, Byungsik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1 no.3
    • /
    • pp.43-51
    • /
    • 2010
  • In the downstream areas of the Nakdong river, Pusan clays are commonly found and thickness may reach to maximum of 100m. From geological point of view, Pusan clay are characterized as holocene clays, deposited for approximately 20,000 years ago.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construction projects based on these soft ground areas. It is needed to know clearly soil properties of the areas for design and safety analysis, especially undrained shear strength of soft clays. However, Pusan clay have not been studied systematically because the clay layers are usually very deep, having high sensitivity characteristic. In this study, undisturbed UD samples obtained from the downstream areas of the Nakdong river were researched using laboratory tests (CthUE, CKcUC, CIUC, UU and UC) and in-situ tests (Field Vane, CPTu).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s were depicted using stress-strain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and Assessment of Water Quality by Vinyl House Cultivation in Pal-dang Lake Basin (비닐하우스 경작에 따른 팔당호 유역의 수질특성 및 오염도 평가)

  • Ahn, Tae-Woong;Choi, I-Song;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09-2013
    • /
    • 2009
  •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내의 농작물 경작은 자연환경과 차단된 조건에서 작물을 집약적으로 재배하므로 비료의 사용량이 많아 오염원으로 작용하고, 휴작기에 비닐을 제거 방치하므로 비닐 표면에 집적된 오염물은 강우 시 유출되어 이들로 인한 주변 하천수 및 지하수 오염을 가중시킨다. 따라서 팔당호 유역내 하천 부지에서 비닐하우스 등이 집단화 되어 있어 이로 인해 팔당호 유역내 수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팔당호 유역내 하천부지에서 대단위 비닐농가가 집단적으로 조성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팔당호 유역내 산발적으로 비닐하우스 농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비닐하우스로부터 비강우시에는 유출 오염수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강우 시 강우유출수가 표면 유출되는 과정에서 오염수가 팔당호로 직접 유입되어 팔당호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팔당호 유역의 비닐하우스 경작에 의한 수질특성 조사 결과, SS 농도는 북한강 $372{\sim}446$ $mg/{\ell}$, 남한강 $488{\sim}547$ $mg/{\ell}$, 경안천 $345{\sim}415$ $mg/{\ell}$로 조사되었으며, BOD 농도는 북한강 $12.2{\sim}15.3$ $mg/{\ell}$, 남한강 $13.3{\sim}16.8$ $mg/{\ell}$, 경안천 $15.6{\sim}18.8$ $mg/{\ell}$으로 조사되었고, COD 농도는 북한강 $23.9{\sim}26.8$ $mg/{\ell}$, 남한강 $25.2{\sim}26.0$ $mg/{\ell}$, 경안천 $26.4{\sim}32.9$ $mg/{\ell}$로 조사되었다. 또한 T-N 농도는 북한강 $17.39{\sim}23.64$ $mg/{\ell}$, 남한강 $17.87{\sim}22.09$ $mg/{\ell}$, 경안천 $18.34{\sim}19.55$ $mg/{\ell}$으로 조사되었으며, T-P 농도는 북한강 $1.425{\sim}1.795$ $mg/{\ell}$, 남한강 $1.519{\sim}1.767$ $mg/{\ell}$, 경안천 $1.727{\sim}1.827$ $mg/{\ell}$로 조사되었다. 또한, 오염부하량으로부터 산정된 비닐하우스의 하천에 미치는 오염부하기여율은 SS의 경우 17.3%, BOD 4.5%, COD 5.2%, T-N 11.0%, T-P 7.4%로 조사되었다. 이는 비닐하우스 농가에서 유출되는 SS 및 T-N, T-P 오염부하량이 하천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비닐하우스 주변이 주로 나대지로 되어 있고 비료 또는 영양물질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탄소성 유기물질을 나타내는 BOD 및 COD의 오염부하기여율은 주변 토양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국 비닐하우스의 재배는 토양 표면피복의 효과적인 관리 및 영양물질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팔당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No-Fines Concrete (No-Fines Concrete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홍건호;정일영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6 no.3
    • /
    • pp.190-200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experimentally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economics of No-fines concrete for its application to the low-rise housing construction. Basic mechanical properties of No fines concrete are studied by measuring of compressive, tensile strength and stress-strain relationship, and economics of it is compared with other materials in unit cost and wall construction cost. From the test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No-fines concrete has advantages of good workability, light weight and lower construction cost, even though it has lower strength and modulus of elasticity than normal conc:rt:te does.

Compressibility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Depositional Environment of Pusan Clay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낙동강 하구지역 부산점토의 퇴적환경에 따른 압축특성)

  • Chung, Sung-Gyo;Ninjgarav, E.;Ryu, Chun-Kil;Jang, Wo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2 no.12
    • /
    • pp.57-65
    • /
    • 2006
  •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soft and thick clay, which called Pusan clay, are deposited. Despite a number of great reclaimed projects that have been performed in the area, the consolidation settlement and time have been significantly underestimated due dominantly to sample disturbance, since the last decade. In order to resolve the underestmation, it was necessary to examine the compressibility characteristics through a systematic geotechnical investigation on the clay. In this study an advanced sampling technique was adopted on two sites chosen along the coastline, and then oedometer testing and geological investigation were performed for the undisturbed and reconstituted samples. As the results, the compressibility parameters of the clay were representatively determined, as well as their correlation. Particularly the effects of depositional environment on the physical indexes, level of structure, sample disturbance and compressibility parameters were analyzed for the clay.

Feeding Habits of Snailfish, Liparis tanakai (꼼치(Liparis tanakai)의 식성)

  • Huh, Sung-Hoi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9 no.1
    • /
    • pp.71-78
    • /
    • 1997
  • Stomach contents of snailfish, Liparis tanakai, caught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were examined quantitatively. Liparis tanakai was a bottom feeding carnivores, and showed an almost strict specialization on shrimps and fishes. Shrimps and fishes accounted for 74.3% and 19.8% of the overall stomach contents, respectively. The most selected prey species was Cragon affinis for all fish size classes. The snailfish' s diets included minor quantities of crabs, amphipods, mysids and isopods. Small individuals(4~10 cm SL) consumed mainly shrimps which accounted for approximately 90% of the stomach contents. However, the portion of the diet attributable to shrimps decreased steadily with increasing fish size, and this decrease was paralleled by increased cosumption of fishes. For 31~45 cm individuals, fishes constituted over 30% of the stomach contents, while shrimps made up approximately 60% of the diet.

  • PDF

Examination Reservoir water sensitivity by measurement inflow (실측유입량에 의한 저수용량 민감도 검토)

  • HwangBo, Jong-Gu;Shin, In Jong;Jo, Dae 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66-266
    • /
    • 2022
  • 효율적인 댐 운영은 정확한 수문자료가 필수이다. 많은 댐 운영자들은 실측자료, 수문모형 등을 이용하여 정확한 유입량과 유출량을 산정하지만 댐 저수용량은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계산하지 않는 측면이 있다. 하지만 발전용수, 농업용수, 생활용수 등 실질적으로 이용되는 물은 댐저수지의 물이며 이를 정확하게 산정하는 것은 효율적인 댐 운영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하다. 국내 대부분의 댐은 시간에 따른 수위 변화량을 이용하여 저수량을 산정하고 있으며 이는 실질적인 저수용량을 파악하기에 다소 어려움이 따른다. 더군다나 우리나라 댐 저수지는 대부분 저수지 내에 한 개의 수위를 관측하여 저수용량을 산정하고 있으며 이는 수km에서 수십km에 이르는 저수지 크기를 고려하면 큰 오차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강 유역의 화천댐, 춘천댐, 의암댐, 청평댐과 달천 괴산댐에서 실측유입량에 따른 댐 저수위 반응을 살펴보고 저수용량을 정확하게 산정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각 댐별로 저수위 0.01m 변화에 따른 저수용량 변화를 검토하였으며 갈수기라고 할 수 있는 11월과 홍수기에 해당하는 7월의 실측 유입량에 따른 댐 저수용량 변화를 검토하였다. 이를 기존의 방법인 저수위 변화로 계산된 유입량과 실측자료에 산정된 유입량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확인하였다. 실측자료와 저수위 변화를 이용한 유입량을 비교·검토한 결과 차이를 보였으며 실측유입량이 저수지 수위를 0.01m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최소 30분에서 최대 120분 가량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입되는 물에 비해 저수위 변화는 미미하여 현재의 계측 시스템으로는 저수량을 실시간으로 산정하기에 무리가 있다. 결국 실시간으로 댐 저수량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저수위 계측 분해능을 현 0.01m에서 0.001m로 향상시키고, 저수지 구간을 설정하여 구간별로 수위를 계측하고 저수량을 산정하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Numerical Experiment of Tide Changes due to the Development of Land Reclamation near the Youngsan River (영산강지구 대단위간척지 개발로 인한 조석변화에 대한 수치실험)

  • Lee, J.W.;Shin, S.H.
    • Journal of Korean Port Research
    • /
    • v.5 no.2
    • /
    • pp.65-75
    • /
    • 1991
  • Tidal current and water level change in coastal waters are formulated in terms of mathematical models. A systematic discussion of the derivation of a set of governing equations, expressing conservation of mass and momentum is presented. A simplification is introduced by integrating all variables and equations over the total water depth, the Solution of the formulated problem is achieved by using the finite difference method(FDM). The applied study area is taken from Mokpo harbor and its adjacent coastal water which have significant hydrographical changes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estuary barrage and land reclamation work of estuary barren. Some comparisons with the observed current and water level changes the numerical solutions are found to be considerably fit well for the recent coastal water motion.

  • PD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tream ecology indexes and streamflow metrics (하천수생태지수와 하천유량지표와의 상관관계 분석)

  • Park, Daeryong;Ahn, So Ra;Kang, Hyeongsik;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25-525
    • /
    • 2016
  • 도심지역의 대단위 주거 단지 조성에 따른 다양한 하천 생태계에 대한 문제가 야기되어 하천 생태계에 대한 환경영향평가가 때때로 시도되고 있다. 토지이용의 변화에 따라 유역의 물순환 경향이 달라지고 이로 인하여 하천 수생태계에 영향이 달라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 변화와 물순환 변수인 유량인자와 하천 수생태환경의 상관관계를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유역으로는 한강 하류지역인 서울특별시 주변의 30개 소유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일유량 자료와 BMI 지수, 유역의 불투수율등을 사용하였다. 또한 환경부에서 제공하고 있는 2012-2014년 자료중 한강 유역에서 조사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지수 관측소와 유랑 관측소와 일치하는 33개 지점을 선정하여 유량지표와 생태환경 지수와의 관계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생태환경을 나타낼 수 있는 지수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지수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dex, BMI)를 조사하여 자료를 구축하고, 토지이용변화와 유량변화에 따른 BMI 지수의 영향을 조사하고, 토지이용 변수와 수문학적 변수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유역의 불투수율과 마찬가지로 일평균 유량, 0.5년 초과빈도, 0.1년 초과빈도, 0.01년 초과빈도 유량과 BMI 지수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상관관계 도출을 통하여 유역의 개발에 따른 하천 수생태에 영향을 수문변수 중의 하나인 유량지표로 유추 할 수 있으며 수생태에 대한 영향을 저감할 수 있는 저감 방안으로 유량자료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PDF

Strength and Failure Mode Prediction of Mechanically Fastened Carbon/Epoxy Joints (탄소/에폭시 복합재료 구조물의 기계적 결합에 대한 강도 및 파손모드 예측)

  • 김기범;이미나;공창덕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 no.1
    • /
    • pp.111-121
    • /
    • 1997
  • An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o study the predicting the joint strength of mechanical fasteners. Bearing failure is most important failure mode for designing joint. So in this study, the prediction method in consideration with bearing failure was chosen. In the proposed method, the characteristic length is combined with the Yamada-Sun failure criterion, Tsai-Hill failure criterion and characteristic length for Tension and Compression is determined from investigation. Especially the length of compression is determined from the "bearing failure test" that newly conceived to take bearing failure into consideration. The proposed prediction method was applied to quasi-isotropic carbon/epoxy joint showing net-tension and bearing failure experimentally. Good agreement was found between the predicted and experimental result for each joint geometry. geometry.

  • PDF

Quantitative Assessment of Nonpoint Source using the Basin Model (유역모형을 이용한 비점오염원의 정량적 평가)

  • Kwon, Heon-Gak;Kim, Dong-Il;Lee, Jea-Woon;Han, Kun-Yeun;Cheon, Se-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41-141
    • /
    • 2012
  • 비점오염물질은 강우 시 유출되기 때문에 일간, 계절 간 유출량 변화가 대단히 크게 나타나며, 기후, 지형, 토지이용, 토양 등과 지역적인 특성과 유역 형상에 따라 변화되므로 비점오염원 유출량에 대한 정량화를 위해서는 강우지속시간동안 정확한 수질과 유량에 대한 측정 자료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물질에 대해 현장 모니터링 및 현장 실측 관련 기존 연구자료 수집을 통해 중분류 토지피복분류별 원단위를 산정하였다. 또한 특정 유역에 중분류 토지피복 분류별 산정된 원단위를 적용하여 유역기반의 비점오염부하량을 산정 하였다. 대상 유역에 해당하는 하천 말단에서의 실측 자료를 활용하여 유역모형을 구축하고, 강우를 입력 자료로 하여 비점오염 물질별 부하량을 모의 산정하였다. 유역모형으로 HSPF(Hydrologic Simulation Program - Fortran)을 실제 대상유역에 적용하였고, 이에 따른 모의 결과를 실측치와 비교하여 부하량을 산정하였다. 이렇게 모의 산정된 부하량은 실측자료를 기반으로 산정된 원단위의 적용에 따른 부하량과 비교 검토하여 유역에 대한 비점오염원 부하량 산정 시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대상유역은 동천유역으로 병성천의 주요 지류로서 유역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중분류 토지피복 중 공업지역, 교통지역, 과수원재배지, 비닐하우스재배지, 기타재배지에 대해서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모니터링을 실시하였고, 이외의 중분류 토지피복에 대한 결과는 수계별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환경기초조사사업 중 '주요 비점오염원 유출 장기 모니터링'사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동천유역의 비점오염원 발생부하량을 산정한 결과, BOD 부하량은 대지의 경우 391.4 kg/day로서 중분류 군으로 구분한 결과에 비해 높게 산정되었다. T-N, T-P 발생부하량도 토지피복군이 대분류에서 중분류로 변화됨에 따라 부하량의 차이가 발생 하였다. 또한 동천유역에 대해 구축된 HSPF 모형의 적합도를 시기별 4개의 Case로 구분하여 평가해 보았는데 그 결과, 모형 모의치의 실측치에 대한 적합도가 높게 평가 되었다. 현재 특정 지역에 편중되어 조사되고 있는 중분류 토지피복을 조사 기관간의 교차 조사를 통해 지역적 제한성을 낮추고, 중분류에 속하는 세부피복지점을 확대하여 모니터링 지점의 다양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동시에 한시적인 조사가 아닌, 장기간에 걸쳐 연구가 진행 될 경우 원단위에 대한 현재의 불확실성 및 제한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러한 기초 자료 확보에 대한 장기적인 투자와 노력이 수반될 시 우리나라에 대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비점오염원 원단위가 산정될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기틀이 마련되어야 비점오염원에 대한 적절한 유역관리방안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