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기자동측정망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NO$_2$, $O_3$, VOC in Seoul Metropolitan Area (수도권 지역의 NO$_2$, $O_3$, VOC의 광역 공간분포 측정)

  • 정의석;김선태;김한수;김신도;이종범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81-182
    • /
    • 2002
  • 광화학스모그에 의한 오염이 심각하다고 알려진 서울의 경우 오존 1시간 환경기준 초과횟수는 '95년에 21회, '96년 174회, '98년 269회, 그리고 2000년에는 335회 등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측정지점별 초과 횟수의 경우에도 완만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2000년 말 현재 전국 53개 도시에 대기오염 자동측정 망이 약 152개소가 운영되고 있으나, 측정소의 절대적 개수를 계속하여 늘릴 수 없다는 한계와 시·공간적으로 변화하는 오존 전구물질(NOx, VOCs 등) 및 오존의 현황자료 부족으로 인하여 광화학 대기오염의 생성 규명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중략)

  • PDF

대구시 주거지역의 오존농도 평가

  • Kim, Beom-Jun;Choe, Seong-U;Kim, Hye-Jin;Choe, 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122-12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의 최근 5년간의 대구시 보건환경연구원의 대기질 자동측정망 자료와 대구기상대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대구시 주거지역의 오존농도를 평가하였다. 분석기간은 2001년부터 2005년까지 고농도 오존일이 가장 많이 발생한 5, 6월을 대상으로 하여, 오존농도와 대기오염물질 및 기상요소와의 상관관계분석과 교차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구지역의 오존농도는 측정지점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기온 및 일사량이 증가하는 하절기에 증가하고, 동절기에 감소하는 전형적인 패턴을 보여주었다. 분석기간 중 오존최고농도는 상관관계분석 결과 고농도 오존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대기오염물질로는 $NO_2$, NO 그리고 기상요소로는 온도, 상대습도, 일사량으로 나타났다. 교차상관관계분석 결과 NO2, NO, 온도와 상대습도는 0시간 차이에서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으며, 일사량의 경우 오존농도가 최고치를 나타낼 때보다 -2시간 차이에서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 PDF

Assessment of the Locations for Carbon Monoxide Monitoring Stations in Daegu according to Emission Distribution (배출량 분포에 따른 대구시 일산화탄소 측정망 위치의 적절성 평가)

  • Kim, Hyo-Jeong;Jo, Wan-Kue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0 no.2
    • /
    • pp.25-34
    • /
    • 2012
  • Air quality in Daegu area is lower compared to many other cities, since Daegu is a basin surrounded by mountains.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location of carbon monoxide(CO) monitoring stations for systematic CO pollution management on the basis of the CO emission distribution in Daegu area.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location of CO monitoring stations, which can be used for the establishment of CO management, were assessed. Emission map in Daegu area was prepared using numerical map and 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CAPSS) data supplied by the M inistry of Environment. Average emissions were estimated by dividing emission sources into four subgroups(roadway, apartment, industry, and municipal incineration facility) according to legal division. The CO emission intensities were subdivided into 10, which a high number represents a high emission intensity, and the current monitoring stations were evaluate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ir steps in CO emission intensities. As a result, additional installation of monitoring stations were suggested for the high CO emission areas rather than the low CO emission areas. A systematic CO management strategy would be established by the supplying various principle CO data when the CO monitoring stations are additionally installed at Kukwudong and other six sites on the basis of analyses of data obtained from 1999 to 2007.

Evaluation of the Representativeness of Air Quality Monitoring Network in Seoul through Actual Measurement (대기오염도 실측에 의한 대기오염 자동측정망의 대표성 평가)

  • Jeon, Eui-Cha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5 no.1
    • /
    • pp.79-85
    • /
    • 1996
  • Simultaneous monitoring in many locations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air quality and analyze future trend of a city, For this purpose, it is essential to install air pollution monitoring network. The first automatic air pollution monitoring network was introduced Seoul in 1973. As of 1995, 20 monitoring stations are now in operation. Concerning the management of the air pollution monitoring network, there was some argument among the relavant scholar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NGO) and the government organization. So far, there was no extensive evaluation and analysis about the net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presentativeness of air quality monitoring network through actual measurement of the concentration of the air pollutant. The concentration of NOx was extensively measured widely in Seoul area three times using the TEA simple measuring technique. Even the judgement level for the area representativeness was lowered to 80%, Ssangmun-dong monitoring station tend to overestimate the pollutant concentration of the covered area. While, Sinlimdong monitoring station tend to underestimate the pollutant concentration of the covered area.

  • PDF

Anomaly Test for Ozone Concentration Data from National Air Monitoring Stations (오존 자동측정망 자료 중의 이상치 점검)

  • 김영성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15 no.2
    • /
    • pp.139-150
    • /
    • 1999
  • The ozone concentrations measured at the National Air Monitoring Stations between 1990 and 1995 were reviewed to detect any anomalies in the measurements. By screening the cases, in which variation of the ozone concentration from the previous measured value is greater than 75ppb, 125 station-days were identified as the test cases for the anomaly test. Historical and parallel consistencies of the measured concentrations were examined by plotting data for each test case. The detected anomalie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single outliers, anomalous variations during the startup period, baseline rises, and fluctuations in th diurnal variations. Anomalies were detected in as many as 80 cases among 125 test cases. Because of these anomalies, the number of hours exceeding 100ppb in the areas other than the Greater Seoul Area(GSA) could decrease from 157 to 107. Further studies for developing the methodology for eliminating the abnormal monitoring data are warranted for the data from the National Air Monitoring Stations are official to the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 PDF

다중회귀를 이용한 대구시 주거지역의 오존농도 예측

  • Lee, Jeong-Hwan;Choe, Seong-U;Choe, 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117-11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의 최근 5년간의 대구시 보건환경연구원의 대기질 자동측정망 자료와 대구기상대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대구시 주거 지역의 오존농도를 예측하였다. 대구시 주거지역의 고농도 오존은 측정소별로 대명동은 총 327회 중 153회(46.79%), 신암동은 총 310회 중 143회(46.13%), 만촌동은 총 262회 중 140회(53.44%)로 기온과 일사량이 증가하는 5, 6월에 주로 많이 발생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각 측정소별로 수정된 $R^2$는 각각 0.611, 0.655, 0.624으로 양호한 회귀 모형을 나타내었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ccuracy in Mapping the Distribution of the Emission Volume of Air Pollution Using GIS (GIS를 이용한 대기오염 배출량 분포도의 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 최진무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6 no.1
    • /
    • pp.65-76
    • /
    • 1998
  • Air contaminant density must be inferred exactly to manage air pollution. Each land use of air pollution source is duplicated in the existing air contaminant distribution because the resolution of the land use map is l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land use map is used to determine effectively in the distribution calculation of the emission volume and the inference of air contaminant density, as it is made in a high resoluti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In this study, as to making a high resolution($28.5m{\times}28.5m$) map of land use with GIS, each air pollution source is not duplicated spatially and land use can be reflected effectively. In Seoul, each air contaminant density was inferred (using a TCM-2 model) with the existing distribution map of emission volume, whose resolution is $1km{\times}1km$, and the new distribution map of emission volume, whose resolution is $28.5km{\times}28.5km$. According to the result, the inference value of the new distribution map was more similar to the actual value of an automatic survey network.

  • PDF

생물공정의 측정 및 새로운 공정변수의 개발

  • Heo, Won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0.04a
    • /
    • pp.51-52
    • /
    • 2000
  • 생물공정의 운전에 있어서 적절한 공정변수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 이것은 멸균과정을 견딜 수 있는 신뢰성 높은 센서가 부족하기 때문이다[1]. 생물공정에 주로 사용되는 센서로서는 온도, pH, D.O., rpm, viscosoty 등이 있으나 이 센서들은 배양액의 물리적 혹은 화학적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2]. 미생물의 대사활동과 관련이 있는 공정 변수로는 배출가스의 성분을 측정하여 얻을 수 있는 Oxygen uptake rate, Carbon dioxide evolution rate 및 Respiratory quotient가 있으며 현재 생물공정의 운전에 사용되고 있다[3]. 그러나 반복적인 센서의 보정과 연결관의 잦은 청소 및 보수를 필요로 하여 제한적으로 사용되고있는 실정이다. 자동화된 습식분석장치, Gas chromatograph, High Performace Liquid Chromatograph 혹은 Mass spectrophtometry 등을 온라인 샘플 처리장치와 연결하여 발효조의 배양액의 성분을 온라인으로 분석하고 공정의 운전에 응용하는 사례가 많이 발표되었다[4-6]. 고가의 장비 및 운전의 번거러움이나 추가적인 인력이 필요하므로 역시 특별한 경우에만 사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여러 종류의 온라인 센서 및 바이오 센서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역시 그 사용범위는 특수한 영역에 한정되어있다. 이와 같이 새로운 센서를 개발하여 공정변수를 측정하려는 시도중의 하나가 소프트웨어 센서의 개발이다. 이 것은 공정상에서 발생하는 1차 공정변수를 이용하여 배양액의 상태 혹은 2차적인 공정 변수를 추측해내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기존의 공정 변수를 사용하므로 추가적인 비용이 들지 않고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되므로 센서의 보정과 설치 및 유지관리의 노력이 매우 적은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공정에서 자동제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공정상의 제어 신호로부터 새로운 공정 변수를 얻어내고자 시도하였다. 대부분의 생물공정에서는 pH의 자동제어가 필수적인데 자동제어 과정에서 발생하는 pH 제어 신호 및 pH의 변화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배지의 완충용량의 변화와 알칼리의 소비속도를 온라인으로 측정할 수 있었다. 여기에 인공지능망을 설계하여 균체의 량을 온라인으로 추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7].산업용 발효조의 운전 온도는 주로 냉각수의 단속적인 공급에 의하여 항상 일정하게 조절된다. 따라서 냉각수의 냉각량을 측정하면 미생물의 배양시 발생하는 대사열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의 발효조를 냉각수의 단속적인 공급에 의하여 자동온도 조절이 되도록 개조하고 여기에 냉각수의 유출입 지점에 온도센서를 부착하여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고 냉각수의 공급량과 대기의 온도 등을 측정하여 대사열의 발생을 추정할 수 있었다. 동시에 이를 이용하여 유가배양시 기질을 공급하는 공정변수로 사용하였다 [8]. 생물학적인 폐수처리장치인 활성 슬러지법에서 미생물의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아직 그다지 개발되어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슬러지의 주 구성원이 미생물인 점에 착안하여 침전시 슬러지층과 상등액의 온도차를 측정하여 대사열량의 발생량을 측정하고 슬러지의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 PDF

The Patterns of the PM Air Quality Guidance Level in Seoul during 1990~2000 (서울시 대기관측망을 중심으로 부유분진 기준농도 초과자료를 이용한 시공간적 경향성 비교 연구)

  • Choi, Ye-Jin;Kim, Min-Young;Kim, Ki-Hyu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4 no.3
    • /
    • pp.190-204
    • /
    • 2003
  • The PM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data sets exceeding the Daily Air Quality Guidance Levels (i.e., establish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selected from 31 air qality monitoring stations in Seoul from 1990 to 2000. (For reference, the 24hr environmental standard values of PM$_{10}$ and TSP are 150 and 300${\mu}$g/m$^{3}$, respectively.) When the data sets were compared between land use types, both PM fractions were exceeded most frequently in residential areas. However, the highest TSP concentration was measured at industrial areas (351.0${\pm}$35.9${\mu}$g m$^{3}$), while the highest PM$_{10}$ concentration was measured in residential areas (182.9${\pm}$42.4${\mu}$g m$^{3}$). When the 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exceedance data sets were compared to those measured routinely (without any discrimination based on exceedance criteria), large differences were present.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occurrences of exceedance data sets increased rather significantly in recent ye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