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atterns of the PM Air Quality Guidance Level in Seoul during 1990~2000

서울시 대기관측망을 중심으로 부유분진 기준농도 초과자료를 이용한 시공간적 경향성 비교 연구

  • Choi, Ye-Jin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Sejong University) ;
  • Kim, Min-Youn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
  • Kim, Ki-Hyun (Center for Environmental Research, Kyung Hee University)
  • 최여진 (세종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대기환경연구실) ;
  • 김민영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
  • 김기현 (경희대학교 환경연구센터)
  • Published : 2003.04.30

Abstract

The PM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data sets exceeding the Daily Air Quality Guidance Levels (i.e., establish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selected from 31 air qality monitoring stations in Seoul from 1990 to 2000. (For reference, the 24hr environmental standard values of PM$_{10}$ and TSP are 150 and 300${\mu}$g/m$^{3}$, respectively.) When the data sets were compared between land use types, both PM fractions were exceeded most frequently in residential areas. However, the highest TSP concentration was measured at industrial areas (351.0${\pm}$35.9${\mu}$g m$^{3}$), while the highest PM$_{10}$ concentration was measured in residential areas (182.9${\pm}$42.4${\mu}$g m$^{3}$). When the 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exceedance data sets were compared to those measured routinely (without any discrimination based on exceedance criteria), large differences were present.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occurrences of exceedance data sets increased rather significantly in recent years.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의해 운영되는 서울시내 31개 지역의 대기오염 자동측정망에서 1990년부터 2000년까지 11년 동안 측정한 자료 중, TSP와 PM$_{10}$에 대한 대기환경기준을 초과한 자료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한 후 여러 가지 통계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맞추어, 각 토지 이용 상태별로 환경기준을 초과한 분진농도의 경향성을 비교해 본 결과, TSP의 경우 초과농도의 전반적인 발생분포가 녹지, 주거, 상업, 준공업지역 순서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준공업 지역에서 351.0${\pm}$35.9${\mu}$g m$^3$로 가장 높은 초과농도를 보였다. PM$_{10}$의 초과농도는 주거지역에서 182.9${\pm}$42.4${\mu}$g m$^3$의 최고농도를 보이며, 초과농도분포는 준공업, 상업, 녹지, 주거지역 순서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발생빈도수를 각 지점별 측정망수로 나누어 준 결과 주거지역에서 21회로 다른지역에 비해 높은 초과빈도수를 보였다. 이들 초과농도자료들만에 국한시켜 시간적 주기성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관측되는 부유분진 자료들과 차별화 된 경향성이 어느 정도 확인되었다. 특히 계절적인 주기로 구분하였을 때, 일반농도자료는 PM$_{10}$과 TSP 모두 겨울철에 가장 큰 농도를 보인데 반해, 초과농도는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 PM$_{10}$의 연도별 경향성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측정이 시작된 1995년 이후 초과농도의 크기가 지속적으로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그 발생빈도수는 최근에 들어 괄목할 만큼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대기보전학회지 v.18 no.5 PM2.5, $PM_{10}$, TSP의 시간대별 관측결과에 기초한 황사기간 분진의 분포특성에 대한 고찰: 서울시의 4대 관측점을 중심으로 한 2001년 봄철 황사 기간에 대한 사례연구 김기현;김민영;신재영;최규훈;강창희
  2. 한국대기보전학회지 v.11 no.2 서울 부유분진 농도와 황사 특성에 관한 사례 연구 김우규;전영신;이원환
  3. 한국대기보전학회지 v.7 no.1 대기환경 기준설정 배경에 관하여 김종석
  4. 국가 환경기준 설정의 타당성 평가에 관하 연구 민달기;성일화
  5. 한국환경관리학회 v.3 no.0 대기 부유분진 오염도 및 위해성 평가 이동석;임영욱
  6. 한국기상학회지 v.32 no.1 서울지역의 시정악화에 영향을 미치는 대기오염 및 기상장의 특성 오현선;윤순창
  7. 한국대기보전학회지 v.3 no.2 도시 대기 중 중금속에 관한 연구 서울시 신촌지역을 중심으로 정용;장재연;주의조
  8. 한국환경위생학회지 v.26 no.4 다변량 통계분석법을 이용한 대구지역 부유분진의 오염원 기여도 측정 최성우;송형도
  9. 한국대기보전학회지 v.14 no.1 대기 중 TSP와 $PM_{10}$ 농도의 관련성 최진수;백성옥
  10. 한국환경공학회지 v.20 no.4 구미지역 대기 중 부유부진 농도측정 및 발생원별 기여도 추정 최진수;전찬준;백성옥
  11. 환경백서 환경부
  12. 환경백서 환경부
  13. 환경백서 환경부
  14. Air pollution and human cancer Tomatis, L.(ed.)
  15. Atmospheric Environment v.36 The statical characters of $PM_{10}$ concentration in Taiwan area Hsin-Chung Lu
  16. Atmospheric Environment v.35 $PM_{10}$ and PM2.5 source apportionment in the Barcelona Metropolitan area Xavier Querol;Andres Alastuey;Sergio Rodriguez https://doi.org/10.1016/S1352-2310(01)003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