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당뇨병 교육

검색결과 284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 여성의 불안 및 우울증상과 치주질환의 관련성 (Association of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with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Women)

  • 이은선;도경이;이강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3-8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요인에 대한 감수성이 높은 여성의 불안 및 우울증상과 치주질환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5기 1차년도(2010년) 8,958명 중 만 19세 이상 여자 3,55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연령, 결혼상태, 소득수준, 교육수준, 경제활동 유무에 따라 불안 및 우울증상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강건강관련 특성 중 당뇨병 유무, 현재 흡연, 고위험 음주에 따라 불안 및 우울증상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일 칫솔질 횟수에 따라 불안 및 우울증상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치실 및 치간칫솔 사용 여부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치실 및 치간칫솔을 사용하지 않는 행태가 치주질환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OR, 1.49; 95% CI, 1.14~1.95). 연령, 결혼 상태, 소득수준, 교육수준, 경제활동 유무, 당뇨 유무, 현재 흡연, 고위험 음주, 칫솔질 횟수, 치실 및 치간칫솔 사용 여부를 보정한 결과 불안 및 우울증상이 치주질환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OR, 1.47; 95% CI, 1.04~2.09). 따라서 불안 및 우울증상이 있는 사람이 불안 및 우울증상이 없는 사람에 비해서 치주질환 유병률이 더 높게 나타나 그 위험성이 더 크므로, 치주질환을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정기적 치주관리 및 효율적 자가구강건강관리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비만 중학생에서 캠프 프로그램을 이용한 영양교육 효과

  • 승정자;성미경;최미경;김미현;이윤신;조혜경;김경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61-1062
    • /
    • 2003
  • 현대사회에서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영양문제 중 가장 빈번히 나타나는 청소년기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 이행되기 쉬우며, 당뇨병, 지방간, 고혈압과 같은 각종 성인병의 발생과도 관련이 있다. 또한 체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편견의 대상이 됨으로 인한 심리적 장애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에 따라 비만인의 체중조절을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들이 실시되고 있는데, 현재까지의 실시되고 있는 프로그램들은 강의식교육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적극적인 교육효과를 이끌어 내는데 많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지역보건소를 중심으로 2박 3일간의 청소년 캠프 프로그램을 통하여 VTR감상, CAN-Pro를 이용한 섭취 식단의 평가 및 영양상담, 영양뷔페, 역할극, 다양한 영양지식 응용게임, 일상생활에서 활용가능 한 운동교육, 비만의 원인과 건강과의 관련성 및 식사요법 등에 대한 강의를 실시하였다. 캠프 참가자들은 부천시에 거주하는 중학생으로 사전에 신장과 체중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비만으로 판정된 총 42명(남 28명, 여 14명)으로 하였다. 캠프 시작전과 후에 설문조사를 통하여 영양지식, 영양태도, 자아만족도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직후의 효과를 판정하였고, 일상적인 영양소섭취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24시간 회상법을 통하여 캠프참가 전날의 식이섭취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13.9세로 남녀학생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신장은 남학생이 160.7cm, 여학생이 156.8cm였다. 체중, 체질량지수, 비만지수, 허리엉덩이둘레비 및 체지방 함량은 남학생이 각각 75.5kg, 29.1kg/$m^2$, 30.1, 0.89, 33.3%이었고, 여학생이 각각 67.8kg, 27.5kg/$m^2$, 25.3, 0.81, 34.6%였다. 영양소 섭취량에 대한 분석결과 열량의 경우 남학생이 2137.7㎉, 여학생이 2059.7㎉ 섭취수준을 보였으며, 총열량에 대한 당질, 단백질, 지질의 섭취 비율은 남학생 57:14:29, 여학생 60:13:26으로 남여학생 모두 총열량에 대한 지질의 섭취 비율이 높았다.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를 위하여 남녀중학생을 모두 합하여 비교하였을 때 프로그램 실시 후 영양태도가 유의적으로 향상되었으며(p<0.001), 자아만족도 및 영양지식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성별로 분류하여 비교 시 남학생은 영양태도(p<0.01)와 영양지식(p<0.05)이 유의적으로 향상되었고, 여학생의 경우에는 영양태도(p <0.01)에서만 유의적인 향상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2박 3일간의 청소년 캠프는 남녀 비만중학생에 있어 영양태도의 향상을 가지고 왔으며, 남학생의 경우에는 영양지식에도 유의적인 향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영양교육의 효과가 실제적인 영양소섭취 및 비만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추적 관리를 통한 효과판정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진다.

  • PDF

고혈압 환자의 투약순응도와 영향 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medication compliance of hypertensives and its influential factors)

  • 손경애;김윤신;홍민희;정미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897-1904
    • /
    • 2010
  • 본 연구는 행정자료인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비용 청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일개지역(2개도, 남 북)에 개설되어있는 전체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진료일 기준 '08.7월~'08.12월(184일)동안 외래 방문이 1회 이상인 30세 이상의 수진자 432,9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투약순응도와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다. 연구대상자의 투약순응도 평균은 61.5%로 나타났으며, 이는 분석대상기간 6개월(184일)동안 약 113일 정도 처방 받았음을 의미하며, 투약순응군 비율은 13.0%에 불과하였다. 고혈압상병(주 부상병)으로 외래를 방문한 평균 횟수는 4.3일, 방문한 기관수는 평균 1.1곳이었고, 한곳의 의료기관만을 이용한 환자가 전체의 94.9%로 나타났다. 당뇨병을 동반상병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가 11.6%로 가장 많았고 고혈압 환자의 23.3%가 동반상병을 가지고 있었다. 투약순응도는 남성, 건강보험 가입자, 종합전문을 주이용기관으로 이용하는 환자, 동반상병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65-74세까지 투약 순응도가 증가하다가 그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투약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남성, 55-64세, 건강보험 가입자가, 종합전문, 종합병원, 보건기관을 주 이용기관으로 방문하는 환자와 심장질환, 당뇨병을 동반상병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투약순응도가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 투약 순응도가 낮은 환자에 대한 다양한 요인분석이 필요하며, 투약 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고혈압관리사업의 정책적 검토 및 대안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고혈압 환자의 경우 당뇨 등 동반상병 비율이 높아 저염식, 금연 등 올바른 생활습관 관리를 위한 체계적 보건교육과 홍보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만성질환관리와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The Relevance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nd Mental Health)

  • 최령;황병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306-315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만19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만성질환에 대한 관리적 특성인 질환진단, 치료, 교육, 신체활동, 일상생활활동이 정신건강(스트레스인지, 우울증상경험, 자살생각경험여부)과의 관련성과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다. 연구대상은 국민건강영양조사 2010년도 제5기 1차년도 19세 이상 6,227명의 원시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자들 6,227명중 스트레스를 느낌 84.8%, 우울증상경험 있음 13.2%, 자살생각경험 있음 15.1% 이었다. 스트레스인지는 연령이 낮을수록, 배우자가 있는 경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우울증상경험은 성별은 남자보다 여자가, 연령은 19-54세,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당뇨병에 관한 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 신체활동을 4일 이상 하는 경우. 자살생각경험여부는 성별은 여자가, 배우자가 없는 경우,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신체활동을 전혀 하지 않는 경우 영향을 주었다. 만성질환자들에게 의학적인 치료를 제공하는 방안에 대해서만 관심을 가질 것이 아니라 정신건강에도 깊은 관심을 가지고 심리적인 치료를 병행할 수 있는 정책적인 지원이 제공된다면 이들이 보다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임상 간호사의 당뇨병에 대한 지식, 중요도 및 인지도 조사 (Research into Clinical Nurses' Knowledge, Importance and Perception of Diabetes Mellitus)

  • 신정섭;박춘자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5-107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linical nurses' knowledge of DM and diabetes patient education aptitude so as to provide a basis for clinical nurse training with respect to diabetes patient education program. The data has been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of 42 items from the Knowledge on DM and each 16 item from the Importance on the elements of diabetes patient and the Recognition for clinical nurses, respectfully. 166 nurses from a general hospital who had participated in clinical nurse training in Sep. 28 and Oct. 4, 2001 were subject to respond the questionnaires. Analysis has been done by using statistical method such as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Duncan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Clinical nurses' knowledge levels of diabetes 1) The average level of nurses' knowledge about diabetes is 29.37 (right answer- finding rate: 70%), which is intermediate. 2) Amongst the nurses classified by their knowledge levels about diabetes, the group with less than one year career and that with more than 5 year careers are found to have higher knowledge levels. The item with the highest right answer-finding rate was 'Please find the wrong out of the following examples about foot care'. Meanwhile, the item with highest incorrect answer-finding rate was 'what does blood sugar control aims for amongst gestational diabetes?'. 2. Clinical nurses' importance and perception levels of educational training about diabetes 1)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st nurses' importance level about diabetes. 2) Nurses usually had high scores(4.30) in terms of the items related to the importances about educational training. 3) There were quite high recognitions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ymptoms about diabetes, amongst the nurse cohorts working more than one year and less than 5 years, and over 5 years, the group belonging to the internal department, that having the previous experiences of dealing with diabetes, and that having their diabetic relatives and other close people. Meanwhile, strangely, the group who identified themselves as 'not good at treating diabetes' had a high recognition level of educational training about diabetes. 3.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levels and importance & perception levels of diabetes 1) The higher knowledge about diabetes nurses had, the more importance they recognized. 2) It is found tha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perception of diabetes. 3) The more importance about diabetes nurses had, the higher perception they obtained. In conclusion, there is an urgent need for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about diabetes including technical aspects, in order to upgrade and improve nurses knowledge levels. In addition, re-educational training should b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Further, we believe the nurses with high knowledge about diabetes and interests in the provision of educations for patients can be far more confident, and in return, patients can have better self-management about diabetes obtained through education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we would like to make the suggestion: re-evaluation about nurses' knowledge and cognition levels should be carried out after job training programs about diabetes.

  • PDF

임부의 임신성 당뇨병관련 지식정도와 교육요구도 (The Knowledge and Learning Needs about Gestational Diabetes in Pregnant Women)

  • 최의순;오정아;허명행;이인숙;최순영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96-108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program for effective education about GDM(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by investigating the knowledge and learning needs of pregnant women about GDM. The subjects were 192 pregnant women who visited obstetrical clinics for prenatal car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998 to December, 1999, using a 50-item questionnaire(knowledge ; 30 items, learning needs ; 20 items), and analyzed by SAS program for t-test, ANOVA, Ducan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knowledge level about GDM 1) Pregnant women had very little knowledge(total means ; 15.1 of 30.0) about GDM. 2) Pregnant women more than 30 years old, pregnant women from Seoul, and pregnant women who had more than a bachelor's degree were more knowledgeable about GDM. 3) Pregnant women who didn't experience spontaneous abortions, pregnant women who had DM(Diabetes Mellitus) patients in their families, and pregnant women who received education about DM were more knowledgeable about GDM. 4) Pregnant women knew very well that GDM women have more maternal and fetal complications than normal pregnant women. Although they were knowledgeable about the importance and ways of controlling blood glucose level, they knew very little about the causes, symptoms, or management of hypoglycemia. 2. The learning needs about GDM 1) Pregnant women had high learning needs (total means ; 85.0 of 100.0) about GDM. 2) The learning needs of pregnant women who had more than a bachelor's degree and pregnant women who earned less than two million won in monthly income were higher than that of other groups. 3) Pregnant women had high learning needs about the health of their baby and themselves, but their learning needs related to weight control and exercise-things that play important roles in controlling blood glucose level-were relatively low. As a result of the above findings, a systemic and individualized program is required for pregnant women and GDM patients, In addition to that, further studies that investigate the effects of education and retention of learning obtained by education are required in the near future.

  • PDF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을 위한 지역사회 단계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ommunity Staged Education Program for the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High-risk Patients)

  • 이혜진;이중정;황태윤;감신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7권3호
    • /
    • pp.167-180
    • /
    • 2012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 등록관리 시범사업단 고혈압 당뇨병 교육정보센터를 방문한 고위험군환자와 교육자의 교육요구도를 반영하여 질환, 영양, 운동 3영역의 기본, 심화, 개별 3단계로 단계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평가를 위하여 교육정보센터에 방문한 기본교육군 32명, 단계교육군 37명을 대상으로 교육 전후 임상적 지표, 행동변화단계, 자아효능감을 측정하였고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요구도조사결과 고위험군과 교육자의 요구도가 높은 소그룹형태, 30분-1시간이내 수업 및 이론 50%와 실습 50%의 구성과 형태로 이루어지며 3개월의 교육과정인 질환, 영양, 운동영역의 단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요구도조사 결과 교육영역별 교육내용은 고위험군과 교육자의 필요도와 지식정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에 따라 5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프로그램 구성에 적용할 수 있었다. 첫째, 고위험군과 교육자간의 요구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항목은 기본과정내용으로 반복하게 하였고 둘째, 고위험군의 인지도가 평균점수 이하인 항목은 기본교육과정내용을 조정하여 효과적인 실습방법으로 모든 단계에서 반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고위험군의 지식정도 평균 편차가 큰 항목은 개별교육과정에 포함시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습득을 목표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넷째, 고위험군과 교육자간 지식정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항목과 다섯째, 고위험군과 교육자간 요구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항목은 고위험군의 참여도가 높은 실습 중심의 심화교육으로 구성하며 교육자도 표준 매뉴얼에 따라 교육방법, 교육환경을 일관성 있게 유지하도록 교육훈련을 강화하여 교육자 간 격차를 줄이도록 하였다. 교육자와 고위험군과의 격차를 줄이기 위하여 자가관리 목표, 단기 계획 설정을 고위험군과 교육자 상호약속에 의해서 계획하여 실천동기와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과정을 단계마다 필수적으로 포함시켰다. 교육프로그램의 평가는 기본교육군, 단계교육군을 대상으로 임상적 지표, 행동변화단계 자기 효능감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임상지표 중 허리둘레,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p<0.05), 자기효능감 중 혈압/혈당조절 불량시 병원방문, 의사의 지시에 따라 약 복용, 식사량 일정유지(p<0.05), 정기적으로 합병증 검사, 정상적인 혈압/혈당을 유지, 허리둘레 유지, 체중 유지(p<0.01), 행동변화단계에서는 싱겁게 먹기(p<0.05)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환자와 교육자의 교육요구도를 반영하여 개발된 실습 중심의 단계별 교육프로그램은 이론중심의 기본교육프로그램과 비교한 결과 임상지표, 자기효능감, 행동변화단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 수가 적고 추구관리기간이 짧았으며 임상지표측정이 부족했던 한계점은 있으나 환자가 노인이며 만성질환환자로서 유병기간이 긴 점을 감안하면 이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시행한다면 환자의 심뇌혈관질환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성인에서 자가 구취 인식도와의 관련요인 분석 (Factors Associated with Self-Assessment of Halitosis in Adult)

  • 한지선;홍주희;최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347-35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자가 구취 인식도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건강증진 전략과 삶의 질 향상을 계획하는데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10년 5월부터 7월까지 인천광역시에 거주하는 20대 이상 80세 이하의 성인 362명이었다. 자가 구취를 인식한 자는 연구대상자의 24.3%로 나타났다. 40대 이상과 판매 서비스직 종사자, 고혈압 또는 당뇨병에 이환되어 있고 치료약을 복용하며, 구강위생관리 행동의 실천율이 낮은 집단에서 자가 구취 인식도가 높았다. 따라서, 환자 내원시 병력에 관한 철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구강위생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해 반복적인 구강보건교육과 지속적인 피드백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자가 인식한 구취는 정신건강과 사회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임상 현장에서 중요하게 고려할 요인이다.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수행도 분석 (An analysis on performance of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visiting nurse in public health center)

  • 박정숙;오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381-393
    • /
    • 2014
  • 본 연구는 방문간호사의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수행도와 방문간호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수행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대구시와 경상북도의 방문간호사 총 204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연구기간은 2011년 7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이었다.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수행업무 중 당뇨병 환자관리와 고혈압 환자관리를 가장 많이 수행하였고, 반면에 임산부 관리와 영유아 건강관리 업무에 대한 수행 빈도가 가장 낮았다. 방문간호사의 일반적인 특성 중에서 연령, 기혼, 교육수준, 종교, 보건소 근무경력, 방문간호 업무경력, 근무지역에 따라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수행도의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의 안정적인 정착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방문간호사의 일반적인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업무 배정과 고용 보장 등을 포함한 방문간호사의 관리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당뇨병 노인을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for Diabetes Mellitus Management of Older Adults)

  • 강현주;신은미;김경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734-745
    • /
    • 2009
  • Diabetes mellitus is the prevalent disease among older ad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lement and evaluate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iabetes mellitus patients aged 60 and over. The one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program effectiveness.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iabetes mellitus patients was carried out at the public healthy center in Guri city. The 38 out of 63 patients completed education program. They received four sessions of group education during four weeks.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booklet, leaflet) for older adults were provided to participants. Data about blood glucose, blood pressure, nutrition and diabetes mellitus knowledge, dietary behavior, dietary intake by 24-hour recall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nutrition education to evaluate the program effectiveness. All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AS package (ver.8.2) a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evaluated by $X^2$-test, paired t-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Study results showed that blood pressure and blood glucose were slightly decreased after nutrition education but they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The total score of nutrition and diabetes knowledge increased significantly (p < 0.001), and the total score of dietary behavior was improved (p < 0.05) after nutrition education. Dietary intakes of most of nutrients examine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re- and post-test. Based on study results, it appears that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aged diabetes mellitus patients might effectively increase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and diet quality. This nutrition education program can be used at the public health centers or senior centers for the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for older adults.